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60(4); 2022 > Article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student’s career maturity during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career maturation process to help H.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to get jobs. A single-case 12-session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applied to a first-year student at H. Meister High School in U. City for 9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a pre-test and post-test of career maturity to analyze changes. In addition, the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changes in the program activity sheets and process evaluation sheets per s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conducted with the student at H. Meister High School improved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Secondly,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scores in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indicate that the program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maturation process of the participant.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in-depth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for 12 sessions, the participant expressed his desires which were clarified. In addition, a positive career maturation process appears to have taken place, owing to the self-directed program that led the participant to initiate plans and explore his career by himself.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concerning career exploration and the career maturation process, but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information exchange considering peer influences, common discussions on goal-setting, and other methods on the career maturation process.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노동시장의 위축 및 고용 불안 등 청소년을 둘러싼 사회 환경이 변함에 따라 청소년 정책이 새롭게 전환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Kim, 2019). 2020 청소년 백서에서는 청소년이 행복한 세상, 청소년이 꿈꾸는 미래를 비전으로 공정하고 안전한 사회 환경 속에서 자기 주도적 참여와 권리 증진, 청소년의 균형 있고 조화로운 성장, 청소년이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목표로 설정하였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20).
정부는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어려워진 고교 단계에서 직업교육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특성화 고등학교와는 차별화된 한국형 마이스터 고등학교를 2008년도에 도입했다(Lee, 2013).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0조 제1항 제10호에서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로 정의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문적인 직업교육의 발전을 위해 산업계의 수요에 직접 연계된 맞춤형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로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마이스터고등학교는 특화된 산업 수요와 연계하여 최고의 기술 중심 교육으로 예비 마스터(Young Meister)를 양성하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로서 졸업 이후 우수기업 취업과 특기를 살린 군복무 및 직장 생활과 병행이 가능한 대학교육 기회가 제공된다(Ministry of Education, 2022).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2010년 21개 학교가 개교하여 2013년 1회 졸업생을 시작으로 2022년 10회 졸업생이 배출되었다. 그리고 2022년 현재 53개의 학교가 다양한 산업분야에 맞춰 개교를 하였다.
교육부와 한국 교육개발원은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에서 2021년 마이스터 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은 75.0%로 전년 대비 3.8% 상승했으며 다른 직업계 고등학교보다 높다고 밝혔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53.4%로 전년 대비 4.2% 상승했으며, 일반 고등학교 직업반의 취업률은 35.9%이며 전년 대비 4.3%가 상승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20). 그러나 한편,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은 취업률이 높은 만큼 취업 준비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을 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Yang & Kim, 2014). 또한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살 생각 관계를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취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 생각도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Park, 2013). 그리고 Ji (2012)의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청소년 자살 생각에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은 학업 스트레스 및 우울감과 절망감, 학교생활의 어려움, 가정 문제 및 친구 관계 등이다.
2019년 한국 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발표에 따르면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 중단 비율은 평균 1.2%로 나타났으며, 일반 고등학교의 학업 중단 비율은 평균 1.4%로 확인되었다(KEDI, 1992). 또한 학교에서 제공하는 학생들의 교육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1-6차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 전체 공통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인의 적성과 흥미에 대한 응답률이 높았음에도 중도 탈락률이 높고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Choi et al., 2014). 학업의 중요도보다는 취업의 중요도를 높이 보고 있다는 것이고 그로 인한 취업 스트레스가 많기 때문에 그러한 환경에서 벗어나겠다는 생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로 진로 변경을 한다거나 학업 중단을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진로성숙 과정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대부분 취업을 목적으로 입학을 하기 때문에 입학과 동시에 취업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Ju & Hong, 2016). 그러기 위해서는 본인 스스로 성적과 관련 자격증 및 기업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을 갖추기 위해서 1학년 시기부터 자기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100%로 취업률을 달성하고자 학교 목표에 걸맞게 진학이 원칙적으로는 허용되지 않으며, 취업을 위해 모두가 공통된 목표로 교육과정을 통해 경쟁을 하고 있다(K. I. Park, 2015). 또한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은 아침 일찍 교육 활동을 시작하여 저녁 늦은 시간까지 방과 후 활동이 이루어진다. 특히 1학년 신입생들은 학교 규정에 따라 학교생활에 대한 신학기 적응과 기숙사 생활에 대한 적응까지 동시에 겪게 된다. 그리고 취업 준비과정 압박감이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어 학생들은 개인의 성향에 따라 자아 정체감 상실과 자존감 저하, 열등감과 우울감을 경험하면서 가족관계 및 교우관계에서 오는 어려움을 가지는 등 다양한 부정적 경험을 하고 있다(K. I. Park 2015). 또한 취업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정보 부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며 취업 준비에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고 했다(K. I. Park, 2015). 특히 일반 고등학교보다 진학 및 취업을 준비하는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입학 경쟁률이 높아 학업성취가 높은 학생들이 오기 때문에 학생들 사이에서 학업 경쟁이 심한 편이며, 기업이 원하는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업 스트레스는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2021). 그래서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진로 선택 몰입도 강한 편이기 때문에, 취업 준비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높은 편이며, 진로 성숙도가 낮을수록 취업 준비에 대한 불안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Cho, 2010). 따라서 취업을 준비하면서 받는 스트레스는 개인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넓게는 개인이 속한 가정, 사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K. I. Park, 2015). 또한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는 단기적이고 일시적인 부분이 아니라 중·장기적 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다(K. I. Park, 2015).
한편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살 생각 및 진로 장벽에 관한 관계 연구에서는 자살 생각을 자주 하는 집단일수록 진로 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08).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이 갖는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 진학에 대한 진로 장벽을 유사한 개념으로 확정할 수는 없지만, 2012년 마이스터 고등학교 재학생이 취업과 관련한 스트레스로 인해 학생들이 생활하는 기숙사에서 투신자살한 것을 보았을 때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지는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어느 정도 비슷한 형태임을 예상할 수 있다(Park, 2013).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은 노동시장에 맞추어 졸업 후 마이스터로 성장하기 위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더불어 일찍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계발해야 한다(Kim & Kim, 2018). 무엇보다 일과 직업 세계 그리고 기업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이에 따른 체계적인 탐색을 거치지 않고 직업을 선택한다면 단기간에 직장을 그만두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일과 직업 세계에 대한 다양한 측면과 변화 양상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진로 성숙 과정에 대한 진로 탐색의 중요한 목표라고 할 수 있겠다(Kim, 2019).
Yoo와 Lee (2016)의 연구에서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직업에 대한 태도, 합리적 의사결정, 정보 탐색과 진로 준비 행동이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2011)의 연구에서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성숙이 학교 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 만족도와 진로 성숙도 그리고 성적이 높을 때 학교 적응 유연성이 높은 부분도 있지만, 진로상담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답변했다. 무엇보다 자신이 원하는 상담이 진행되지 않아 학생들은 진로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담임 선생님과 전문교과 선생님에게 상담하고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결국 학업중단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진로 탐색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자신이 원하는 진로 성숙 과정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진로 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개인의 내·외적 변인과 학생, 가정, 또래, 학교 및 지역사회를 둘러싼 생태 체계인 변인에 근거한다고 했다(Hwang, 2009: Hong & Yoo, 2008; Jeong, 2005; Kim, 2007; Lee, et al., 2007; Moon & Jeong, 2005; Yang & Park, 2007). 따라서 진로 성숙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생태 체계 변인에 근거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과학기술부 및 한국 고용정보원, 한국 청소년 개발원,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등 선행연구에서 진로와 관련하여 프로그램이 보급되고, 꾸준한 연구가 되고 있지만,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나, 생태 체계를 기반으로 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발견하기 어렵다.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진로 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한 Nam (2018)의 연구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효과를 보였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긍정적 탐색(AI)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Jeong (2015)의 연구에서도 진로 교육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 성숙은 개인뿐만 아니라 학생을 둘러싼 부모, 가족, 또래, 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탐색해 보아야 한다. 그러나 실제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위한 진로 성숙 과정에 대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지난 10년 동안 찾아보기가 어렵다. 지금까지 개발되고 활용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고등학생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Yoo, 2000), 마이스터 고등학교 신입생의 학업 동기와 학교 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Yoon & Kim, 2016) 등이 이루어졌으나, 마이스터 고등학교 특성에 따라 학생들의 환경을 고려하여 생태 체계적 관점으로 바라본 진로 탐색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에 초점을 맞춰 이뤄진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Mirae Talent Research Institute (2021)에서 개발한 진로지도 탐색 프로그램을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통해 진로 성숙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일 사례연구로서 개인, 가족, 문화, 사건 등 대상에 대한 충분한 조사를 통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대상의 특징이나 문제를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단일 사례연구는 보편적인 사실을 밝히기보다는 특정 사례에 대한 깊은 이해와 참여자로부터 사실적인 내용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Lee et al., 2014)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 사례에 대한 진로 탐색 상담을 통해 진로 성숙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용어의 정의

본 연구를 위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

생태 체계 이론은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간과 그를 둘러싼 사회 환경을 하나의 거대한 생태 체계로 보는 이론이다(Cho, 2020). 진로와 관련된 연구들에서는 학생 개인과 가정, 학교, 그리고 또래, 지역사회를 포함하여 생태 체계 요인들이 진로 발달과 학교생활 적응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o & Choi 2011; Hong & Yoo, 2008; Hwang, 2009; Kim, 2007). 생태 체계 관점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진로 발달을 돕기 위해 고안된 자료로 자기 탐색과 가족 탐색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진로를 탐색해 보면서 스스로 진로를 계획하고 결정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Mirae Talent Research Institute (2021)에서 개발한 진로지도 탐색 프로그램 15회기를 마이스터고 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12회기로 재구성하였다.

2)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

마이스터 고등학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0조 제1항 제 10호의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로 구체적으로는 전문적인 직업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산업계의 수요에 직접 연계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로 정의되며, 최고의 기술 중심 교육으로 예비 마스터(Young Meister)를 양성하는 특수 목적 고등학교다(Ministry of Education, 2022).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은 입학금과 수업료, 학교 운영지원비가 면제되고, 우수학생과 저소득층 학생에게 별도의 장학금이 지급된다. 또한 학생들의 교육 집중을 위해 전 학생들에게 기숙사가 제공된다. 그리고 취업이 확정된 졸업생은 최대 4년간 입영을 연기할 수 있고, 군 복무 시 특기 분야에 근무할 수 있다. 직장에서 3년 이상 근무 시 산업체 재직자 특별전형, 계약학과, 사내대학 등 취업 후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경로가 마련되어 있다. 해외 직업전문학교 연수, 국가·지자체의 세계화 사업 등과 연계하여 학생 해외 진출에 대한 지원이 되기도 한다. 또한 마이스터고 학생들에게 입학하여 졸업할 때까지 성취 수준을 평가하는 졸업 인증제를 통해 우수한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발판이 제공된다(Ministry of Education, 2022).

3) 진로 성숙 과정

마이스터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 과정은 개인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둘러싼 주변 환경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학생들이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부모, 또래, 교사와의 관계에서 바라보아야 한다(Kim, 2011). 본 연구에서는 진로 성숙도를 한 개인이 진로를 탐색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자신을 정확하게 분석한 다음 선택해 나가는 준비의 정도이자 태도로 정의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KEDI (1992)에서 개발하여 Cho (2019), Kwon (2015), 그리고 Lee (1997) 등의 연구에서 활용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는 진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준비 및 계획을 하는 정도와 진로에 대한 관심도를 의미하는 계획성, 직업의 의미를 경제적 보상과 외적인 가치에 관련하여 어느 정도 중요성을 두는지를 의미하는 현실성, 자신이 선호하는 진로 방향의 확신과 일관성에 대한 의미를 두는 결정성, 진로 선택에 확고한 믿음을 의미하는 확고성, 자신의 진로를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의지에 대한 자립성 등 다섯 가지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4) 사례연구

사례연구(case study)는 특정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또는 조직, 문화, 사건 등의 대상에 대한 철저하고 체계적인 조사를 의미하며, 충분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해 대상의 특징이나 문제를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하는 방법이다(Cho et al., 2011). 사례연구는 사례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료를 수집하기 때문에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와의 밀접한 관계가 필수적이다(Park & Moon, 2019). 단일 사례연구는 보편적인 사실을 밝히기보다는 특정 사례에 대한 깊은 이해와 대상자로부터 사실적인 내용을 얻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Lee et al., 2014)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이 실제 겪는 변화 과정을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하고 현실을 고려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인의 가치를 발견하고 미래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킴으로써 취업을 준비하는 진로 성숙 과정에 있는 연구 참여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단일 사례를 제시한다.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의 표집

본 연구의 참여자는 U지역 H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학생이다. 본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Mirae Talent Research Institute (2021)에서 연구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활동지를 수정. 보완하였고, 검사 도구,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를 준비하여 개인 상담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021학년도 4월 교육부에서 중,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생 정서·행동 특성 검사에서 관심군(자살) 학생으로 선별되어 2차 기관에서 심층 면담을 받아본 결과, 신학기 교우관계의 어려움과 진로 및 취업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 관심군 학생으로 선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참여자의 주 호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대한 장점과 더불어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진행 과정을 설명한 뒤 참여자와 학부모에게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사례에 대한 자료를 논문으로 발표하여 공표하는 것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다. 본 연구에 대한 프로그램 실시 기간은 2021년 10월 22부터 12월 22일까지 창의 학습 시간과 방과 후 자습 시간을 활용하여 주 2회 진행되었으며, 1회기 9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2. 자료 분석방법

본 연구는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단일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사례연구는 특정한 개인에게서 드러나는 하나의 현상을 ‘어떻게’, ‘왜’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하여 이해하는 연구 방법이다(Yin, 2013). 한 개인의 연구 참여자를 중심으로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을 바탕으로 드러나는 특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사례연구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과 독특하고 복잡한 부분을 해석하여 기술한다(Kim,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법을 활용하여 마이스터 고등학교 1학년 1명의 학생에게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진로 탐색 프로그램 회기를 진행하여 매회기에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진로 탐색 활동지 및 회기별 평가지,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에 대한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또한 진로 성숙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진로 성숙 과정에 대한 참여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해석과 서술에 대한 주관성의 최소화를 위해 전문가의 슈퍼비전을 받아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수정, 보완하여 전체 상담 회기를 초기, 중기, 말기 세 단계로 분류하여 진로 탐색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3. 연구 참여자에 대한 엄격성과 윤리적 고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엄격성과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진로 탐색 프로그램 과정에 대한 안내를 자세하게 설명해 주었다. 연구 참여자 보호를 위해 인적 사항에 대한 정보는 모두 가명 사용 또는 기호화하여 기록하였다. 매 회기 녹음된 자료와 질문지, 진로 탐색 활동지와 회기별 평가지는 본 연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참여자가 파기를 요구할 시 연구 종료에 따라 영구 폐기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참여자는 연구 진행에 대한 궁금한 점에 대해 연구자로부터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연구 진행 과정에서도 본인이 원할 시 언제든지 참여 철회를 요청할 수 있다고 안내를 하였다. 자료는 연구의 엄격성과 진실성을 위해 Lincoln (1985)이 제시한 사실적 가치, 중립성, 일관성, 적합성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녹취된 문장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반복해서 읽고 참여자의 언어적인 행동과 비언어적인 반응을 자세히 살피면서 참여자의 진술 의미에 대해 중립성을 지키며 진행하였다. 일관성을 위해 면담 자료의 분석 후에는 전문가로부터 지속적인 감독을 받았으며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전체 상담 과정 동안 진로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연구 참여자에게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담 경험의 적합성과 윤리성을 높이고자 했다. 따라서 비밀을 보장하기 위해 녹음된 내용을 전사하여 참여자의 개인 정보가 나타나지 않도록 표시하였다. 또한 녹음된 파일에 대해서도 특정 숫자를 표시하여 연구 참여자의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4. 측정도구

1) 진로 성숙도

본 연구에서는 진로 성숙도 진로 선택을 위해 의사결정을 할 때 본인의 능력과 현실을 고려하여 자신의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진로 성숙도로 보았다. 진로 성숙도의 척도는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2)가 개발하여 Lee (1997)Kwon (2015) 등의 연구에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Cho (20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값 .824의 신뢰도를 확인한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척도의 구성은 계획성 5문항, 현실성 7문항, 결정성 5문항, 확고성 4문항, 자립성 4문항 등 5개의 하위 요인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의 척도는 ‘매우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의 Likert형 5점 자기보고식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진다.

2)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

본 연구에서는 진로 탐색 성숙 과정에 관한 생태 체계적 관점 변인을 통해 자기 이해와 가족의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 Huh (2009), Kim (2014), Shim (2015), K. W. Park (2015) 그리고 Jang (2018)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개인적 변인(성별, 나이, 성적, 대화 시간, 부모 학력 등) 12문항, 미시 체계 변인(가정환경, 학교 환경-교사와의 관계, 학교 환경-교우와의 관계) 15문항, 중간 체계 변인(가정또래 관계, 가정-학교 관계) 5문항, 거시 체계 변인(지역사회, 가족과 이웃과의 관계) 10문항의 총 42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문항에 대한 형식은 질문의 형태로 구성하였다.

5. 진로 탐색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Mirae Talent Research Institute (2021)에서 개발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 15장에 대한 구성을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 12회기로 재구성하여 회기별 진로 성숙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Table 2에 정리한 것과 같이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는 초기 단계, 중기 단계, 말기 단계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Yoon (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회기별 과정 평가지와 프로그램이 끝난 후의 최종 평가지를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수준과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초기, 중기, 말기 3단계는 각각 1-4회기, 5-8회기, 9-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준비과정 단계(1회기)에서는 진로 성숙도 사전 검사와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였다. 이어서 자기 이해 및 자기 탐색 단계(2~4회기), 직업탐색 및 직업 이해 단계(5~8회기), 직업 설계 및 자기 관리 단계(9-11회기), 종결 단계(12회기)까지 총 5단계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 항목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에 관한 내용은 대학교에서 진로 탐색 강의를 하는 교수 1인과 2인의 가족학 박사 및 14년의 프로그램 운영 경험으로 고등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로 근무하는 1인이 참여하여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회기별 주제와 활동에 관한 내용은 Table 3과 같이 프로그램 단계와 진로 영역 별로 나누어서 세부적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1. 진로성숙도 변화

진로 탐색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진로 성숙 과정을 검증하기 위한 진로 성숙도 검사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참여자에 대한 진로 탐색 진로 성숙도 하위 요인을 살펴보면 Table 4와 같다. 계획성은 사전 14점, 사후 23점의 점수 차이를 보였으며, 결정성에서도 사전 14점, 사후 24점으로 점수 차이가 나타났다. 확고성에서도 사전 12점, 사후 18점으로 점수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립성에서도 사전 12점, 사후 23점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현실성의 하위 요인은 점수 자체가 높은 것으로 볼 때 연구 참여자가 현실적으로 자신의 진로 탐색에 접근했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진로 성숙도에 대한 사전 총점은 74점이며, 사후 총점은 108점인 것으로 볼 때 사전·사후 점수 간 변화의 차이를 볼 수 있다.

2. 진로 탐색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회기별 변화 내용

1) 초기 단계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연구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활동지와 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하면, 프로그램 활동 과정에서 참여자는 자기를 이해하고 가족을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기를 소중히 여기고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였고, 학업성적이 향상되고 또래들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학교생활 태도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 Table 5의 단계별 상담자의 개입 내용을 살펴보면 초기 단계로 자기탐색과 가족 탐색을 실시하였고, 자신이 해야 할 일과 자신의 직업 동기를 알아보면서 개방 질문에 따라 자신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됨으로 인해 회기가 늘어날수록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중기 단계

중기 단계에서는 직업탐색을 통해 직업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진로에 대한 목표를 구체화하여 자신의 취업 준비 계획에 대한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의 정체성과 자신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며 구체적으로 자신의 직업을 찾아보도록 하면서 Table 6과 같이 연구자가 프로그램 활동지를 바탕으로 상담 내용을 기술하였다.

3) 말기 단계

말기 단계에서는 직업설계와 직업 결정, 자기관리에 대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자신을 컨설팅하는 시간을 가지게 됨으로 인해 기업에 대한 직무와 업종에 대해 알아보고 원하는 기업에 입사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계획해 보고 Table 7과 같이 성장해 가는 모습을 기술하였다.

3.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자기 평가 및 참여 소감

연구자는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에 대한 12회기를 진행한 뒤 참여자가 작성한 내용을 보면서 회기가 늘어날수록 자신을 잘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연구 참여자는 스스로 계획을 세우며 자기관리를 하게 됨으로써 불안했던 마음이 사라지고 학교생활 및 교우관계 개선과 취업 준비를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정서적인 변화와 아울러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Table 8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총괄평가 내용을 정리하였다.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마이스터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1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진로 성숙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취업을 위해 마이스터 고등학교를 선택한 예비 마스터들에게 진로 성숙 과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에게 실시한 생태 체계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 적용 은 진로성숙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두 가지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이유로는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를 기초로 하여 참여자의 자기 이해와 가족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스스로 올바른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2회기를 단독으로 진행한 점이 자기 개방과 친밀감 형성에 도움이 된 점이다. 참여자는 활동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들을 표현하고 자신의 진로를 현실적으로 접근하여 구체적으로 진로 목표와 방향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행동에서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두 번째 이유는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활동지 경험에 대한 변화를 들 수 있다. 회기별 진로 탐색 프로그램 활동지를 통해 참여자는 자기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로 및 취업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참여자 스스로 긍정적인 진로를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를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다수의 연구(S. S. Cho, 2010; Jeon, 2006; Jeong, 2001)와 대상자는 다르지만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에서는 일치한다. 따라서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진로 성숙도가 향상되기 위해서는 생태 체계적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주는 결과이다.
둘째,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적용한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성숙 과정은 진로 성숙도 하위 요인에서 사전·사후 점수 간 변화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 성숙도 하위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은 하위 변인인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에서 통계적으로 진로 탐색 프로그램 참여자의 진로 성숙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결론적으로 12회기 동안 자신에게 집중하여 심층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 명료화되었다. 또한 참여자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탐구하도록 이끌어간 자기 주도적 프로그램으로 인해, 긍정적인 성숙 과정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공업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 탐색 프로그램 효과 연구에서 실험집단에 참여한 44명 중 40명(91%)의 참여자가 자신의 진로 의식 성숙과 직업의 세계나 합리적인 의사결정 방법을 습득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Yoo, 2000)가 있는데, 실제로 진로 탐색을 위한 다양한 접근들은 어떤 형태로든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진로 탐색과 진로 성숙 과정을 생태 체계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단일 사례를 연구하였지만, 추후에는 집단상담이나, 또래 영향을 배려한 정보 교류, 목표 설정 등의 공통 토론 등을 통해 진로 성숙 과정을 도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2. 제언

본 연구에 관한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단일 상담사례 연구로 1개 지역 1개 고등학교 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생태 체계적 관점 진로 탐색 프로그램 효과에 관해서는 확인이 되었으나 일반화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추후 다양한 집단이나 또래 집단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연구들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취업 및 진로 성숙 과정에 대한 자기 탐색 연구로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시간과 기간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학교 교육 과정과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도 다양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진로 성숙 과정에 대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은 운영되지 않고 있어 추후 취업 준비를 위해 고민하는 청소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취업을 목적으로 마이스터 고등학교에 입학했지만, 정보가 부족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자기 탐색을 통해 진로를 준비하는 데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 declares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Table 1.
Conceptualization of the Cas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구분 내용
참여자 특성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 1학년(17세)에 재학 중인 남학생이며 180cm 정도 큰 키와, 적당한 체구, 쌍꺼풀이 없는 중간 정도의 찢어진 눈매와 하얗고 갸름한 얼굴형에 스포츠형 머리를 하고 90도의 인사를 하며 들어왔다. 대상자와 면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7세 때 아버지를 병으로 떠나보낸 경험이 있었다. 어머니 혼자서 생계를 책임지며 누나 세 명과 본인을 양육하는 모습을 보면서 스스로 책임에 대한 무게를 느끼고 빨리 취업하여 어머니를 쉬게 해주고 싶어서 타 지역에서 U지역으로 혼자 가족의 품을 떠나 기숙사 학교에 왔다고 했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 왔다 보니 친구가 없고, 환경 적응에 대한 어려움으로 학기 초부터 교우관계의 어려움과 취업에 대한 압박감으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었다고 했다. 2021년 신학기 4월 학교에서 실시한 학생 정서·행동 특성 검사에서 관심군 학생으로 선별되어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기관을 통해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자기 보고용(ASEBS) 검사를 실시한 결과 문제행동 T 점수 42점, 내재화 척도 T점수 47점, 외현화 척도 T점수 45점, 모두 정상 범위로 나타나 임상 범위에 해당하는 문제행동 증후군은 없음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DSM-5 진단 척도 결과 해석에서도 정서, 불안, 신체화, 품행 문제까지 모두 T점수 50점으로 나타나 임상 범위 기준 문제없음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상자와 심층 면담 과정에서 또래 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 문제와 진로에 대한 고민을 호소하여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기관에서는 학교 내에서 관심 군(자살) 학생으로 관리하기보다는 또래 관계 및 진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진단이 내려졌다. 교내 정서·행동 위원회 협의회를 통해 대상자에게 필요한 교우관계 및 진로 문제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함께 지원하기로 하였다.
참여자 가족 사항 모(57): 어머니는 희생적인 분이다. 동네에서 작은 분식집을 운영하면서 어려운 가정환경에서도 누나 세 명과 자신을 공부를 시켜주셨다. 몸이 불편해도 힘든 내색을 하지 않고 아버지의 빈자리를 대신하여 가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 어머니가 중졸이라 똑똑하지는 않았지만, 항상 옆에 있어 주시고, 믿어주시고, 묵묵히 지켜봐 주시는 분이라고 하였다.
큰누나(36): 경제적으로나 심리적 문제가 있을 때 가장 힘이 되는 존재라고 하였다, 자신이 초등학교 4학년 때쯤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누나는 이혼을 해서 초등학교 5학년, 3학년 남자 조카 두 명과 현재 어머니와 같은 동네에 살고 있다고 하였다. 큰누나는 일찍 직장을 다니면서 경제적으로 집안에 도움을 많이 주었고 자신이 어린 시절 아버지가 없는 자리를 느끼지 못할 만큼 채워주었으며 가족 모임 등 집안일에 대해서는 큰누나의 결정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둘째 누나(20):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지역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직장 생활을 하고 있다. 누나와 의논을 가장 많이 하는 편이고 궁금한 부분이 생기면 질문하는 사이라고 하였다. 마이스터고에 입학하기까지 둘째 누나의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다고 하였다. 둘째 누나는 직장 생활하면서 경제적으로 가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누나(18):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며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고 했다. 밝은 성격이며 농담을 잘한다고 하였다. 대상자 본인과 나이 차이가 나지 않아서 자주 다투기도 하지만 엄마와 함께 있어 주기도 하고 집안일을 도와주기 때문에 고마운 존재라고 표현하였다.
참여자의 발달사 참여자 어머니의 의견에 의하면 신체 발달, 언어발달,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에 대해서는 아무런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잘 성장하였으나 자녀의 부가 병으로 가족들과 이별하게 됨으로 인해 경제적인 어려움이 발생하면서 많은 보살핌을 받지 못했다고 하였다. 특히 어머니가 힘들게 살아오는 과정을 지켜보아서 그런지 유치원 시절부터 지금까지 말썽 한 번 부리지 않았고, 문제를 일으켜 학교에서 연락 한 번 온 적이 없는 착한 아들이라고 하였다. 참여자는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1남 3녀 막내로 태어났으며,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다. 어머니가 동네에서 작은 분식 가게를 운영해서 누나 셋과 참여자를 힘들게 공부시켰다고 하였다. 어머니는 아버지 병간호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항상 바쁘셨기 때문에 유치원 행사나 학교 행사에 오지 않아서 어린 마음에 울었던 기억이 있다고 하였다. 유치원 선생님과 초등학교 선생님께서 함께했던 기억으로 참여자는 선생님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간직하고 있었다. 참여자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 뚱뚱하다고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하는 등 자존감이 떨어지고 친구 없이 힘들었던 시기를 보낸 적이 있다고 하였다. 독한 마음을 먹고 열심히 운동한 결과 살이 빠지면서 친구들도 생겼고 중학교 1학년에 들어가면서 인기가 많아졌고 여자 친구도 생겼는데 지금까지 사귀고 있다고 하였다. 중학교 2~3학년 시절 즐겁게 보낸 시기도 있었지만, 고등학교 진학을 할 무렵 방황을 하는 시기도 있었다고 하였다. 담임교사와 진학 상담을 통해 가정의 어려움으로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에 대한 추천을 받았지만,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기 때문에 혼자서 고민을 많이 했다고 하였다. 가족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없었지만, 인문계 고등학교보다는 특성화고등학교에 가기를 바라는 것 같아서 취업이 잘될수 있는 곳을 선택하여 입학했다고 하였다. 신학기에는 지역에서 지역으로 진학을 했기 때문에 친구도 없었고 기숙사 환경 적응 문제와 교우관계 및 취업에 대한 진로 문제까지 고민하게 됨에 따라 걱정으로 인한 불안 및 우울한 감정을 많이 느끼게 되었다고 하였다.
참여자의 주 호소 문제 연구 참여자는 취업을 목적으로 마이스터고에 입학하였지만 다른 지역에서 왔기 때문에 교우관계의 어려움과 취업에 대한 걱정이 많이 된다고 하였다. 다른 학생들은 주말이면 학원까지 다니면서 성적관리와 자격증 준비를 한다고 하는데 가정 형편상 학원에 다닐 수 없어서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면서 자격증 취득을 해야 한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참여자 스스로 진로 결정, 진로 정보 부족, 불안 및 우울 감정들을 호소 문제로 나열하였다.
사례 개념화 연구 참여자는 어린 시절 오랫동안 지병 생활을 하는 아버지를 지켜보았고 제대로 된 아버지상을 보지 못하고 이별하는 경험을 하면서 성장하였다. 특히 본인을 제외한 가족 모두 여성으로 이루어져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부터 지금까지 사춘기를 보내면서 지지를 받지 못했던 경험이 있었다.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 다른 가족들에게 신경 쓰지 않게 하려는 자신의 감정을 억압함에 따라 감정에 대한 의사 표현을 잘하지 못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시절 친구에게 놀림을 당하면서도 가정에 이야기하지 못함에 따라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고 힘듦을 혼자 참으면서 여러 불안 증상이 있었던 것으로 보였다. 남학생의 사춘기 성장 시기와 편모 가정에서 가장의 역할에 대한 무게감을 느끼면서 안정감을 느끼지 못했던 것이 힘듦을 느끼게 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참여자는 친구들의 놀림을 극복하고 친구들과 잘 지냈던 점과 학업에 대한 능력과 기대, 자신이 가진 역량은 충분하므로 참여자에게 진로 탐색 과정을 통해 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충분한 지지와 격려, 대인관계에 대한 점차적인 성공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진로에 대한 불안감으로 발생한 우울감은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 참여자의 강점은 신중한 성격이며, 책임감이 있는 사람이라고 했다. 교사에 대한 좋은 기억으로 친근감을 가지고 있으며 예의가 바르고 교사에게 자기표현을 잘하는 편이었다. 참여자의 약점은 도전을 두려워하며 시작하지도 않은 일에 걱정하여 일을 미루게 되는 부분이 있다고 하였다. 참여자의 주변 환경을 살펴본 결과 공감과 지지를 해주는 자원이 부족하다.
Table 2.
Goal by Each Stage of the Program
단계 목표 내용
초기 단계 라포 형성 참여자의 자기표현과 연구자의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자기 탐색 및 가족 탐색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성찰할 기회를 얻고 장점을 발견하여 자신의 욕구를 표현한다.
자기이해
가족 탐색
중기 단계 직업탐색 직업탐색을 통해 직업을 이해하여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진로에 대한 목표를 구체화하여 자신의 취업 준비 계획에 있어서 자신의 의사를 올바르게 결정할 수 있도록 자신의 정체성을 정하고 특징을 살려 NCS를 기반으로 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본다.
직업 이해
나만의 정체성 정해보기
말기 단계 직업설계 자신을 컨설팅하여 기업과 업무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자신에게 맞는 업종을 선택하기 위한 요령을 익힌다. 자신이 원하는 직장에 입 사하기 위한 준비과정과 자신의 긍정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자신의 미래 모습을 생각하면서 자기관리를 통해 성장해 나가도록 한다.
직업 결정
자기관리
Table 3.
Topics and Activity Contents by the Session of the Program
단계 회기 진로영역 생태체계 진로성숙 프로그램 주제 활동 내용
초기 1 준비 과정 개인/가정 현실성과 사전조사 - 첫 만남 및 자기 탐색 - 프로그램 설명
- 사전검사(진로 성숙도)
-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
- 회기별 과정평가
2 나와 가족 이해 및 자기 탐색 개인/가정 현실성과 자기이해 - 나를 알아가요 - 나의 이야기
- 가족 이야기
-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를 통한 자기 성찰
- 회기별 과정평가
- 과제 1(커리어넷 사이트에서 흥미, 적성, 가치관) 검사 결과와 직업군 5가지
- 과제 1(커리어넷 사이트에서 흥미, 적성, 가치관) 검사 결과와 직업군 5가지 알아 오기
3 개인 확고성과 일에 대한 태도 - 내가 해야 할 일 - 흥미와 적성 알아보기
- 나의 가치관 탐색하기
- 먼저 생각해 보기
- 회기별 과정평가
4 개인/지역사회 자립성과 자기이해 - 나의 직업 동기 알아보기 - 직업 동기란?
- 나의 직업 동기 알아보기
- 직업 동기 TEST 실시
- 회기별 과정평가
- 과제 2(입사하고 싶은 기업 3곳을 작성하고 그 이유(3곳의 기업 채용정보, 관련 자격증, 요구하는 능력 조사하기)
중기 5 직업탐색 및 직업이해 학교/지역사회 계획성과 정보 - 취업 목표 구체화하기 - 직업 지도란?
- 직업 지도 그리기 전 준비사항
- 직업 지도 그리는 방법
- 직업 지도 사용하기
- 회기별 과정평가
6 개인 결정성과 합리적 의사 결정 - 의사결정 능력 - 의사결정이란?
- 나는 어떤 의사결정 유형인가?
- 의사결정 시 주의점
- 합리적인 의사결정 절차
- 합리적인 의사결정 하기
- 회기별 과정평가
7 또래/학교 지역사회 계획성과 준비 행동 - 전문가가 되기 위한 나만의 준비 방법 - 전문가의 의미
- 전문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 전문가로 일 잘하는 인재는?
- 내가 선택한 직업의 세계에서 어떻게 해야 일을 잘하는 사람일까?
- 회기별 평가
8 개인/학교 현실성 계획성 - 나만의 정체성 정해보기 - 정체성 개념
- 자신의 정체성 정하기
- NCS를 기반으로 한 자기소개서 작성하기
- 회기별 과정평가
- 과제 3(통계청 홈페이지) 나에게 맞는 직업 찾기 분류하기
말기 9 직업설계 및 자기 관리 개인/학교 현실성 결정성 - 자신을 컨설팅하라(직업) - 직업이란?
- 나에게 맞는 직업 선택 요령
- 나의 직업 탐색하기
- 회기별 과정평가
10 개인/또래/가정/지역 사회 현실성 결정성 - 자신을 컨설팅하라(업무) - 업무란?
- 업무 내용?
- 업무의 키포인트
- 나의 업무(직업) 탐색하기
- 회기별 과정 평가
-과제 4(산업 설비과에서 원하는 직장을 가기 위해 어떤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가? 그리고 자기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5년 뒤, 10년 뒤 나의 직업과 수입은 어느 정도 되는지 작성해 오기
11 개인/가정/ 학교/지역 사회 현실성 계획성 결정성 - 구체적인 희망 기업 선정과 WHY - 희망 기업 선택 조건
- 원하는 직장을 선택하기 위한 질문
- 희망 기업 선택 방법
- 산업 설비과에서 자신이 원하는 직장을 가기 위해서는 어떤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가?
- 자신이 원하는 직장을 가기 위해 지금부터 자기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 회기별 과정평가
12 종결 개인/학교 현실성 계획성 결정성 - 마무리 및 총 평가 - 나의 꿈 관리계획
- 사후 검사 실시(진로 성숙도)
- 회기별 과정평가
- 진로 탐색 프로그램 총 평가 시행
Table 4.
Comparison of the Career Maturity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계획성 현실성 결정성 확고성 자립성 총점
사전 14 22 14 12 12 74
사후 23 23 24 18 20 108
Table 5.
Contents of Details of Counseling and Intervention per Session –Early Stage
단계 활동 내용 회기 회기별 상담내용 및 상담자 개입 내용
초기 단계 첫 만남 및 자기 탐색 1회기 진로 성숙도 사전검사와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나는 이런 사람이야.” 활동지를 통해 자기와 가족을 소개하였다. 참여자의 애칭은 “불곰”이며 자신을 형용사로 표현하면 착하고, 듬직하고, 계획적인 사람이라고 하였다. 참여자가 좋아하는 사람의 특성은 ‘예의가 있고’, ‘인성이 바른 사람’이라고 하였으며 자신의 주변에 그런 사람이 많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참여자는 가족 소개에서 내 가족은 어머니와 누나 셋이라고 소개를 하였다. 참여자가 좋아하는 연예인은 미소가 예쁜 최수빈이라고 했으며, 신서유기 TV 프로그램을 즐겨 본다고 했다. 좋아하는 음식은 냉채족발이라고 말하면서 연구자와 눈이 마주치자 “어른 입맛이에요” 하면서 미소를 보였다. “나는 약속합니다”. 활동지를 통해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의 규칙을 정하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내용을 작성하며 날인을 하였다.
인터뷰: 프로그램을 통해 해결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학교 친구들과 잘 지내고 싶다.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워서 공부도 잘하고, 대기업이나 공기업에 취업하고 싶다.
1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학교 부적응으로 인한 교우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진로에 대한 고민을 수용하고 공감하면서 참여자의 변화 의지를 강화하고 지지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긍정적으로 기대하게 되었으며 교우관계의 어려움과 진로 및 취업에 대한 불안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다. 아버지의 부재로 인한 어린 시절의 어려움과 참여자의 경험을 경청한 뒤 연구자와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자신의 발달과정을 공감받게 되면서 안정감을 찾을 수 있었다.
나를 알아가요 2회기 인생 그래프를 통해 본인 이야기와 생태 체계 관점 질문지를 바탕으로 가족 이야기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는 가장 즐거웠던 시기를 중학교 2학년부터 3학년 초까지 친구들과 어울리며 놀았던 시기가 가장 행복했고, 현재 1학기 중간고사 성적이 1학년 전체 설비과에서 2등을 하게 되어 기쁘고, 친구도 생겼고, 반장까지 하게 되어 학교생활은 만족한다고 했다. 가장 슬펐던 시기는 7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당시 어렸지만 매우 슬펐고, 유치원과 초등학교 시기 어머니는 장사하시느라 학교 행사에 참여하지 못해 속상해서 울었던 기억과 초등학교 때 친구들이 뚱뚱하다고 놀려서 힘들었던 시간이 있었고,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진로를 결정하는 시기에 우울한 감정이 많았다고 했다. 미래 자신의 모습은 지금부터 열심히 준비해서 3학년 때 원하는 곳에 취업을 해서 즐기면서 행복한 생활을 하고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에 대한 개인 변인에서, 가족들과 평소에도 대화가 별로 없는데 고등학교 들어와서 기숙사 생활을 하다보니 더욱 대화할 기회가 없다고 했다. 학업성적은 상위 5% 수준이며, 가족들은 각자 바쁘게 살고 있지만 비교적 화목하다고 했다. 미시체계 변인에서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관한 질문에서 부모님(모)은 전혀 엄격하지 않고 가족들과 진로에 대한 소통이 없으며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고 했다. 학업 분위기에 관한 질문에서 가정에는 공부할 분위기가 되어 있지 않아 시험 기간에는 근처 카페에 가서 공부를 한다고 했다. 격려를 해주는 사람은 부모님(모)보다 누나들이 해주는 편이며, 가족이 모두 모여서 식사를 하는 경우는 한 달에 2회 정도인데 약속은 큰 누나 의견에 따라서 이루어진다고 했다. 교사와의 관계 질문에서 담임 선생님은 인격적으로 대해주고, 자신을 존중해주며, 인정해 준다고 했다. 교우관계에 관한 질문에 대해 가족보다 친구가 더 편하고 평소 고민도 가족보다 친구에게 의논할 정도로 존재감이 크며, 친구가 많지는 않지만 학교에서도 친구들과 어울리며 공부를 같이 한다고 했다. 중간 체계 변인인 가정 학교 관계 질문에서 어머니께 자신의 일로 신경 쓰이게 하고 싶지 않아서 학교와 관련된 일에 대해서 말을 잘 하지 않는다고 했다. 가정 또래 관계 질문에서 어머니가 걱정하지 않도록 누구와 어디에 있는지 미리 알려주는 편이며, 이성 친구를 사귀는 것도 알고 있다고 했다. 거시 체계 변인(지역사회, 귀하의 가족과 이웃과의 관계)의 지역사회 대한 질문에서는 생계유지를 위해 장사를 하시는 어머니는 지역사회 및 종교생활에서 도움을 받고 있어서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했다.
인터뷰: 가족 중 본인은 누구에게 가장 의지할 수 있고, 지지자가 되어 주는 사람은 누구인가? 어릴 때는 제일 큰 누나에게 용돈도 받고 물어보는 것도 많았는데, 지금은 둘째 누나에게 질문을 한다고 했다. 이유는 나에게 지지를 가장 많이 해주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서로 통하는 것이 많다고 했다. 어머니는 바쁘기도 하고 나에 대해 잘 모르시지만 항상 믿어주시고, 누나들은 잘 들어주고, 빨리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했다.
2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나의 이야기와 생태 체계적 관점 질문지를 통해서 가족에 대한 억압된 마음을 표현하게 하였다. 7세 어린 시절 아버지와 이별을 경험하고 청소년이 된 지금까지 누구와도 나누지 못했던 말을 본인 스스로 표현하면서 이별에 대한 슬픔도 느꼈지만, 아버지에 대한 좋은 추억을 떠올리며 소중한 기억을 간직하는 시간이 되었다. 불안과 불편함을 편안하게 표현하면서 가족에 대한 책임감보다는 자신의 진로 성숙으로 미래에 대한 행복한 사회생활을 이루고 싶은 욕구로 연결될 수 있었다.
내가 해야 할 일 3회기 프로그램 시작 전 과제 확인을 통해 참여자의 직업적성 검사 결과 1순위는 자연 친화력(93.9)이다. 관련 직업에는 친화 관련, 농업 관련, 환경 관련 전문직이 나왔다. 자신과 왜 비슷하다고 느끼는지 물어보자 참여자는 자신이 마이스터고에 오지 않았다면 인문계 고등학교에 가서 수의사가 되기 위한 전공을 선택했을 거라고 했다. 어린 시절 수의사의 꿈을 꾼 적이 있었는데 만약 수의사가 되지 않았다면 농 기계를 개발하는 직업에 관심을 두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지금 마이스터고에 온 것에 대해 후회는 하지 않는다고 했다, 참여자의 직업 가치관 검사 결과 1순위는 일과 삶의 균형(20), 소속감(20), 성취(20)로 나왔으며, 2순위는 안정성(19), 보수(19)로 나왔다. 참여자는 자신이 생각할 때 안전 지향형인 것 같다고 하였다. 충분한 보수를 주는 안정적인 직장에서 일할 수 있기를 바라며, 삶과 일의 균형을 유지하며 자족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삶을 살고 싶다고 했다. 직업적 목표를 구체적으로 적어보기에서 참여자는 적성검사에서 가장 높았던 자연 친화 능력과 그다음으로 높았던 농업 관련 계열에서 설비 쪽 일을 담당하고 싶어 했다. 취업 희망 기업 3곳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는 농업 설비 관련 기업과 현대중공업과 삼성 SDI로 작성했다. 참여자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적성과 흥미 가치관에 대해 검사를 해보고 다양한 직업을 찾아보게 되어서 좋아했다. 무엇보다 궁금할 때 정보 사이트를 통해 어떻게 찾아보는지 알게 되어 도움이 되었다고 했다.
인터뷰: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가족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둘째 누나의 영향을 받는 것 같다고 했으며, 중견기업에 다니는 누나를 보면서 보수 문제와 직원 복지가 잘 되어 있는 기업에 가고 싶은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고 했다.
3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적성·흥미·가치관 검사를 통해 참여자의 적성과 흥미 그리고 가치관에 대해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조력하였다. 적성을 기반으로 어울리는 기업을 선택하고 정리를 하면서 변화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나의 직업 동기 알아보기 4회기 연구자는 참여자가 지난주 관심을 가졌던 농업계열 직업에 대해 알아보았는지 확인을 하였다. 참여자는 자신이 생각했던 것과 달라서 더 알아보지 않았고 지금 준비하는 직업에 집중하기로 결론을 내렸다고 했다. 직업을 통해 얻고 싶은 가치 3가지는 첫 번째 미래는 보수를 얻어 노후나 사업을 위해 필요하다. 두 번째 가정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직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나는 일을 하면서 받은 스트레스는 취미생활을 하면서 해결할 것이다. 어떤 가치를 얻기 위해서 일을 하는지 우선순위를 정하는 부분에서 1순위의 가치는 미래이며 이유는 오랜 꿈이기도 하고 노후가 연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2순위는 자신이며 어디에서든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3순위는 가정이다. 이유는 행복한 가정이 삶을 유지하는 데 나에게는 큰 힘이 될 것 같다. 직업 동기 테스트 결과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루며,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것에 동의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참여자는 직업 동기를 통해 어떤 가치를 얻기 위해서 일을 하는지 알게 되어서 좋았고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이 되었다고 했다.
인터뷰: 성장 배경이 직업 동기를 알아보는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자신보다는 항상 타인과 가족을 먼저 생각하고 행동을 했는데 프로그램을 하면서 자신이 존재해야 가족들도 챙길 수 있고, 자신이 행복해야 그 행복한 마음으로 상대방을 대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생각하거나 지금까지 못 해본 것들을 직업 동기를 통해 할 수 있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4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보다는 참여자의 마음에 공감해 주면서 지금부터 준비를 잘해서 취업한 뒤 주변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조력하였다. 직업 동기에서 자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됨으로써 가족을 챙겨야 한다는 부담감을 내려놓고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가치를 발견한 것으로 보인다.
Table 6.
Contents of Details of Counseling and Intervention per Session – Mid-Stage
단계 활동 내용 회기 프로그램 활동 내용
중기 단계 나의 취업 목표 구체화 하기 5회기 자격증 시험 합격 소식을 알려주었다. 축하 인사를 나누고 지난 시간 과제를 확인했다. 참여자는 시험 때문에 잘하지 못했다고 했지만, 열 심히 한 흔적이 보여 지지해 주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좀 더 보충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하자 참여자는 “다행이에요” 하면서 미소를 보였 다. 취업하고 싶은 기업 세 곳을 작성하고 그 이유도 적어보자고 했다. 참여자는 삼성 SDI, 한전 KPS, 현대중공업 세 곳의 기업을 작성했 다. 이유는 안정된 직장 생활을 하게 됨으로써 가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졸업 후 근무하고 싶은 직무는 설비 관리직이며 이유 는 현재 전공학과와 잘 맞기 때문이라고 했다. 조사해 온 것을 바탕으로 직업지도를 그렸다. 취업하고 싶은 기업은 현대중공업이며, 지원 분야는 설비관리 및 현장관리이며, 지원 자격은 토익점수 450점 이상, 내신 성적 70% 이상, 자격증은 기본 2개 이상이라고 했다. 본인의 계획으로는 2022년 학기 초에 특수용접을 취득할 예정이며, 설비보전 기능사는 2022년 학기 중반에 취득할 계획이라고 했다. 2학년 중 반까지 필요한 자격증은 모두 취득할 예정이며, 2학년 하반기부터는 필기시험 준비와 토익 공부를 하여 논술(면접 준비) 시험 준비를 할 계획을 세웠다. 현대중공업 탈락 시 한전 KPS 또는 삼성 SDI 기업에도 도전을 한다고 했다. 지원 분야와 자격증 보유가 비슷하기 때문에 가능하며, 내신 성적은 80% 이상이며, 필기시험 준비를 위해 문제를 꾸준히 풀면서 학교장의 추천서를 받기 위해 내신 관리를 한다고 했 다. 논술 준비를 위해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인터뷰: 과제를 하면서 직업들을 찾아보았을 때 어려운 점과 느낀 점? 가고 싶은 기업에 대해 찾아보아서 재미있었고 흥미로웠다. 고졸 취업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걱정했는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선생님과 함께 다양하게 찾아보면서 직업에 대한 궁금한 점을 해결할 수 있어서 좋았다.
5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진로 성숙 과정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조력하였다. 가고 싶은 기업을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찾아보고 정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아야 한다는 생각의 변화가 생겼다. 그리고 원하는 기업에 대해 알아보는 방법을 배웠고 앞으로 더욱 기대된다고 한 것으로 보아 궁금한 점이 해결되면서 진로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나의 의사 결정 유형 6회기 참여자는 회기별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면 생각도 많이 바뀌고 교실에서 수업을 받거나 자격증 관련 공부를 하면서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면서 정리를 해본다고 하였다. 무엇보다 주말에 집에 가면 가족들과 대화를 하는 시간이 많이 늘어나고 학교생활과 진로에 대해 가족들이 관심을 많이 가져준다고 했다. 참여자의 의사결정 유형은 합리적인 유형으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으로 결정을 하고, 그 결정에 관해서는 책임을 지는 유형이 자신과 비슷하다고 했다. 합리적인 의사결정 절차를 위해 참여자는 1단계 문제 파악을 현대중공업과 삼성 SDI에 입사하기 위해 선정했다. 2단계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보 수집을 했다. 그리고 3단계 문제 해결을 위한 기준 설정으로 합격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토익 500점 이상, 부족한 자격증(특수용접, 실비 보전 자격증) 확보와 NCS 시험 준비, 자기 소개서와 논술 및 면접 준비로 설정했다. 4단계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찾기에서 겨울방학 동안 해야 할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 보충하는 것으로 대안을 찾았다. 5단계에서 방학 동안 토익 인터넷 강의를 듣고, 방학이 끝나고 새 학기가 되면 친구들과 NCS 준비를 위한 스터디반 개설을 하여 면접 준비를 하겠다고 했다. 참여자는 이번 회기가 조금 어렵게 느껴졌지만 기억에 많이 남는다고 했다.
인터뷰: 주변 사람들로부터 의사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 받은 영향은? 개인 주장을 내세우거나 독단적인 행동은 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이 하는 것을 같이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6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자신이 원하는 기업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하였다. 회기가 지날수록 원하는 기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자신감이 생긴 것에 공감을 해주었다. 무엇보다 가족들과 대화 시간이 늘어나고 관심을 받는 등 가족관계에 변화가 생겼다.
전문가가 되기 위한 나만의 준비 방법 7회기 전문분야를 제대로 갖추기를 위한 준비 방법에 대해 안내를 하였다. 참여자는 전문분야라고 하니까 좀 어렵게 느껴지고 뭐든지 많이 알 고 잘하는 것처럼 느껴져서 뿌듯함도 있을 것 같다고 표현하였다. 전문가로 인정받으면 보수가 달라지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관심도 받 게 되면서 앞으로 더 잘하기 위해 더 노력할 것 같다고 했다. 일 잘하는 평가는 어떤 경우가 있는가? 똑같은 일을 해도 알아서 잘하고 남 보다 깔끔하고, 마무리를 잘하는 사람, 그리고 대인관계가 좋고 자기 관리를 잘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교실에서는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 가? 반장이라서 교사의 말을 잘 알아듣고 전달을 잘해서 친구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고 했으며, 시험 기간에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면 서 알려주기도 해서 반 애들이 잘 따르고 협조도 잘해주기 때문에 친구들과 담임 선생님께 괜찮은 사람으로 평가받을 것 같다고 했다. 취 업했을 때 기업에서 뛰어난 인재로 인정받기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 책임감을 키우고, 인성과 교양을 갖추면서 자기 계발을 꾸준히 해야 한다. 무엇보다 실습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했다.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도 우수한 인재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건강한 학교생활과 책임감 그리고 자기 관리를 통해 학업성적, 자격증, 토익, NCS 성적관리를 해야 한다고 했다, 혼자서 준비하면 중간에 포기하거나 진행하다가 막히면 그만둘 수도 있는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궁금한 부분을 바로바로 해결할 수 있어서 너무 좋고 감사하다 고 했다.
인터뷰: 롤 모델은? 학교 설립자이신(故) 정주영 회장이다. 이유는 편견이 없는 사람이라고 느꼈으며 다른 사람들을 위해 많은 부분에 업적을 남겼기 때문이다.
7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자기 관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조력하였다. 리더십이나 스펙 쌓기, 학교생활 관리 등 취업했을 때 모두 중요할 것 같다. 직접 쓰면서 생각해 보니 좀 더 구체적으로 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그리고 우수한 인재로 평가받기 위해 생각하면서 준비해야 하는 것을 흥미로워했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해 기록하면서 실천하도록 권유했다.
나만의 정체성 정해보기 8회기 참여자는 지난 시간 프로그램이 끝나고 다음 회기를 설명한 부분을 생각해 보면서 집에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왔다. 정해진 양식은 아니지만, 참여자가 미리 작성했다는 것에 대해 의미를 두고 지지를 해주었다. 자신에 대한 강점과 단점을 적어보게 하고 태어나서 지금까지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적어보게 하였다. 자신의 강점은 배려심이 많고 계획성 있게 행동하며, 집중력이 좋고 예의가 바른 사람이라고 했다. 신중한 선택을 위해 생각이 많으며 쉽게 포기하지 않는 성향이라고 했다. 자신의 단점은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거나 생각이 많아서 선택할 때 시간이 걸리며 조금 느린 편이라고 했다. 태어나서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경험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 뚱뚱하다고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한 적이 있었다. 그때 힘든 과정이 있었지만, 끈기 있게 운동하여 살이 많이 빠졌다. 그리고 중학교에 올라가서 인기가 많아지면서 친구들도 생겼고 여자 친구도 사귀게 되었다. 고등학교에 들어와서 신학기 어려운 시기가 잠시 있었지만, 반장을 하게 되었고 1학기 중간고사에서 산업 설비과 전체 2등까지 하게 되었다. 다른 지역에서 왔지만 친구도 생겨서 학교생활도 즐겁게 하고 있으며 성실하고 리더십이 있는 사람이라고 소개했다. 마이스터고 학생이 대기업 및 공공기관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자기소개서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NCS를 기반으로 한 자기소개서 작성을 해보았다. 성장 과정과 학교생활, 자신의 성격 장·단점, 지원 동기 및 입사 후에 대한 장, 단기 목표와 포부를 기록하면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인터뷰: 아버지의 부재로 인해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아버지가 계셨다면 아마도 마이스터고에 오지 않았을 것 같다. 어린 시절 꿈이 수의사였기 때문에 인문계 고등학교에 입학해서 의대를 가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을 것 같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지금 선택한 부분에 대해서 후회는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8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현재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조력하였다. 자신의 강점과 단점을 알아보면서 자기소개서를 정리해 본 것 같아서 자신감이 생겼다고 하였다. 오늘 연습한 것을 바탕으로 수정해 가면서 계속해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갈 수 있도록 수정하여 완성본이 나올 수 있도록 권유를 했다.
Table 7.
Contents of Details of Counseling and Intervention per Session – Last Stage
단계 활동 내용 회기 프로그램 활동 내용
말기 단계 자신을 컨설팅하라(직업) 9회기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찾은 자료를 바탕으로 직업과 업종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하고 참여자에게 맞는 업종 선택 요령에 대해 추가 설명을 했다.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과 업종을 선택하는 것이 장래성, 급여(복지) 등과 함께 행복함과 즐거움으로 직장 생활을 하는 데 중요함을 강조했다. 참여자는 법률이 정한 21개의 업종에 대해 인터넷 포털에 접속하여 자신에게 맞는 업종 찾기를 진행했다. 우선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중공업과 관련하여 검색을 한 결과 대분류에서 C 제조업으로 표기를 했으며 중 분류, 소분류, 세 분류, 세세 분류까지 분류 코드를 꼼꼼하게 작성하였다. 참여자는 업종 찾기를 통해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게 알게 되었고 다음 시간에 하는 업무에 대해서도 기대가 된다고 했다.
인터뷰: 직업 선택에 있어서 본인에게 가장 중요시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직업에 대한 장래성을 중요시한다. 예를 들어 용접한다면 미래에는 로봇이 할 수 있어서 미래를 보고 장래성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9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과 업종 선택은 앞으로의 장래성은 물론 행복하고 즐거움을 느끼면서 직장 생활을 할 수 있어서 중요함을 강조했다. 막연하게 취업하겠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정보를 찾을 수 있어서 좋았으며 통계청 사이트에서 업종 찾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여자가 인터넷 사이트를 활용하여 궁금한 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고 그런 과정을 통해 직업에 대한 심리적 에너지가 충전된 것으로 보인다.
자신을 컨설팅하라(업무) 10회기 지난 시간과 연결하여 직무에 관해 설명했다. 참여자는 자신이 근무하고 싶은 업무를 정할 때 안정성이 보장되고, 장래성이 있고, 무엇 보다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직업을 기준으로 선택할 것이라고 했다. 통계청 한국 표준 직업분류 표를 활용하여 자신이 종사하고 싶은 직업을 선택하고 정보를 찾아보도록 하였다.
통계청 홈페이지 접속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직무 찾기를 실시하여 자신이 가고자 하는 기업을 중심으로 업종 대분류에서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를 선정하였으며 중분류, 소분류, 세 분류, 세세 분류를 통해 자세하게 탐색해 나갔다. 참여자는 지금까지 직무가 뭔지 몰랐고 찾으면서도 조금 헷갈렸다고 했다. 연구자는 본인이 원하는 기업에 들어가서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그 분야에 대해 알아야 하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를 해주었다. 참여자는 지난 시간에 배운 것과 오늘 배운 것을 중심으로 진로 계획을 잘 세워서 준비해 보겠다고 하였다.
인터뷰: 직업 선택에 있어서 가족들이 미치는 영향은? 마이스터고 입학 이후부터 어머니께서는 대기업(중공업)에 들어갔으면 하는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둘째 누나는 대기업에 들어가서 추천서를 써 달라고 하는 농담을 하기도 한다. 처음에는 취업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언제부터인가 대기업에 들어가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서 취업 준비를 하고 있다.
10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직무에 대해 배우고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자신이 아는 것을 친구들에게 알려주기도 하는 적극적인 모습과 직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운 것을 지지해 주었다. 자신의 강점과 단점을 통해 자기소개를 작성해 가면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안내를 해주었다.
구체적인 희망 기업 선정과 HOW 11회기 직업과 직무를 적어보면서 희망하는 기업을 선택하기 위한 필요조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참여자는 지금까지 진행된 부분을 가지고 자신의 적성과 목표를 분명히 해서 자신에게 맞는 기업을 선택하겠다고 하였다. 참여자가 희망하는 5년 뒤 기업은 현대중공업이며, 업종은 관리직과 용접사이다. 그리고 월수입은 300만 원을 적었다. 10년 뒤 직업은 수의사로 적었으며, 월수입은 500만 원 이상이라고 했다. 연구자는 진로 변경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있는 부분에 관해서 이야기를 좀 더 나누었다. 참여자는 중공업에 합격해서 안정적인 생활을 하면서 어머니께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고 싶다고 했다. 5년 뒤 기회가 된다면 돈을 모아서 진로 변경을 통해 자신이 하고 싶었던 수의사 공부를 다시 도전해 보고 싶다는 표현을 하였다. 진로 변경에 대한 자기표현을 하는 것에 대해 수용과 공감을 해주며 급여를 받게 되면 가정에 도움을 주는 것과 저축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진로 변경에 대해서도 도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자신의 입장과 느낌을 가족들에게 표현할 것을 권유했다. 참여자는 웃으면서 안 할 수도 있지만, 희망 사항이라고 답변을 하였다.
인터뷰: 현대중공업에 취업을 하겠다는 이유와 그리고 그 결정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은? 설립자의 자서전을 읽고 중공업에 취업을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고, 현대중공업에서 퇴직하신 어머니의 지인이 좋은 이야기를 많이 해주었다. 그리고 가족의 영향은 대기업에 가면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길 수 있어서 고생하고 계시는 어머니가 장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11회기 개입 및 상담 과정 성과: 취업에 필요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수용하고 공감하였으며, 가족들에게 자신의 진로 변경과 욕구에 대해서도 표현할 수 있도록 조언하였다. 지금까지 경험하는 과정을 공감하며 변화와 성장에 대한 지지를 해주었다. 정리를 통해 확실한 목표를 세우고 다짐을 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마무리 및 총 평가 12회기 프로그램 마지막 회기에 대해 안내를 하였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종결 후 자기 관리를 위해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활동지를 통해 표현하도록 하였다. 참여자는 개인으로서 자격증 및 내신 성적과 건강을 잘 챙기며,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고 상·벌점 관리를 하겠다고 했다. 미래 직업인으로서는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꾸준히 자격증을 취득하고 회사 생활을 잘하기 위해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며, 친구로서는 내가 먼저 자주 연락하고 상대방에게 상처 주는 말을 하지 않으며 졸업 이후에도 만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하였다. 가족 구성원으로서는 소통을 자주 하며, 가정에 경제적으로 힘이 되어 주겠다고 하였다. 마이스터고 학생으로서는 전공뿐만 아니라 부전공까지 관리하여 더 좋은 기업에 취업함으로써 마이스터고의 길을 후배들에게 만들어 주고 싶다고 표현하였다.
인터뷰: 프로그램을 통해 앞으로 본인의 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내가 원하는 회사에 대해서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생각이 확고해지면서 앞으로 어떻게 관리를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정리를 해서 2학년에는 배운 것을 바탕으로 하여 계획을 세워서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하였다.
12회기 개입 및 과정 성과: 마지막 회기에서 생각을 정리함으로써 지금까지 한 내용으로 계획을 세우고 진행한다면 반드시 꿈이 이루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하였다. 무엇보다 상담 초기에 가지고 있었던 불안했던 마음은 사라지고 미래를 위해 어떻게 준비하고 관리를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어서 너무나 기쁘고 마무리를 할 수 있게 되어서 뿌듯하다고 했다. 연구 참여자에 그동안 노력한 것과 수고한 부분에 대해 칭찬과 격려를 해주었다.
Table 8.
Self-Assessment and Impression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Career Exploration Program
순번 질문 항목 내용
1 얼마나 많이 도움이 되었나? 6회기 나의 의사결정 유형에 대한 만족도 1번 문항의 질문에서 오늘 프로그램에 열심히 참여했다. 질문에서 “만족한다.” 4점으로 답을 하였다. 이유는 학교생활이 바빠서 조금 힘들었다. 그 외 1회기부터 12회기까지 모두 5점 척도 ‘매우 만족한다.’라고 답변을 하였으며 많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2 프로그램 중 가장 도움이 된 회기는? 1순위 : 5회기(나의 취업 목표 구체화하기)
2순위 : 2회기(나를 알아가요)
3순위 : 12회기(마무리 및 총 평가)
3 어떤 부분에서 도움이 되었 는가? 1순위 선택한 이유: 관심 있는 회사에 많은 정보를 알게 되어 도움이 많이 되었다.
2순위 선택한 이유: 자신과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게 되어서 가족들과 대화 시간이 많이 늘어났으며 관심을 주는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했다. 무엇보다 나 자신을 아끼고, 내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해 준 회기다.
3순위 선택한 이유: 지금까지 배운 것을 처음부터 마지막 회기까지 총정리를 한 것 같아서 좋았고 무엇보다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을 위해 미래 직업인으로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를 알게 해 준 회기라 소중한 시간이었다.
4 프로그램이 본인과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고, 변화가 생겼는가? 가족들이 학교생활에 관해 물어봐 주거나 취업과 관련된 부분에서도 관심을 두는 등 가족끼리 대화를 하는 시간이 많이 늘었다고 했다. 무엇보다 자신을 아끼고 내가 우선이 되어야 가족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돌봐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 주어서 생각의 변화가 생겼다.
5 프로그램에 대한 활동과 자신의 진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취업 준비를 위해 지금부터 무엇을 해야 하는지 나의 적성과 흥미, 그리고 가치관을 통해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단계적으로 알아보아서 좋았다. 프로그램을 하기 전에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몰랐었는데 프로그램을 통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고, 진로 계획을 세우면서 앞으로 어떻게 준비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생각이 분명해졌다.
6 프로그램 종료에 대한 소감? 취업하고 싶은 회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서 많은 정보를 알게 되었다. 나의 이야기, 가족 이야기를 하면서 나와 가족을 돌아보고 탐색하는 시간을 통해 알지 못한 나와 가족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이 되었다. 어린 시절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며 지금까지 어느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이야기를 하고 표현하면서 다양한 감정을 느꼈지만, 의미 있는 시간이어서 너무 좋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가족들이 학교생활에 대한 부분과 교우관계 그리고 취업과 관련해서도 관심을 두고 대화 시간이 많이 늘어났다. 가족들의 생각을 들어보고 나의 의견을 말하게 되면서 앞으로 나의 진로에 대해 정리를 하게 되면서 마음이 매우 편해졌다. 적성과 흥미, 가치관을 통해 나 자신이 무엇을 바라고 생각하는지 알게 되었고, 진로 계획을 세우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기관리를 할 것인지 명확하게 정리가 되었다. 진로 탐색 프로그램에 참석할 수 있게 되어서 정말 고맙게 생각한다.

References

Cho, K. S. (2020).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teacher relationship and youth life satisfaction - Based on ecosystems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Korea, Seoul Christian University.

Cho, M. J. (2010).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Cho, S. H. (2019). The impact of self-elasticity and career maturity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Cho, S. N., Lee, H. J., Ju, Y. J., & Kim, N. Y. (2011).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practice. Green Publishing.

Cho, S. S. (2010). The development of a career search pr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for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yeongtaek, Korea, Pyeongtaek University.

Cho, S. S., & Choi, S. H. (2011). The development of a career search p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for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Social Welfare, 20, 23-54.

Choi, S. J., Kim, J. W., Jang, M. H., & Jeong, H. Y. (2014). Meister high school operation monitoring and consulting support. KRIVET.

Hong, H. Y., & Yoo, T. M. (2008). Analysi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3), 49-64.

Huh, S. Y. (2009). An analysis of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 happi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Korea,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wang, M. J. (2009). The factors affecting future path preparations of poverty-stricken youths: Focusing on personal, environmental and future path-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Korea,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Jang, H. H. (2018).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xual behavior of high school adolescents exposed to pornographic media: Focused o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lsan, Korea, University of Ulsan.

Jeon, D. B. (2006). The effect on career maturity of school maladjusted students in career search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Korea, Hannam University.

Jeong, D. H. (2001).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a career guidance program on career matur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Korea, Konkuk University.

Jeong, E. J. (2015).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ppreciative inquiry (AI)-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won, Korea, Kyonggi University.

Jeong, Y. G. (2005). Variabl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in Korean adolescents – Focusing on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KEEP Symposium Paper Collection, 1, 249-259.

Ji, C. R. (2012). A study on adolescents’ suicide thought by gender: Based on a sample surve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san, Seoul, Pusan National University.

Ju, Y. J., & Hong, Y. N. (2016).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5(2), 37-57.

KEDI. (1992). A technical report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KEDI (2019). Retrieve Feb. 12, 2022, from https://www.kedi.re.kr/khome/main/webhome/Home.do

Kim, B. H. (2019).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unseling. Seoul: Hakji Publishing.

Kim, B. H. (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to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Focusing on the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Korea, Paichai University.

Kim, H. R. (2007). A study on career deci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co-systematic career attitude maturity influencing their career maturity. School Social Welfare, 13, 51-74.

Kim, K. H. (2021). Factors affecting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employment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M. Y. (2014). A study on the ecological system variables affecting the family resilience in cri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kpo, Korea, Mokpo National University.

Kim, S. N., & Kim, T. H. (2018).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meister high school freshmen’s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50(3), 61-85.

Kim, Y. C. (2016).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 Bricoleur, 3rd. Edition. Edition, Gyeonggi: Academy Press.

Kwon, E. S. (2015). Beauty major college student’ value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Holland career personality typ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ksan, Korea, Wonkwang University.

Lee, H. R., Son, J. H., & Kim, S. J.Kim, S. M. (2007).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6(1), 43-56.

Lee, K. H. (1997).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Focusing on self-respect, career values,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Korea, Yonsei University.

Lee, M. H. (2013). The qualitative study on adaptation to workplace of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4(3), 21-55.

Lee, Y. J., Kim, K. H., & Min, H. Y. (2008). The relationships between alienation, career barriers, and suicide thought, suicide attempt of high-school students.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6(1), 69-85. https://doi.org/10.35151/kyci.2008.16.1.005
crossref
Lee, Y. J., Myeong, H., Song, Y. H., Kim, M. Y., Kim, Y, J., Kim, Y., & Ji, Y. J. (2014). Easy-to-know counseling research method. Seoul: Hakji Publishing.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Ministry of Education (2020). Retrieve Feb. 12, 2022, from https://www.hifive.go.kr/index.jsp

Ministry of Education (2020). Main details of the 2020 Basic Statistics of Education. Retrieve Oct. 22, 2021, from https://kess.kedi.re.kr

Ministry of Education (2022). Retrieve Feb. 12, 2022, from https://www.hifive.go.kr/index.jsp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21). Adolescent white book. Retrieve Oct. 22, 2021, from http://www.mogef.go.kr

Mirae Talent Research Institute (2021). Career guidance exploration program. Lifelong Career Guidance Program (Patent No. 10-0716506), http://www.mirae4u.com

Moon, M. R., & Jeong, J. S.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related variables and dysfunctional career think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1), 111-129.

Nam, J. A.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exploration with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Korea,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ark, H. J. (2013).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ment stress and the suicidal idea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Korea, University of Ulsan.

Park, K. I. (2015).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unemployment stress and their effo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ksan, Korea, Wonkwang University.

Park, K. W. (2015).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of influencing on adolescent`s activity competency - Focused on a comparison of ordinary adolescents and problem behavior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ion). Yongin, Korea, Myongji University.

Park, J. A., & Moon, Y. J. (2019).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upervision in career guidance counsel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Case Studies and Practice, 4(1), 1-22. https://doi.org/10.15703/KJCCSP.4.1.201907.1
crossref
Shim, Y. H. (2015). An explanatory study of eco-systematic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family function of professional soldi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Yang, J. S., & Kim, Y. M. (2014). Analysis on the initial effect of meister high school policy on labor market.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37(30), 75-99.

Yang, S. M., & Park, Y. H. (2008).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psychosocial factors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7, 165-192.

Yin, R. K. (2013). Qualitative research from start to finish. New York, NY: Guilford Press.

Yoo, J. M., & Lee, B. W. (2016). The effect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the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1(2), 1-23. https://doi.org/10.35140/kiiedu.2016.41.2.1
crossref
Yoo, H. S. (2000). Study of the effect of a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engineer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won, Korea, Ajou University.

Yoon, C. Y., & Kim, K. A.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meister high school freshme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4(2), 393-416. https://doi.org/10.25152/ser.2016.64.2.393
crossref
Yoon, K. W. (2017). Developing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family resili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lsan, Korea, University of Ulsan.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