|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Human Ecology Research > Volume 61(1); 2023 > Article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paternal parenting methods involving adolescent children in terms of their academic field, research period, method and subjects, and family variables. A total of 104 research publications from the period between 2003 and 2022 were investigated, with 99 quantitative research (43 theses and 56 academic journals) and five qualitative data sourc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opic of fa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was the most stud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t rapidly increased from 2011 to 2014 and then rapidly decreased from 2019. The main subject of the studies was middle-school students, while most of the studies adopted a quantitative approach, with a minimal number of qualitative studies. Parenting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father variables and several such studi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positive resources such a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s variables of adolescent children related to fathers’ parent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detailed education and programs.

서론

최근 2019년부터 현재까지 온라인 학술검색으로 자녀교육 검색을 하면 5,541건의 논문자료가 나오고(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2022) 온라인 포털에서 교육 동영상을 포함하여 63만 8천 건의 자료가 검색되는 것을 보면(Youtube, 2022) 자녀교육에 부모의 관심이 높을 뿐 아니라 부모들을 위해 제공되는 정보 또한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OVID-19 팬데믹 시기를 지내면서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등 가족끼리 함께 보내는 시간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실제 부모 모두 자녀 돌봄 시간이 늘어났고, 아버지의 경우 그 시간을 스트레스로 인식하기보다 긍정적으로 보고하는 경우가 있었다(Eun, 2020). 부모가 재택근무를 하는 동안 자녀의 학습을 돕거나 대화 및 친밀도가 증가하여, 정서적 만족감이 커졌다는 연구결과(Cho & Kim, 2021)를 볼 때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버지가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아(Choi, 2009) 자녀와 친밀해지고자 하는 동기도 크다고 볼 수 있다.
과거 Michael E. Lamb (1975)는 자녀양육에 최소한으로 참여하는 아버지들의 모습을 잊혀진 양육자(forgotten contributors)라고 묘사하였으며 아버지의 역할이 자녀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기여하는 바가 미미하게 보이지만 어머니의 역할과는 다른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하였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로 대가족이 붕괴되고 핵가족이 나타나며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성역활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2019년에는 남자는 일, 여자는 가정이라는 남녀 성역할에 대하여 국민의 72.8%가 반대하였다는 것을 보면 시대가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Statistics Korea, 2020). 더불어 아버지는 생계를 책임지고 어머니는 가사 및 자녀를 양육한다는 전통적인 성역할에서 벗어나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부부가 함께 관심을 가지고 공동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양육자로서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아직도 어머니의 양육에 대한 연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는 하지만 2006년부터 아버지의 양육참여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도 변화의 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Lee & Choi, 2014). 아버지 양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녀와 관계에서 아버지의 역할(Kim, 2008; Kim, 2012; Park & Bae 2012), 양육참여(Jang, 2015; Kim, 2005; Lee, 2013), 자녀와의 의사소통(Ji, 2007; Kim & Kim, 2011) 등의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아버지의 놀이 스타일이 아동의 사회 정서적 발달을 예측할 뿐 아니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성인기 적응을 더 잘 예측한다는 연구(Lewis & Lamb, 2003)도 있었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은 자녀의 대인관계성향 및 학교생활적응(J. S. Kim, 2006)에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Choi, 2003; Do, 2019; Hong, 2006; Jung, 2010; Kim & Jang, 2007; Lee, 2005; Lim, 2014; Oh, 2016; Park, 2005), 자기효능감(Chung & Kim, 2003; Jeon, 2015; Kim & Cho, 2017; Lee, 2011; Moon, 2006; Moon & Park, 2009), 학업적 자기효능감(Jeon & Kim, 2016; Kim, 2014), 사회성(Kim, 2007; Song & Hyun, 2008) 및 불안(Min et al., 2013), 우울(Cho, 2007; So et al., 2010) 등 심리적 발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자녀를 양육하는 데 있어서 아버지는 어머니의 보조적 역할 혹은 제2의 엄마가 아니라 아버지만의 역할이 있으며 자녀의 사회 및 심리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버지의 역할 및 양육 방법은 아이들이 자라면서 변화가 필요하게 된다. 자녀가 미취학일 때는 자녀 양육 시간에 신체적으로 놀아주는 시간의 비중이 높았다면 학교에 들어가면서 숙제 및 등하교를 도와주는 것으로 활동 내용이 변화되고 돌봄 시간은 현저히 줄어든다(Ahn et al., 2013). 자녀가 아들인 경우에는 전통 전수, 학업지원을 하고, 딸에게는 일상생활을 보내는 것으로 성별에 따라 양육시간에도 차이가 있다(Kim, 2005). 자녀가 청소년기에는 청소년 자녀의 발달, 상황적 특징과도 연관이 있다. 특히, 질풍노도의 시기로 언급되는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적 발달뿐 아니라 정서적, 도덕적, 인지적 발달이 이루어지며 자율과 독립에 대한 욕구가 커지는 시기이다. 청소년기 자녀들은 이차 개별화 과정이 이루어지면서 부모에 대한 탈 이상화가 나타나고 부모 혹은 권위자와 갈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또한 부모보다는 또래 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래 관계를 통해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게 된다(Song, 2008).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을 위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한 시기이지만, 자녀의 발달적 갈등과 혼란으로 인해 부모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낀다(Soh et al., 2014). 우리나라에서는 이 시기의 청소년들을 심리적, 관계적 불안정성의 정점인 시기, 중2병의 시기에 있다는 말로 표현한다. 2021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가 OECD 22개 국가 중 22위로 보고되었고(Park & Park, 2022),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징으로 인한 어려움뿐 아니라 입시에 대한 부담, 성적, 학교생활의 어려움 등으로 보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년기 자녀뿐 아니라 부모도 관계갈등 및 양육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고 이것이 부모의 스트레스로 이어진다(Yoo, 2005). 아버지들은 가장으로서의 경제적 부양책임뿐 아니라 청소년 자녀와의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호소(Park & Choi, 2014)하고 청소년 자녀는 아버지를 부정적으로 인식하여(Park et al., 2004) 서로 관계가 악화되기도 한다. 또한 청소년 자녀는 아버지에 대한 기대수준이 낮고(Park & Bae, 2012) 아버지의 역할수행을 낮게 지각하며(Yeo & Chun, 2007)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애정 자율적보다 적대 통제적으로 지각하는 경우가 많아(Lee, 2006) 아버지가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Lee (1974)의 연구를 시작으로 청소년기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고 청소년 자녀와 아버지 양육 관련 동향 연구들은 2004년부터 발표되었다.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 특히 아버지는 어떻게 해야 자녀 양육을 잘 할 수 있을까? 아버지 동향연구들 중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동향연구는 7편로 시기별, 발달단계별 특징, 대상에 따른 분석이 이루어졌고(Choo & Kang, 2021; Jeong & Kim, 2018; Kim & Kim, 2017; Kim & Kim, 2019; Kim et al., 2022; Ra & Lee, 2012; Yoon & Hur, 2014), 아버지의 양육 동향 연구들은 8편으로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한 연구,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양육촉진요인탐색 관련 연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다(Cho, 2011; Hur, 2006; Hyun & Oh, 2008; Kang, 2000; Kim & Lee, 2022; Lee & Choi, 2014; Yee, 2016; Yoon & Park, 2018). 그리고 청소년 자녀 아버지 양육 관련 동향연구는 3편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 자녀에 대한 아버지 양육과 관련된 동향연구는 주로 청소년 자녀 아버지의 양육특성을 살펴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연구들에서 추가 보완해야 하는 연구주제 및 대상의 다양화와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밝혀 왔다. 아버지 양육관련 최초의 동향연구인 Cho (2004)의 아버지 청소년 자녀에 관한 연구동향과 특성분석에서는 1974년부터 2002년까지 연구를 포함하고 있어, 아버지와 청소년 자녀의 초기 연구로서 의미가 있지만 연구 수가 적고 최신연구들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Kim (2006)은 아버지의 수용과 청소년의 심리적 발달: 연구동향분석에서 연구의 중심을 아버지 수용에 두고 그 중요성을 어머니 연구와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하지만 전반적인 양육동향연구에 대한 분석이 아니며 아버지의 온정, 애정적 태도, 사랑 등을 수용의 개념으로 포함하여 설명하고 있어 수용 변인에 대한 정의가 포괄적이고 모호하다는 한계가 있다. Lee (2022)는 초,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에 대한 연구동향에서 최근 연구를 학술지뿐 아니라 학위논문까지 포함하여 전반적인 아버지 양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으나,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부모의 양육과 역할은 분명히 차이가 있음에도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아동/청소년에 전반적인 연령대를 다루고 있어서 청소년의 특징이 초점화되지 않았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아버지 자신, 자녀와 아버지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제외되어 있어 연구결과의 폭이 좁은 한계가 있다. 세 가지 동향연구를 살펴볼 때, 기존의 연구들은 2002년까지의 연구동향만 제시되어 있거나, 아동/청소년이 분리되지 않고 통합적으로 분석한 연구, 양육의 일부만 문헌 고찰한 연구들로 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청소년 대상구분을 명확하게 하였고 둘째, 2022년까지의 최근 연구를 포함시키고 아버지뿐 아니라 자녀를 함께한 연구까지 포함시켰으며 셋째, 양적 분석뿐 아니라 질적 분석 연구까지 포함시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제한점을 보완하였다. 시대적으로 아버지의 역할 및 양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아버지 연구의 수는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아버지 양육연구의 흐름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의 동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대상으로 한 Cho (2004)의 연구 이후, 2003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연구를 대상으로 동향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는 초기동향 연구와 최신 동향분석결과를 비교분석 할 수 있고 2000년대 이후의 시대적 영향에 따른 연구동향특성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기본법에 청소년 나이는 9세 이상 24세 이하지만 청소년기 가장 큰 특징인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시기인 여아 11세, 남아 13세경이 포함되는 초등 4학년부터 성인 이전 고등학생까지 청소년으로 규정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에 관해 최근 20년간 연구의 방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변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런 부분을 통해서 영유아/아동 대상의 아버지 양육과 청소년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는 어떤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는지 찾아볼 수 있으며 청소년기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역할 정립 및 양육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추후 아버지 양육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기초로 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2003년-2022년까지 청소년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의 일반적인 연구동향(학문분야, 발표연도, 연구대상, 자료 분석 방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2003년-2022년까지 청소년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의 관련 변인 및 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2003년부터 2022년 사이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연구재단의 국내 등재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을 선정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국회도서관, DBPIA, SCHOLAR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세 단계를 거쳐 분석 대상 논문을 추출하였다.
1단계, 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아버지 양육’을 검색하였으며, 검색 결과 국내 학술 논문 1,564편, 학위논문 2,817편이었다.
2단계, 분석 범위를 좁히기 위해 결과 내 재검색으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청소년을 차례로 입력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은 학술지 55편, 학위논문 272편, 중학생은 학술지 41편, 학위논문 173편, 고등학생은 학술지 47편, 학위논문 228편, 청소년은 학술지 181편, 학위논문 534편으로 총 국내 학술지 324편, 학위논문 1207편을 수집하였다.
3단계, 청소년기 자녀의 기준을 초등학생 4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로 한정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가 한정한 청소년기 자녀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논문을 제외하였고, 2003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간에 출판되지 않은 논문도 제외하였다. 그다음으로 검색된 논문의 제목, 초록, 전체적인 개관을 점검하여 아버지 양육과 관련이 없는 논문들도 제외하였고, 수집된 논문 중에서 어머니 변인을 포함하여 작성된 것, 대상 연령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것, 원문보기가 제공되지 않는 논문들 또한 제외하였다. 한 명의 저자가 동일한 제목으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출판한 경우에는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을 우선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선정된 양적 연구 논문은 학술지 43편, 학위논문 56편의 총 99편이었고, 질적 연구 논문 5편을 더해 총 104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최종 검색일-2022년 10월 30일).

연구결과

1.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연구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연구에서 학문분야. 연구시기, 연구방법과 대상의 동향을 분석한 각각의 내용은 Table 13에 제시되어 있다.

1) 학문분야에 따른 동향 분석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연구한 학문 분야는 Cho (2004)의 학문분야의 특징 분류 기준을 수정·보완하여 교육, 가정, 상담·심리, 아동·청소년, 사회복지, 기타 6개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Table 1에 제시하였다. 교육 분야는 학습자중심 교과교육 연구, 부산교육학 연구, 초등상담연구, 교육 관련학과 석사연구로 총 40편, 가정 분야는 가족과 문화, 가족과 가족치료,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가정과 삶의 질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가족 관련학과 석사논문으로 총 16편이다. 상담·심리분야는 한국 심리학회지, 한국 심리치료학회지, 상담학연구, 심리관련학과 석사논문으로 총 14편, 아동·청소년분야는 아동학회지, 청소년 복지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청소년학 연구, 한국놀이 치료학회지, 아동교육, 아동 관련학과 석사논문으로 총 21편이다. 사회복지분야는 사회복지 관련학과 석사논문으로 총 4편, 기타는 위의 5가지 분야로 분류할 수 없는 다양한 분야인 한국범죄학,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인문사회21, 인간발달연구, 생활체육학과 박사,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로 총 9편이다.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학문분야는 교육 분야로서, 총 40편(38. 5%)이다. 그다음으로는 아동·청소년(21편, 20.2%), 가정(16편, 15.4%), 상담·심리(14편, 13.5%), 기타(9편, 8.7%), 사회복지(4편, 3.8%) 분야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문분야별로 아버지 변인은 양육태도가 분야와 상관없이 연구가 되어져 큰 차이는 없었으나 청소년 변인은 주요관심 주제가 차이가 있었다. 교육 분야에서는 다른 분야의 연구주제와 달리 학교와 관련된 학교적응, 진로 관련 연구가 21.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 분야에서는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관련 주제 비중이 높았고, 상담심리분야(42.8%), 사회복지분야(33.3%), 가정분야(26.9%), 아동·청소년 분야(23.5%), 기타(20%) 순의 비중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2003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에 대한 연구의 시기에 따른 동향은 Table 2와 같다. Cho (2004)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02년까지 아버지-청소년 자녀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고, 본 연구에서는 그 이후 2003년부터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3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학위논문 59편(56.7%), 학술지 45편(43.3%), 전체 104편(100%)이 이루어졌다. 연도별 논문의 증가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면 2003년 학위논문 4편(3.8%), 학술지 1편(1.0%)을 시작으로 2007년까지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이후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학위논문 11편(10.6%), 학술지 논문 15편(14.4%), 전체 26편(25.2%)의 해당 논문이 발표되었다. 또한 2013년부터 2017년까지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된 시기로 전체 41편(39.4%), 학위논문 27편(26.0%), 학술지 논문 14편(13.5%)이 발표되었다. 특히,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연구의 뚜렷한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2018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는 학위논문 5편(4.8%), 학술지 8편(7.7%), 전체 13편(12.5%)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구 시기에 따른 동향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Figure 1과 같다.

3) 연구방법과 대상에 따른 동향 분석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의 전반적인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해당 연구는 양적 연구 99편(95.2%), 질적 연구 5편(4.8%)으로 양적 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양적 분석의 구성요인은 Table 4, 5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다. 질적 분석 연구는 아들의 아버지와의 관계체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경험, 아버지와의 대화에서 느끼는 자녀의 행복감, 청소년 자녀를 둔 전문직 남성의 아버지 역할경험연구, 아버지가 경험하는 청소년 아들과의 갈등 대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에 따른 동향은 같은 논문에 2개 이상의 대상인 경우 중복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1편(40.2%)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초등학생(44편, 34.6%), 고등학생(22편, 17.3%)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버지를 직접적인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는 10편(7.9%)에 불과했다. 초등학생 대상 연구의 구성요소 특징을 살펴보면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은 61.6%, 자녀의 사회성관련 변인들은 14.6%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중학생은 아버지의 양육관련 변인 35%, 아버지 역할관련 변인 13% 비중이었으며,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관련 변인들이 24%, 청소년의 문제행동관련 변인인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역기능적 분노표현, 지위비행등은 9% 비중이었다. 고등학생은 아버지의 자녀의 의사소통이 30% 비중이며, 청소년 자녀변인은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아버지 대상연구에서는 양육 관련 변인은 47.8%, 아버지 자신의 심리사회적 특성 관련 변인인 회복탄력성, 아버지그릿, 자아존중감 등이 연구되었다.

2. 아버지 관련 변인 분류

아버지 관련 변인은 청소년 대상 및 아버지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아버지 요인에 대한 변인들을 분류한 내용이다.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 중에서 양적 연구에서 추출한 아버지 관련 변인(독립변인, 종속변인, 매개변인, 조절변인 등)을 의미가 유사한 범주로 분류하고, 같은 논문에 변인이 2개 이상인 경우 중복처리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 역할, 양육, 애착, 의사소통, 부부 관계, 개인 변인, 학습, 관계의 총 8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범주별 구성요인 현황은 Table 4와 같이 나타났다.
가장 많은 연구가 된 범주로는 아버지 양육, 아버지 의사소통, 아버지 역할, 아버지의 개인 변인, 자녀와 관계, 아버지와 애착, 학습, 부부관계 순서였다. 구성요인을 살펴보면 양육태도(33편, 22.9%), 양육참여(20편, 13.8%), 의사소통(19편, 13.1%), 양육행동(10편, 6.9%) 순으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아버지 양육과 관련한 범주의 연구가 73편(50.7%)으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구성요인은 양육태도 및 행동, 양육참여, 아버지 지원 및 훈육, 아버지와 보내는 시간 및 놀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소통 관련 연구는 22편(15.3%)으로 의사소통, 아버지 공감,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어 있고, 아버지 역할로는 역할기대, 역할수행이 13편(9.0%)이었다. 개인 변인인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삶에 대한 만족도, 아버지 특성 등은 13편(9.0%) 비중이었으며, 자녀와의 관계범주는 아버지 자녀관계, 친밀도, 부자녀간 갈등정도로 10편(6.9%), 애착은 아버지와의 애착, 애정적 유대로 8편(5.6%)이었다. 학습범주는 학습관여, 학업적 기대, 아버지의 교육적 지원으로 4편(2.8%), 부부관계는 부부갈등을 측정하였고 1편(0.7%)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3. 청소년 관련 변인 분류

청소년 관련 변인은 청소년 대상 및 아버지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청소년 요인에 대한 변인들을 분류한 내용이다. 청소년 관련 변인도 아버지 관련 변인과 마찬가지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 중 양적 연구에서 추출한 변인 중 의미가 유사한 것을 범주로 분류하고, 같은 논문에 변인이 2개 이상인 경우 중복처리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대인관계, 행동문제, 인지, 긍정적 자원, 진로의 총 7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범주별 구성요인 현황은 Table 5와 같다.
가장 많은 연구가가 된 범주로는 긍정적 자원, 대인관계, 부정적 정서, 행동문제, 긍정적 정서, 진로의 순서였다. 구성요인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20편, 12.7%), 자기효능감(13편, 8.2%), 학교적응(10편, 6.3%), 사회성(7편, 4.4%)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긍정적 자원 관련 범주의 연구는 102편으로 전체의 65.0%를 차지했으며 구성요소는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력, 학교적응, 성취동기, 문제해결력 등이며, 대인관계 14편(8.95)의 구성요소는 사회성, 대인관계능력, 공감능력, 교우관계이다. 부정적 정서의 범주는 우울/불안, 고립감, 학업스트레스로 12편(7.6%), 행동문제 범주는 문제행동, 비행, 폭력태도, 중독으로 10편(6.4%), 긍정적 정서 범주는 긍정정서, 행복감, 만족감으로 9편(5.7%), 진로범주는 진로탐색 및 진로의사결정, 성숙도, 포부 6편(3.8%)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논의

본 연구는 2003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에 대한 국내 연구의 학문분야, 연구시기, 연구방법 및 대상, 아버지, 청소년 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청소년기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 역할정립 및 양육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10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동향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는 교육 분야(40편, 38.5%), 아동/청소년(21편, 20.2%), 가정(16편, 15.4%), 상담/심리(14편, 13.5%), 기타(9편, 8.7%), 사회복지(4편, 3.8%) 순으로 연구가 되었다. 연구논문은 2011년-2014년까지 41편(39.4%)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였던 반면, 2019년부터는 13편(12.5%)으로 급격한 감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버지 양육과 자녀와의 관계를 연구한 주요 연구대상은 중학생이었으며, 대부분 양적 연구를 진행했고 질적 연구는 5편으로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변인은 양육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아버지의 양육과 관련된 청소년 자녀의 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등 긍정적 자원의 구성요소들이 주를 이루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연구가 게재된 학술 연구 분야가 1974년부터 2002년 사이의 논문을 분석한 Cho (2004) 연구에서는 4개 영역(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사회복지학)이었으나 6개의 영역(교육 분야, 아동/ 청소년, 가정, 상담/심리, 사회복지, 기타)으로 다양해짐으로써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에 대한 학술적 관심의 분야가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와 청소년 자녀 양육관련 연구가 교육 분야(40편, 38.5%)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아동/청소년(21편, 20.2%), 가정(16편, 15.4%), 상담/심리(14편, 13.5%), 기타(9편, 8.7%), 사회복지(4편, 3.8%) 순의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Cho (2004) 연구에서는 교육 분야가 53%로 유사하게 나왔으며, Lee (2022) 연구에서는 상담 심리학연구에서 33.3%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고 보고한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Lee (2022) 연구에서는 초등 저학년이 포함되어 있어 결과가 다르게 나온 것으로 보여지나, 학문분야에 따른 연구의 구성내용이 밝혀지지 않아 구체적인 차이를 알 수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 분야별 구성내용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 변인은 학문분야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청소년 변인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교육 분야에서는 학교와 관련된 학교적응, 진로 관련 연구의 비중이 21%로 가장 높았고, 다른 분야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관련 내용이 주로 연구되었다. 특히 상담심리분야에서는 자아존중감 관련 연구 비중이 42.8%인 것을 볼 때 청소년의 개인 내적 요인에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의 시기별 논문 발표 수를 분석한 결과, 1974년부터 2002년까지 Cho (2004)의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가 총 19편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104편으로 연구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양육을 맡았던 전통적인 성역할에서 벗어나 아버지의 양육 및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시대가 지나면서 커져 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역할이 자녀의 학습, 학교적응 및 문제행동, 사회도덕성 발달까지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들(Cho, 2007; J. S. Kim, 2006; Kim, 2012; Kim, 2013; Kwon, 2015; Park & Bae, 2012; Soh & Park, 2018)을 통해 그 역할 및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6년부터 아버지 연구가 많아지기 시작하고 2011-2014년까지 뚜렷한 증가추세로 연구가 급증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아버지 양육태도에서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아버지 양육을 강조하는 시대적 흐름이 연구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007년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일과 가정이 양립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확립되고 사회적 분위기가 변화하여 공동 양육자로서의 아버지 역할에 관심이 커졌다. 또한 2013년에 아빠와 자녀가 함께 나온 예능프로그램 “아빠 어디가”가 인기를 끌면서 엄마가 아닌 아버지의 자녀양육 장면이 미디어에 자주 등장하고 방송 초기에는 자녀양육에 서툰 아버지의 모습이었으나 함께하는 시간을 통해 자녀와 친밀해지는 모습으로 변해 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필요성이 강조되고 미디어의 영향으로 사회적 관심이 생겨나면서 연구 증가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2019년부터 관련 연구가 줄어들기 시작한 것은 코로나로 인해 자녀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청소년대상 연구에 어려움이 컸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시기별 논문발표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구자의 관심 및 연구방향에 사회, 문화적 영향이 크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아버지 양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의 주요대상은 중학생이 제일 많았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연령을 초등학교 4학년 이상부터 19세미만인 고등학생까지 분석했기에 초등생 전체를 포함한 Lee (2022)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 전체연령을 대상으로 한 아버지 양육동향연구(Lee & Choi, 2014)를 보면 만 3-5세 유아자녀 대상 연구가 53.5% 이상이며, 초등 시기인 아동은 17.6%, 중고등 시기인 청소년은 2.7%로 청소년 자녀 대상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e & Lee (2014)의 연구에서 영유아/아동대상 부모 프로그램은 74%인데 비해, ‘청소년’의 부모 프로그램은 13%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부모교육 대상이 어린 자녀에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과 유사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버지는 자녀 나이가 어릴 때 양육에 더 참여도가 높고, 양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도 초등학생 대상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행동관련 변인이 61.6%를 차지하였으나 고등학생 아버지 연구에서는 자녀와 의사소통이 30% 비중으로 자녀의 연령의 따른 아버지 변인 구성 내용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버지의 역할이 자녀가 성장하면서 양육에 직접 참여하고 놀아주기보다는 대화를 통해 친밀감을 나누고 가치관과 자녀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 간접적인 영향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청소년기 자녀는 부모-자녀갈등이 표면화되고 더 나아가 학교적응의 어려움, 중독, 비행, 문제행동(Joo, 2021; Kim & Jung, 2015; Kim et al., 2016; Soh & Park, 2018)으로 행동화되기에 그 어느 때보다도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청소년기에는 친구관계에서 갈등,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진로에 대한 고민 등을 경청하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어른이 필요한데, 특히 아버지는 청소년기 자녀에게 모델링을 해 줄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래관계에서 얻을 수 없는 삶의 지혜와 어머니와는 다른 관점에서 자녀에게 제시할 수 있는 아버지만의 고유한 특성을 삶을 통해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결과 아버지가 직접 대상자이기보다 청소년이 지각한, 자녀의 시선에서 바라본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는 이전 연구결과(Cho, 2004)와도 유사하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아버지와 자녀를 함께 연구한 경우는 8%(8건), 아버지만 대상으로 한 연구는 2%(2건)이었다.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 연구는 설문작성 및 조사의 편의성에서 이점이 있으나 아버지 스스로 느끼는 관점, 자녀의 관점을 둘 다 살펴보지 않으면 한쪽으로만 편향될 수 있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태도는 청소년의 자기수용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Medinnus, 1965)를 고려할 때 추후에는 아버지-자녀의 입장을 동시에 살펴보고 어떤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는지 어떤 경우 일치하는지 등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연구내용을 살펴볼 때, 과거 연구들과 비교하여 아버지의 연구주제는 아버지 양육, 의사소통, 아버지 역할로 유사한 부분이 있었지만 청소년 자녀의 변인은 다양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버지 변인에서는 아버지 양육에 대한 관심이 컸고, 청소년 변인에서는 아버지 양육이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아버지 변인에서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애정-적대, 자율-통제, 성취-비성취, 합리-비합리 차원으로 분류된 척도(Oh & Lee, 1982)와 감독, 합리적 설명, 애정,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치의 총 8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Heo (2004)의 척도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양육태도는 청소년 자녀의 놀이성, 리더십, 사회성, 자아존중감, 우울감,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진로태도성숙, 외현적 공격성, 사회성발달, 학교적응, 도덕성, 문제해결력, 자기조절 능력, 자기효능감, 자기 결정성 동기, 자아존중감, 영재성, 자아강도, 자기주도학습, 자기개념(Cho, 2007; Cho, 2014; Jung, 2010; Kang, 2011; Kim, 2009; Kim, 2013; Kim, 2015; Kim, 2017; Kim & Cho, 2017; Kwon, 2015; Kwon, 2019; Lee, 2003; Lee, 2005; Lee & Kim, 2005; Lee, 2006; Lee, 2013; Lee, 2016; Ryu, 2015)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나타났다. 대부분의 결과들은 아버지의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에게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적대적이고 통제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양육태도는 유아기를 거쳐 청소년기까지 애착형성을 비롯해 전반적인 성격형성 및 모든 영역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기 자녀 양육에 태도의 변화가 있었는지, 청소년 자녀의 어떤 행동이나 태도가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는 요인이 되는지 등 종단연구를 통해 아버지 양육태도 변화양상과 영향요인을 추후연구에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부모가 애정적이면서도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위해서 청소년기 자녀를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아 추후 연구가 필요한 영역으로 사료된다.
아버지의 양육에 대한 관심이 시대가 지나가면서 증가하고 있지만,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1년 통계청 청소년 사교육 참여 비율과 주당시간을 살펴보면, 중학생(73.1%, 7시간), 고등학생(64.6%, 6.3시간)으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22). 2019년 근로기준법이 개정되면서 주 52시간 근무가 시작되고 아버지들이 이전보다 퇴근시간이 빨라지기는 했지만 아이들의 학업으로 인해 함께 식사를 하거나 여가시간을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고 실제 아버지와의 대화시간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적어지며 어머니와의 대화시간보다 42분 적다는 연구결과(Min et al., 2015)를 볼 때 실질적인 양육참여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부모의 양육 참여가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Kim, 2007; Kim, 2008; Kim, 2014)도 있지만 과도한 학업적 양육참여는 부정적 효과(Byun & Kim, 2008)가 나타난다는 연구도 있다. 이는 아버지의 경제적인 생활여건이나 학력수준, 질적으로 어떻게 참여하는지, 참여강도, 대상의 연령 등에 따라서 결과가 상이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기에 좀 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아버지의 의사소통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이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Han, 2013; Kim & Kim, 2011; Kwark, 2005)가 있다. 하지만 청소년 아이들은 또래관계에서는 공감적인 의사소통을 하지만 부모에게는 부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결과(Min et al., 2017)를 볼 때 아버지와의 의사소통뿐 아니라 청소년 자녀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 어떤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반면 청소년 자녀 변인은 긍정자원, 대인관계, 부정적 정서, 행동문제, 긍정적 정서, 진로범주로 다양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 변인에서 제일 많이 사용된 변인은 자아존중감(20편, 12.7%), 자기효능감(13편, 8.2%), 학교적응(10편, 6.3%), 사회성(7편, 4.4%) 순이었으며 청소년 변인의 구성 변인 수는 66개로 아버지 변인의 구성 변인 40개보다 많았다. 또한 2003년 이전 연구들을 살펴본 Cho (2004)의 동향연구보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 진로탐색, 매체과의존 등 시대성을 반영한 다양한 척도와 변인들이 연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Yoon과 Park (2018)의 전연령 자녀를 대상으로 한 동향분석연구에서 유아기 자녀는 대인관계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나, 청소년기 자녀에서는 주요 연구 변인이 자아존중감으로 나와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 형성이 주요한 발달과업이기에 아버지의 양육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연구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자아정체감 외에도 청소년기의 다른 주요한 특성인 자율성, 독립성 등의 심리적 영역은 조사되지 않고 있어 보다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부정적인 변인보다는 청소년 자녀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자원(회복탄력성, 정서조절력, 내적동기, 자아탄력성, 자아 강도 등)과 관련된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있어 연구자들의 개인의 긍정성에 대한 관심이 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문제행동보다 예방적 차원에서 내적 긍정적 자원을 확보하고 그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자들의 선호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로, 104편의 논문 중에 질적 연구는 5편으로 진행되었다. 청소년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는 자녀양육의 스트레스, 혼란스러움, 단절로 인한 소외감(Park & Kim, 2014; Yun, 2022)을 공통적으로 호소하였고 청소년 자녀는 간섭에서 벗어나 독립하고 싶지만 또 한편으로는 의존하고자 하는 양가적인 마음(Choi et al., 2016)을 표현하여 자녀양육의 실질적인 어려움과 청소년 자녀의 발달 심리적 상태가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아버지의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청소년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고(Yang, 2016) 자녀의 긍정적인 반응은 아버지의 역할수행을 강화하여 아버지 스스로 역할에 대한 유능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반응을 예측하게 만든다(Park & Kim, 2014)는 것을 알 수 있었다. Jung (2017)은 아버지-아들관계 갈등에서 자신의 원 가족과의 관계와 밀접한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고, 갈등해결을 위해 먼저 아이에게 다가가고 대화를 시도하는 과정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Yun (2022)은 전문직 아버지 역할의 심리적인 적응 및 경험을 통해 강압적인 아버지 모습이 대물림되지 않는 적응적인 아버지 역할에 대한 고민과 동기를 살펴보았다. 연구논문의 수는 적지만 청소년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와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에서 청소년이 느끼는 것과 관련한 질적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음이 긍정적이라 할 수 있겠다. 양적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모가 겪는 심리적인 과정이나 경험에 대한 연구가 없이 아버지 역할에 대한 중요성에만 포커스를 맞추고 있어서 아쉬운 부분이 있었던 반면, 질적 연구에서는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복잡한 심리적 과정을 자세하게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의 실질적 어려움과 자녀의 독립성 및 양가적인 욕구는 드러났으나 연구의 수뿐 아니라 연구대상인원이 적어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추후, 질적 연구를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청소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들에게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될 것을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2003년부터 지금까지 청소년기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 양육에 대한 국내연구 104편을 분석하였지만 국내 연구대상으로 제한하여 분석함으로써 동양-서양 아버지, 청소년과의 비교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특성과 청소년기 자녀의 변인들의 상호적 영향력을 분석하기에는 문헌 연구로서의 한계점이 있었다. 후속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들의 비교와 관련성 분석을 위한 다양한 통계방법을 활용한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동향연구에서는 시대와 학문분야별 특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아버지 역할 및 양육태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버지, 청소년 자녀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아버지 양육이 청소년 자녀에게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과 분석 자료에 질적 연구를 포함하여 아버지 자녀 관계의 심리적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기 자녀를 키우는 아버지의 양육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추후 아버지 양육에 대한 세부적인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 declares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Figure 1.
Trends in the study period of fa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her-61-1-141f1.jpg
Table 1.
Academic Field Trends
구분 내용 주요구성요인 N (%)
교육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부산교육학 연구, 초등상담연구, 교육관련학과 석사 학교적응, 학업성취, 진로성숙도/포부 40 (38.5)
가정 가족과 문화, 가족과 가족치료,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가정과삶의질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가족관련학과 석사 자아효능감, 자아개념 16 (15.4)
상담·심리 한국심리학회지, 한국심리치료학회지, 상담학연구, 심리관련학과 석사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14 (13.5)
아동·청소년 아동학회지, 청소년 복지연구, 청소년시설환경, 청소년학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아동교육, 아동관련학과 석사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21 (20.2)
사회복지 사회복지관련학과 석사 자아존중감 4 (3.8)
기타 한국범죄학,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인문사회21, 인간발달연구, 생활체육학과 박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9 (8.7)
104 (100)
Table 2.
Research Period Trends (N =104)
연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구분
학위논문 4 (3.8) 2 (1.9) 3 (2.9) 5 (4.8) 2 (1.9) 3 (2.9) 1 (1.0) 1 (1.0) 2 (1.9) 4 (3.8) 5 (4.8) 10 (9.6) 5 (4.8) 4 (3.8) 3 (2.9) 2 (1.9) 2 (1.9) 0 (0.0) 1 (1.0) 0 (0.0) 59 (56.7)
5년단위 16 (15.4) 11 (10.6) 27 (26.0) 5 (4.8)
학술지 1 (1.0) 1 (1.0) 3 (2.9) 1 (1.0) 2 (1.9) 5 (4.8) 1 (1.0) 1 (1.0) 4 (3.8) 4 (3.8) 4 (3.8) 1 (1.0) 3 (2.9) 3 (2.9) 3 (2.9) 3 (2.9) 1 (1.0) 1 (1.0) 3 (2.9) 0 (0.0) 45 (43.3)
5년단위 8 (7.7) 15 (14.4) 14 (13.5) 8 (7.7)
매년합계 5 (4.8) 3 (2.9) 6 (5.8) 6 (5.8) 4 (3.8) 8 (7.7) 2 (2.0) 2 (2.0) 6 (5.7) 8 (7.6) 9 (8.6) 11 (10.6) 8 (7.7) 5 (6.7) 6 (5.8) 5 (4.8) 3 (2.9) 1 (1.0) 3 (3.9) 0 (0.0) 104 (100)
5년단위 합계 24 (23.1) 26 (25.0) 41 (39.4) 13 (12.5)
Table 3.
Research Method and Subjects Trends
구분 주요 구성요인 N (%)
연구방법 양적 Table 4, 5에 제시 99 (95.2)
질적 자녀관계, 아버지역할, 자녀행복감, 갈등대처 5 (4.8)
104 (100)
연구대상(중복측정) 초등학생 아버지 양육행동, 양육태도, 참여도, 양육참여행동, 아동의 리더십, 사회성, 매체과의존, 정서지능, 학교적응, 교우관계, 문제해결력, 불안, 성취동기, 자아존중감 44 (34.6)
중학생 아버지 역할수행 및 기대, 양육행동,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역기능적 분노표현, 지위비행, 폭력태도, 학교적응 51 (40.2)
고등학생 아버지 의사소통유형, 역할수행,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우울, 외현화 문제행동, 성취동기 22 (17.3)
아버지 아버지 양육참여, 양육행동, 삶에 대한 만족도, 회복탄력성, 아버지 그릿, 자아존중감, 10 (7.9)
127 (100)
Table 4.
Research Method and Subjects Trends
범주 구성요인 N (%)
아버지 역할 역할수행 (11), 역할기대 (2) 13 (9.0)
양육 양육태도 (33), 양육참여 (20), 양육행동 (10), 학업적 양육참여 (1), 양육형태 (1), 평일 및 주말에 보내는 시간 (1), 접촉유형및 직장의 근무여건 (1), 아버지 지원 (1), 아버지 훈육 (1), 놀이참여 (1), 가정교육에 대한 아버지참여 (1), 놀이성 (2) 73 (50.7)
애착 아버지와 애착 (7), 애정적 유대 (1) 8 (5.6)
의사소통 의사소통 (19), 사회적지지 (2), 아버지 공감 (1) 22 (15.3)
부부관계 부부갈등 (1) 1 (0.7)
개인변인 자아존중감 (2), 인구학적 특성 (1), 회복탄력성 (1), 삶에대한 만족도 (1), 공격성 (1), 성역할인식 (1), 학력 (1), 여가활동 (1), 아버지특성 (2), 그릿 (1), 가사분담 (1) 13 (9.0)
학습 학습관여 (2), 학업적 기대 (1), 아버지의 교육지원 (1) 4 (2.8)
관계 아버지 자녀관계 (3), 아버지와의 친밀도 (2), 아버지 상 (2), 과보호 (1), 부-자녀간 갈등정도 (1), 아버지에 대한 만족도 (1) 10 (6.9)
144 (100)
Table 5.
Classification of Variables Related to Youth
범주 구성요인 N (%)
긍정적 정서 행복감 (5), 생활/삶의 만족도 (2), 긍정정서 (1), 주관적 안녕감 (1) 9 (5.7)
부정적 정서 공격성 (4), 불안 (3), 우울 (3), 고립감 (1), 학업스트레스 (1) 12 (7.6)
대인관계 사회성 (7), 대인관계능력 (2), 공감능력 (2), 우정관계의 질 (1), 교우관계 (1), 사회적 능력 (1) 14 (8.9)
행동문제 문제행동 (4), 비행 (1), 폭력태도 (1), 스마트폰중독 (1), 매체과의존 (1), 지위비행 (1), 인터넷중독 (1) 10 (6.4)
인지 성역할고정관념 (2), 자살생각 (1), 부정적 자동적사고 (1) 4 (2.5)
긍정적 자원 자아존중감 (20), 자기효능감 (13), 학교적응 (10), 성취동기 (6), 자아탄력성 (4), 문제해결력 (4), 정서지능 (4), 회복탄력성 (3), 자기/행동조절능력 (3), 학업적 자기효능감 (3), 정서조절력 (2), 리더십 (2), 스트레스 대처행동 (2), 자아개념 (2), 정서안정성 (1), 세계시민성역량 (1), 청소년 자아분화 (1), 완벽주의 (1), 학습동기 (1), 학업성취 (1), 가족 환경적 특성 (1), 일반적 특성 (1), 성격발달 (1), 가족여가활동 (1), 도덕성 (1), 여가만족 및 여가제약 (1), 자기 결정성동기 (1), 내적동기 (1), 유능성 (1), 영재성 (1), 성공지능 (1), 심리적 독립 (1), 아동의 자기격려 (1), 자아관 (1), 자아강도 (1), 성장마인드셋 (1), 자기주도학습 (1), 내외통제성 (1) 102 (65.0)
진로 진로태도성숙도 (3), 진로포부 (2), 진로탐색 및 진로의사결정능력 (1) 6 (3.8)
157 (100)

References

Ahn, S. M., Lee, K. Y., & Lee, S. M. (2013).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time.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7(2), 93-119.

Byun, S. Y., & Kim, K. K. (2008).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 achievement in South Korea: Focusing on differential effects by family background. Journal of the Korean Sociology of Education, 18(1), 39-66.
crossref
Cho, J. H. (2007). Relationships among father's discipline perceived by man's high-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Chonnam, Korea.

Cho, E. J. (2014). Influence of father'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to resili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Korea, Yeungnam University.

Cho, E. S, & Kim, D. A (2021).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family life for telecommuters under COVID-19 situation. Family and Culture, 33(3), 62-101.

Cho, S. H. (2011). Analysis of tends in korea research on father.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4(4), 1-27.

Cho, S. H. (2004). Content analysis and research trend on father-adolescent relationship-centering on thesises published between 1970 and 2002. Korean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6(2), 129-145.

Choi, E. S. (2003).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parenting behavior of the fa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ungin, Korea.

Choi, J. S. (2009). Fath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hild's educ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participation in child's daily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Choi, J. A., Cho, H. S., & Lee, J. R. (2016). Male adolescents’ lived experiences of father-son relationships. Family and Cuture, 28(2), 64-110.
crossref
Choo, M. J., & Kang, J. J. (2021).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play of fa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8), 775-790.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8.775
crossref
Chung, O. B., & Kim, K. M. (2003).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received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n the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4), 105-114.

Do, W. Y. (2019). The effects of fathering attitude on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Eun, G. S. (2020). The Covid-19 pandemic and changes in child care. Labor Review, 35-49.

Han, M. S. (2013).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participation in the care of their children perceived by children, father-children communication type,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Heo, M. Y. (2004).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Youth Counseling Research, 12(2), 179-189.

Hong, Y. H. (2006). Study on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of children's perception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cheon, Korea.

Hur, Y. R. (2006). A review of fathering behavior in child rearing. Education Review, 26(1), 97-116.

Hyun, J. H., & Oh, K. H. (2008). A study on the problem and trends of korean father research.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8(3), 105-121.

Jang, Y. A. (2015).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leadership.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6(4), 617-632. https://doi.org/10.7856/kjcls.2015.26.4.617
crossref
Jeon, J. E., & Kim, M. Y. (2016). Effects of hope and self-efficacy on post traumatic growth in mothers of children with canc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2(2), 142-151.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2.142
crossref
Jeon, Y. J. (2015). Influences that negative father's trait ha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 mediator effect of achievement mo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 University, Gyeonggido, Korea.

Jeong, W. Y., & Kim, H. Y. (2018). A study on the trend analysis of the parenting of fathers with early childre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17(3), 75-101. https://doi.org/10.21183/kjcm.2018.09.17.3.75
crossref
Ji, H. S. (2007). A study of relationship on father-child communication and intimacy. The Pusan Journal of Eduactional Research, 20(1), 153-170.

Joo, Y. H. (2021). The effect of attachment to father on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Journal of Korean Criminological Association, 15(3), 149-162. https://doi.org/10.29095/JKCA.15.3.6
crossref
Jung, S. K. (2017). Qualitative research on conflict coping with adolescent sons experienced by fa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Seoul, Korea.

Jung, Y. S. (2010).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Gyeongnam, Korea.

Kang, M. S. (2011).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attitude on giftedness: Focusing o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Kang, R. H. (2000). Career vs Child: Differences in the child-rearing practices of Korean and Japanese fat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1(2), 119-133.

Kim, H. W. (2014). The effects of paternal academic involvement and adolescents' perfectionism o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J. H., & Jung, I. K. (2015).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father’s rearing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2), 943-967.

Kim, K. E., & Kim, Y. A. (2017). Research trends in Korean fathers-focusing on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24(2), 1-18.
crossref
Kim, M. W.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s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onnam, Korea.

Kim, M. J., Ji, E. G., & Jo, M. J. (2016). The moderate effects of father’s attachment between self-esteem and adolesce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focusing on the male students. The Convergent Research Society Among Humanities, Sociology, Science, and Technology, 6(1), 63-72.
crossref
Kim, S. H. (2013). Relationship among father's attitude of children-rearing and playfulness and children's 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Chungnam, Korea.

Kim, S. J., & Kim, H. S. (2011).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10(2), 203-221.

Kim, S. R., & Kim, Y.M. (2019).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aternal rearing attitudes of young children between 1984 and 2019.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9(4), 127-140.
crossref
Kim, Y. J. (2009). The effects of fathering practic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cop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Kim, Y. H.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aspiration: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Kim, Y. I., Kim, N. H., & Bang, H. K. (2022).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play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Between 2001 and 2020).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7(3), 77-99.
crossref
Kim, Y. S. (2007). The effect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level in childrearing on the sociability of a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University, Jeju, Korea.

Kim, G. E., & Cho, N. A. (2017). Effects on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 influenced father’s parenting attitude focusing on mediator of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abi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7), 191-213.
crossref
Kim, H. H. (2005). The effect of paternal involvement on the self-esteem in early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5), 311-330.

Kim, H. H. (2008).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with adolescent children: relationships with marital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5), 181-195.

Kim, J. S. (2006). The influence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9, 51-78.

Kim, M. I., & Jang, Y. A. (2007). The effect of father's child rearing behavior and child rearing involvement perceived by children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3), 379-390.

Kim, S. J., & Kim, H. S. (2011).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10(2), 203-221.

Kim, S. Y. (2017).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external aggress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University, Jeju, Korea.

Kim, Y. B. (2008).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perception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to their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angwon, Korea.

Kim, Y. H., & Lee, K. S. (2022). Theoretical review for promoting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The Korean Society for Developmental Psychology, 35(3), 61-81. https://doi.org/10.35574/KJDP.2022.9.35.3.61
crossref
Kim, S. I. (2006). Review of paternal acceptance and adolescent psychological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24, 165-191.

Kwark, S. J. (2005). Father with communication, educational expectation, the educational support to by adolescent affect self efficien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won, H. I. (2015). Effects of fathers’ rearing attitudes and attachment on children’s moral jud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Kwon, H. S. (2019). The influence of father's rearing attitude and learning engagement style on self-direct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Lamb, M. E. (1975). Fathers: Forgotten contributors to child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18(4), 245-266. https://doi.org/10.1159/000271493
crossref pmid
Lee, E. S. (1974). Relational study between father and adolescence on the father's ro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Lee, M.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by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Lee, H. J. (2022). Research trends on fathers’ parenting their children in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ungbuk, Korea.

Lee, J. J., & Lee, J. Y. (2014). Research trends on parent education program.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5(2), 943-967.
crossref
Lee, M. H., & Choi, H. S. (2014).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7), 307-330.

Lee, S. H. (2011). The effects of father attach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adaptation to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Korea.

Lee, H. J. (2005). The effect of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involvement on their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Gyeonggido, Korea.

Lee, H. Y. (2013). The effect of fathers' parenting style and involvement on their children's ego streng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angwon, Korea.

Lee, J. H., & Kim, J. O. (2005). The influence of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 on thei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children`self-concepts.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14(3), 61-89.

Lee, J. Y. (2016). The effects of father's child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 on social problem-solving :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Lee, M. H.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children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Lewis, C., & Lamb, M. E. (2003). Fathers’ influences on children’s development: The evidence from two-parent familie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8(2), 211-228. https://doi.org/10.1007/BF03173485
crossref
Lim, J. H. (2014). Th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and children's gender-role stereotypes on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Medinnus, G. R. (1965). Adolescents' self-acceptance and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2), 150-154. https://doi.org/10.1037/h0021862
crossref pmid
Min, B. G., Jung, H. S., Jung, H. S., Kim, J. J., Kwon, E. S., Park, S. S., et al. (2017). Korean adolescents’ oral language culture–difference by school year, sex, and residence.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159, 137-182.

Min, B. G., Park, H. J., Jung, H. S., Jung, H. S., Kim, J. J., Kwon, E. S., et al. (2015). A basic research on the current adolescent language culture. Seoul: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Min, G. Y., Shin, M. U., & Song, H. J. (2013). Relations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nd anxiety and self-esteem.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 5(1), 1-16.

Moon, H. S. (2006).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ternal upbringing attitudes and self-efficacy and sociality by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Moon, J. H., & Park, K. R.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raising method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children's self efficiency, and their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Life Sciences, 193-194.

Oh, S. N. (2016). The relationship among father's overprotection, teenager's self differentiation and self esteem form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Oh, S. S., & Lee, J. S. (1982).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parenting styles. Behavioral Science Institute Research Notes, 11(1), 1-15.

Park, H. J., & Park, N. E. (2022, May 04). My children are not happy. Maeil Economy. Retrieved October 10, 2022, from https://www.mk.co.kr/news/society/10310323

Park, S. B., & Bae, M. J. (2012). A Study of a father's role and male adolescent's relationship perception. Korean Journal of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24(3), 161-187.
crossref
Park, Y. S., Kim, U. C., & Chung, K. S. (2004).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With specific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0(3), 37-59.

Park, E. J., & Kim, Y. H. (2014). A qualitative analysis of adolescent fathers role experience. Journal of Human Ecology, 18(2), 35-54.

Park, S. D. (2005).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role expectation toward a father and actual role performance of father, and its relation with youth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Park, E. J., & Choi, M. O. (2014). The relation of abusive parenting to delinquency behaviors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8(4), 219-238.

Park, S. B., & Bae, M. J. (2012). A study of a father's role and male adolescent's relationship percep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and Culture, 24(3), 161-187.
crossref
Ra, H. M., & Lee, H. Y. (2012).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arenting involvement of father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in Korea.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4(2), 246-262.
crossref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2022). Retrieve October 10, 2022, from http://www.riss.kr/

Ryu, S. J. (2015).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ternal parenting attitude by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agg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So, S. S., Song, M. K., & Kim, C.S. (2010).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depression of early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3), 1-23.

Soh, N. Y., & Park, S. H. (2018). The effects of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 105-130.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24.105
crossref
Soh, S. Y., Ahn, J. Y., Yang, D. H., & Kim, K. M. (2014). Parental and adolescent perceptions of transitions during early adolescence: With a focus on the FGI of adolescents and par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2(1), 247-279. https://doi.org/10.35151/kyci.2014.22.1.011
crossref
Song, Y. H., & Hyun, O. K. (2008). The effects of children's and fathers' perceptions of the fathering practice on children's sociali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3), 131-147.

Song, M. J. (2008).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Yang, H. S. (2016). Adolescent happiness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their fa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eonbuk, Korea.

Yee, Y. H. (2016). Analysis of trends in academic attention to fathers. Korean Association of Childcare & Education, 12(6), 59-78.
crossref
Yeo, C. K., & Chun, Y. J. (2007). Father-son communication across the developmental stages.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25(1), 15-27.

Yoo, I. Y. (2005). Parenting stress of adolescent childr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8(1), 17-22.

Yoon, H. J., & Hur, Y. R. (2014).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journals on the role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Research papers from 2000 to present.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5(4), 449-460. https://doi.org/10.7856/kjcls.2014.25.4.449
crossref
Yoon, J. S., & Park, H. R. (2018). The influence of children on father’s parenting : research trend analysis from 2000 to 2016. Counseling & Research, 1(1), 135-150.

Yun, H. S. (2022). A study on the experience in paternal role of professional male with adolescent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Baekseok University, Cheonan, Korea.

Statistics Korea. (2020). 2019 Living Time Survey Results. Retrieve October 10, 2022, from https://kostat.go.kr/

Statistics Korea. (2022). 2021 Elementary and middle, high school education cost survey results. Retrieve October 10, 2022, from https://kostat.go.kr/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