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문해 프로그램(SNU-LPMFC)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16;54(1):1-1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6 February 17
doi : https://doi.org/10.6115/fer.2016.001
1Departmen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Korea
2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3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김태연1, 정현심,2, 이순형3
1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2명지대학교 아동학과
3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 Hyun-Sim Jung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34 Geobukgol-ro, Seodaemun-gu, Seoul 03674, Korea  Tel: +82-2-300-0600 Fax: +82-2-784-8680 E-mail: junghyunsim@naver.com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poster session at the 68th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in 2015.
Received 2015 April 5; Revised 2015 October 21; Accepted 2015 October 30.

Trans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Seoul National University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NU-LPMFC).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abilit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were education using fairy tales and nursery rhymes, individual education from home visiting teacher, and parent participation education for effective children’s learning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examined based on 54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3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effect of SNU-LPMFC, we assessed children’s literacy ability as pre-tests and post-tests as well as interviewed the home visiting teachers. After 8 weeks’ field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otal language ability and phonology. Home visiting teachers highly prais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the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interest and attention. SNU-LPMFC was shown to be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literac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extend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anguage education programs with uniform teaching methods, configured a customized education approach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lps develop concrete teaching material that validated its effectiveness.

서론

1.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2013년 국내에서 이루어진 총 결혼 327,100건 중 26,000건은 국제결혼이었고, 그 중에서도 70%가 넘는 18,300건이 외국여성과 한국남성의 결혼으로, 이제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 형성은 한국에서 무시할 수 없는 키워드가 되었다[23]. 국제결혼은 2000년에는 6,945건에 불과했으나, 5년 만에 4.5배인 30,700건까지 급증하였고, 그 후 조금씩 감소하여 2013년에는 19,300건이 이루어졌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렇게 국제결혼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어머니를 둔 다문화가정 유아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 조사결과[24]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2009년 26,015명에서 2010년 31,788명, 2011년 38,678명, 2012년 46,954명, 2013년 55,780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학업성취에 있어 부모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는 우리나라의 교육특성 상, 다문화가정 아동이 다른 아동에 비해 불리한 여건에 처해있다는 점이다[19]. 실제로 이런 우려는 취학률 통계를 통해서도 드러나는데, 전체 아동청소년과 비교하여 보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취학률 비율이 매우 낮았다. 초등학교에서는 전체 학생이 97.2%, 다문화가정 학생이 93%로 차이가 적었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전체 학생이 96.2%, 다문화가정 학생이 75.6%, 고등학교에서 전체 학생이 93.6%, 다문화가정 학생이 76.7%로 격차가 급격히 커졌다. 취학률이란 전체 취학 대상 아동청소년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아동청소년의 비율로, 중학교 이상의 취학률 감소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학교 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의무교육에서조차 이탈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은 독해, 어휘력, 쓰기, 작문 능력이 부족하고, 학교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경향이 있다[3, 4, 11]. 최근에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특정 지역에 세계시민교육 특별학교들을 설치하고, 이중언어를 사용하여 교육하는 시범사업이 시행되고 있다[16].

Cummins [6, 7]는 다문화적 가족배경을 가진 학습자가 학교의 이중언어 프로그램에서 배워야 하는 언어능력을 크게 기초적 의사소통능력과 인지적/학문적 언어능력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한국의 다문화가정 유아의 경우, 일상의 다양한 사회상황에서 나타나는 면대면 대화능력인 기초적 의사소통능력은 어린이집에서의 단체생활을 통해 자연스럽게 발달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초등학교 이후에는 교과영역에서 접하게 되는 학문적인 전문 어휘 및 주요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표현하는 인지적/학문적 언어능력에서 상대적으로 지체되는 경우가 많다[18]. 다문화가정 자녀가 겪는 학업성취에서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1, 2], 연구자들은 특히 유아기의 언어발달 지연이 학업성취 실패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심지어 선천적 요인인 지능을 통제한 경우에도,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성취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 다문화가정 자녀의 유아기 언어발달 지연은 학령기 학업성취 뿐 아니라, 전반적 인지능력이나 또래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1].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발달 지연은 만 3세경에 보육 및 교육기관에 입소하고 구어 발달이 본격화되는 시기부터 보고되었다[28]. 다행히 만 4-5세경에는 부모와의 상호작용 외에도 또래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용어휘나 일상적인 의사소통은 크게 무리가 없는 정도까지 향상된다[5, 28]. 그러나 연령이 증가하면서 언어의 표현적 측면 및 학습과 관련된 언어능력의 지체 정도는 커진다[1, 2, 28].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1-2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은 전반적으로 어휘력이 부족하며, 특히 글말(문어)에서의 어휘력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14]. 또한 문장 성분 중 보조 성분에 해당하는 부사어와 생활 문화가 반영된 어휘에 취약하였다. 이러한 언어능력에서의 취약성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령기 학업 지체를 유발 혹은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취학 전 유아는 상당히 많은 언어능력을 획득하여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되지만, 언어적 유능성을 판가름하는 발달은 보통 학령기에 이루어진다. 학령기에는 보다 많은 단어를 학습하고, 길이가 길고 문법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사용하며, 타인과의 의사소통에서도 대상과 맥락에 따라 사용하는 기술이 다양해진다[20]. 유아기는 이러한 고급 언어능력을 획득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학령기 학업 지체를 예방하려면 이 시기에 집중적인 언어 교육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유아는 특히 글말(문어)의 이해와 표현에 취약한 것으로 보고된다[9]. 따라서 유아가 다양한 구문을 경험하여 문법적으로 올바르며 명료한 문장을 사용하고, 읽기 및 쓰기 능력을 체계적으로 발달시키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한 일상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상황에 적절한 언어 예절을 습득하며, 언어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도록 도와야 한다. 다문화가정 유아는 형용사와 부사 등 어휘의 사용이 제한적이므로[14], 다양한 어휘를 접하고, 어휘의 미묘한 의미 차이를 이해하며, 생활 문화를 반영하는 문화적 어휘나 개념어도 학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적 유능성은 발달적 성숙이나 교육 기관에서의 경험만으로는 획득되기 어렵다. 따라서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고 유아의 취약한 부분을 체계적으로 증진시켜 줄 수 있는 일대일의 개별화된 학습적 개입이 요구된다. 개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사가 유아의 언어 수준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개별화된 학습 계획을 세워 활동을 진행하면서, 회기별 학습 상황은 물론, 전반적인 언어능력이 향상되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17].

어머니는 자녀의 언어 발달에 지속적으로 큰 영향을 끼친다[9, 10, 27]. 그러나 대부분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한국어 이해와 산출 능력이 부족하여 자녀의 학업지원에서는 물론,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도 어려움을 겪는다[8, 30]. 구체적으로 발음이 부정확하고, 언어 예절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이 부족하며, 문법 지식 부족으로 문장 오류가 많으며, 성인의 언어습득에서 나타나는 특성상, 한번 잘못 습득된 표현이 쉽게 고쳐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8].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열의를 가지고 있으나, 자녀에게 한국어를 교육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자녀와의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자녀의 학업[14], 학교생활, 또래 관계 등을 지원하는 일에 더욱 어려움을 느낀다[11]. 이러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부족은 자녀의 언어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자녀의 언어 발달 수준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언어 지도를 위해 적절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15].

2. 프로그램의 목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문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특징 및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을 다양한 보조 교재와 함께 개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이 또래 수준으로 향상되어 궁극적으로 학습 준비도가 향상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의 언어 영역 목표를 바탕으로 그 수준과 내용을 구성하였다.

3. 프로그램의 특성

문해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원리 및 특성은 여덟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표현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중심 교육

유아의 생활 문화와 관련된 14개의 주제를 선정하고 유아에게 친숙한 상황을 짧은 동화 형식으로 구성한 후 제공하여, 유아가 학습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2) 극놀이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 교육

손인형을 사용한 극놀이 활동을 실시하여 다양한 가상의 상황을 통해 유아가 나와 타인에 대한 이해, 소통하는 방식 등을 놀이의 형식으로 연습해 볼 수 있다.

3) 학습 준비도 향상을 위한 초보적인 읽기 쓰기 교육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다양한 어휘와 구문의 습득을 통해 교사와 함께 읽은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몇 단어로 구성된 단문 수준에서 자신의 생각을 써 볼 수 있도록 지원한다.

4)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통한 적응력 향상 교육

14개의 생활 주제와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수준에 근거하여 학습 어휘 및 문법을 추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완결된 짧은 동화를 구성한다. 또한 다문화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일상생활 경험이 반영되도록 한다.

5) 한국어와 한글의 특성을 살린 교육

다문화가정 유아가 한국어와 한글의 특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국어의 독특한 특성인 문장구조(동사문말언어), 어미변화, 경어법, 관용어구, 의성어, 의태어 등을 동화를 구성하는 문장 안에 담는다.

6)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놀이 중심 교육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고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해,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놀이 중심 교육을 실시한다.

7) 부모 자녀 통합 교육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자녀의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가정에서의 연계 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부모용 활동 안내서를 제공한다. 또한 자녀 양육, 특히 언어 지도에 대한 지침서를 한국어와 어머니 모국어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8) 문화 통합 교육

교육 내용에 한국 문화와 어머니 나라의 문화를 포함시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문화적 요소들은 한국의 문화와 어머니 나라의 문화, 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 도시 문화와 농어촌 지역의 문화에서 골고루 선정하되, 산발적으로 제시된 관광형의 교육이 되지 않도록 한다.

4. 프로그램의 내용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특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 검토와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자료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Table 1에 제시한 것처럼 유아용 학습자료, 부모용 자료 및 교사용 자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SNU-LPMFC Learning Materials

1) 다문화가정 유아용 자료

(1) 한국어 교육을 위한 활동지

유아용 활동지는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각 수준별로 28종씩 총 56종을 개발하였다. 활동지의 본문은 1면부터 12면까지 짧은 동화 형식으로 진행되며, 동화를 구성하는 문장 안에 유아가 학습하여야 할 어휘, 문법 및 표현 요소를 풍부하게 담았다. 또한 각 지면의 하단에는 유아가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확장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영역의 언어활동을 골고루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이 뿐 아니라 신체, 음률, 창작표현, 수/과학, 정서/사회 영역의 활동을 골고루 포함시켜 발달에 적합한 통합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하였다.

Topic

(2) 유아용 그림책

다문화적 소재를 풍부하게 담은 그림책을 각 수준별로 7권씩, 총 14권을 개발하였다. Table 3에 주제별 그림책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그림책은 매 달 첫 주, 새로운 주제가 시작될 때 유아에게 제공하며, 매 4주째에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더 심화된 언어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그림책 활동지를 구성하여 제시한다.

Picture Book Sample

(3) 오디오 자료

오디오 자료는 활동지의 학습 어휘와 구문으로 작사, 작곡된 창작 동요 CD, 활동지의 본문을 낭독한 CD, 그림책의 본문을 낭독한 CD, 이렇게 세 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유아는 창작 동요 CD를 들으며 학습 어휘와 구문을 쉽게 암기할 수 있고, 활동지 및 그림책의 본문을 낭독한 CD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음 문제를 지원할 수 있다.

(4) 손 인형

손 인형은 매주 활동지 12면에서 교사와의 역할극 놀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학습 자료의 주요 캐릭터인 달이, 별이, 가족(아빠, 엄마, 달이, 별이)의 4인과 달이와 별이의 친구 아름이, 다움이, 그리고 유아들에게 친숙한 동물 캐릭터인 삽살이(강아지)와 양양이(고양이)까지 총 8종의 손 인형을 제작하였다.

(5) 어휘 사전

어휘 사전인 꼬마사전은 매주 유아용 활동지에서 추출한 4개의 학습 어휘를 수준별로 1권씩 총 2권으로 구성하였다. 각 어휘는 삽화 및 예문과 함께 제시되며, 꼬마사전은 각 수준에 대한 교육이 시작될 때 함께 제공하여 유아가 방문 교사와의 교육 시간 이외에도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다문화가정 부모용 자료

본 프로그램에서는 언어 발달 및 지도에 대한 지침서를 어머니의 모국어로 번역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방문 교사에 의해 진행되는 매주 학습내용에 대한 자료도 제공하였다.

(1) 부모용 언어 지도서

부모용 언어 지도서의 내용은 유아의 언어 발달, 언어 지도 방법, 언어와 환경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유아의 언어 발달은 ‘또렷한 발음,’ ‘단어의 확장,’ ‘문장과 이야기’로 구성되며, 언어 지도 방법은 ‘대화하기,’ ‘책 고르기,’ ‘책 읽어 주기,’ ‘쓰도록 도와주기,’ ‘놀면서 배우기’로 구성된다. 언어와 환경은 ‘이중 언어와 문해,’ ‘우리 집 문해 환경,’ ‘텔레비전과 비디오,’ ‘도서관과 서점’으로 구성된다.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내용을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한국어를 포함하여 어머니의 모국어(7개 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몽골어, 베트남어, 타갈로그어, 캄보디아어)로 번역하여 제공하였다.

(2) 부모용 활동 안내서

부모용 활동 안내서는 매주 자녀가 학습하는 내용을 부모도 이해하고, 가정에서 응용하거나, 가족 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유아에게 제시했던 학습 어휘 및 구문, 표현 등을 부모에게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언어활동을 소개하여 유아의 학습이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3) 방문 교사용 자료

(1) 교사용 총서

총서는 학습 자료의 전반적인 구성 및 내용, 활용 방법을 담은 소책자이다. 이는 학습 자료를 처음 접하는 기관 및 교사에게 일종의 안내서 역할을 한다.

(2) 교사용 활동 안내서

교사용 활동 안내서는 매주 유아에게 제공되는 활동지의 구체적인 목표와 교수 방법을 담고 있으며, 수준별로 1권씩 총 2권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개발된 프로그램의 초반 분량을 사용하여 서울, 인천, 충청북도에서 시범 적용을 시행하였다. 언어능력 검사와 시범 적용을 위해 지역 다문화센터 및 사회복지기관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을 소개하고 참가자를 모집한 결과, 총 40쌍의 다문화가정 자녀와 어머니가 시범 적용에 참여하였다. 이 중 중도탈락 및 사전사후검사에서 이상점(두 번의 검사 중 한쪽이 극단적으로 높거나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경우)을 나타낸 표본을 제외하고 34쌍(85%)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효과와 성장에 따른 언어발달을 구분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사회경제적 배경 및 거주지역 등이 유사한 24쌍의 다문화가정 아동과 어머니를 통제집단으로써 목적 표집 하였다. 표집한 통제집단 실험자 중 이사 및 가정상황 등으로 인한 탈락자와 사전사후검사에서 이상점을 나타낸 대상을 제외하고 총 20쌍(83.3%)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된 실험집단 유아와 통제집단 유아의 연령 및 성별 분포는 Table 4와 같다.

Gener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2. 연구도구

1) 언어능력 검사

언어능력 검사 (Seoul National University Literacy Test, SNU-LT)는 일반가정 유아 및 다문화가정 유아의 기본적 언어능력을 의미, 구문, 화용, 음운 및 읽기/쓰기의 다양한 영역에서 진단함과 동시에 추후 수준별 언어교육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29]. 평가 도구는 Table 5에 제시된 것처럼, 의미론, 구문론, 화용론, 음운론, 읽기, 쓰기 등 총 6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영역별로 신뢰도는 .511, .491, .739, .926, .739, .957, .757이었다. 전체 언어능력 척도는 6개 하위영역의 합계로, 신뢰도는 .929로 나타났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Literacy Test

2) 방문 교사 인터뷰

시범 적용 시행 중 지역별로 교사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간담회에는 연구진이 함께 참여하였으며, 자유로운 토론 형태로 교사들이 자유롭게 시범 교육과 관련된 경험 및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내용은 녹취하였으며, 수합된 내용은 교사 의견으로 반영하여 정리하였다.

3. 연구절차

개발된 프로그램 중 초반 8주치의 교재를 활용하여 시범 적용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 선정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언어발달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범 적용의 직접대상자인 실험집단 아동과 어머니에게는 지역 다문화센터나 사회복지기관 소속의 방문교사를 배정하였으며, 교사가 아동의 집을 방문하는 일대일 방문교육을 통해 8주간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반면 통제집단 아동과 어머니는 기존의 학습지를 비롯한 언어학습 방법을 지속하며 사전사후검사에만 참여하였다. 시범 적용에 참여할 방문교사에게는 연구진이 직접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사전교육을 시행하였고, 사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방문교사와 연구진의 논의를 통해 아동의 수준에 맞는 시범 적용 교재를 결정하였다. 시범 적용 시행 중에 교사간담회를 열어 중간점검을 시행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으며, 시범 적용 후에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 모두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으로 인한 언어능력 향상 효과를 검증하였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언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의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문해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 및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다문화가정 유아의 문해능력 발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언어능력검사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Table 6에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에 이루어진 사전검사에서 의미론, 구문론, 화용론, 음운론, 읽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전체 언어능력점수에 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의 언어발달 수준에서의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Results of Pre-Test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값을 독립표본 t-검정을 시행한 결과, Table 7에 제시된 것처럼, 음운론(t=2.249, p<.05), 쓰기(t=2.932, p<.01)와 전체 점수(t=2.379, p<.05)에서 실험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Results of Post-Test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Results of Paired t-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언어능력 검사 총점에서 프로그램 시범 시행에 참여한 유아의 점수는 98.35점에서 109.79점으로 향상되었고, 이러한 차이는 t=-7.483, p<.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통제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igure 1).

Figure 1.

Total language ability.

음운론에서도 프로그램 시행 전 점수는 14.21점, 시행 후 점수는 14.91점으로 프로그램 시행 후 음운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t=2.352,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쓰기 영역에서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가 나타났고(t=2.531, p<.01), 실험집단에서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2. 다문화가정 방문 교사 간담회

시범 적용이 실시된 지역 다문화센터 및 사회 복지 기관에서 교사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참여 교사의 80% 이상이 간담회에 참여하여 그 동안의 경험과 의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1)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수준에 대한 의견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수준의 개인별 차이가 큰 편이고, 이와 함께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 및 의식에 있어서의 차이도 있어 시범 적용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 정해진 시간보다 길게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관악구 K교사: 다문화가정 유아들은 어떻다 이야기할 수 없을 만큼 개인차가 정말 심한 것 같아요. 한국 엄마와 똑같이 엄마가 교육 수준이 있고, 가정의 분위기를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아이도 정말 달라요. 다문화가정 아이 중에는 정말 똑똑하고 잘하는 아이는 정말 잘하고, 못하는 아이는 여섯 살인데도 아무 것도 몰라요. 더 문제는 엄마가 이런 상황에 대해 전혀 문제의식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에요. 방문 교사가 가서 아이 뿐 아니라 엄마도 같이 교육시켜야 해서 시간과 노력이 배로 걸려요.

본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언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어머니에게 적절한 언어적 대처를 모델링할 수 있는 기회도 함께 제공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언어적 미숙함이 자녀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 시 자녀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적절한 양육 태도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2)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방문교사가 유아와 함께 놀이하듯이 공부할 수 있어 유아의 흥미와 몰입수준을 높이는 데에 적합하였고, 유아가 좋아하는 만큼 어머니도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유아에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언어 표현이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악구 M교사: 저는 아이랑 재미있게 논다고 생각했어요. 처음 시작부터 아예 선생님이랑 놀자고 하고 시작했어요. 처음에 그림책을 읽어주듯이 한번 끝까지 읽고, 언어활동을 했는데 제가 맡은 아이는 몸으로 표현하는 것을 너무 좋아해요. 그래서 그런 부분에 더 초점을 맞춰서 진행했어요. 아이가 하는 대로 잘한다고 칭찬해주고, 제가 더 응용해서 해주고요. 교재 내용이 많아서 다 할 수는 없었어도 아이가 좋아하는 부분에 맞춰서 응용하기가 좋더라고요. 나중에 8회 끝나고 아이가 너무 아쉬워하고 어머니도 언제 다시 할 수 있냐고 묻고 그랬어요.

노원구 K교사: 저는 만 5세를 맡았는데, 발달이 빨라서 한글을 다 뗀 아이였어요. 그래서 전반적으로 교재 내용이 아이에게 무척 쉬운 편이었어요. 그런데도 교재에서 어떤 부분을 생각해서 말해보라고 하거나,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창작해서 하는 부분은 무척 어려워하더라고요. 그런 것을 여태껏 해보지 않은 느낌이었어요. 엄마도 그렇고 누가 의도적으로 그렇게 말할 기회를 주지 않았던 것 같아요. 몇 회기는 잘 모르겠다고 하고, 영 어려워하더니 계속 진행되면서 나중에는 점점 말이 많아지고, 자신의 생각도 얘기할 수 있었어요.

계양구 K교사: 아이가 일곱 살인데 벌써 우리 엄마는 이것도 못하고, 저것도 못한다는 말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일부러 다문화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엄마가 베트남 말 엄청 잘한다고 하면서 엄마를 추켜세워 줬어요. 몇 번 그렇게 하니 아이도 그런가보다 하면서 왠지 교재에서 엄마 나라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조금 숙연해지는 느낌을 받았어요.

다문화가정 유아들은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므로, 방문교사들은 유아들에게 다양한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고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였다. 또한 유아들이 한국말이 부족한 어머니에 대해 갖는 왜곡된 의견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교재 내용 안에서 한국이 아닌 어머니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연스럽게 어머니 나라의 문화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결론 및 논의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지체가 이후 학교 생활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는 선행연구 결과[1, 2, 13, 21]를 참조하여,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고 표현 언어능력과 의사소통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범 실시하고 이를 통제집단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시범 적용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은 참여하지 않은 다문화가정 유아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하위영역 중 음운론과 쓰기 영역에서 높은 향상도가 나타났다. 음운인식능력은 문자해독과 관련된 중요한 기초인지능력이며 이후 학업성취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요인이므로[8, 26], 이 영역에서의 발달은 의미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중 특히 표현 언어와 문어발달, 즉 쓰기 영역에서 지체가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1, 2, 9]를 고려할 때, 이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더욱 적합한 교육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행연구[22]를 통해 알려져 있듯이, 취학 전 연령의 언어발달은 아동의 초등학교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발달의 지체가 나타나는 초기에 적절한 개입을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정상적인 언어발달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복지적인 차원에서도 중요한 일이다.

둘째, 시범 적용에 참여한 교사들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언어발달 수준에 개인차가 크고, 남들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데에 익숙하지 못한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언어교육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놀이중심의 학습방법, 어머니 나라의 문화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 유아의 의견 표현과 적극적인 참여를 권장하는 일대일교육을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학습 몰입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프로그램은 취학 전 유아의 발달적 요구에 부합할 뿐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다문화가정 유아가 특히 취약성을 보였던 영역[1, 2, 9]을 효과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었다. 단순히 읽기, 쓰기에 초점을 둔 기존의 한국어 학습지와는 다르게, 이 프로그램에서는 표현과 의사소통기능 향상에 초점을 둔 학습과정을 통해 본질적인 의미의 언어능력 향상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단순한 반복과 관습적 문해를 바탕으로 하는 연습이 아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활동지를 사용함으로써 유아기 언어 교수법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통합의 원리를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 개발한 장기간의 프로그램이나, 시범 적용 시 8주 동안 일부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을 뿐, 전체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시범 적용의 특성상 표집규모에 한계가 있었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점으로 꼽히는 언어발달의 수준의 개인차로 인해 측정점수에서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났다는 점도 결과의 일반화에 어려움을 가져오는 요인이 된다. 프로그램 실시로 인해 음운론과 쓰기영역에서는 향상이 나타났지만, 의미론, 구문론, 화용론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후 후속연구를 통해 효과가 미약했던 부분에 대해서 내용을 보완하고 추가적인 자료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교육효과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범 적용 효과 분석을 위해 사용한 t-검정에서 총점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이는 주로 음운론과 쓰기 영역에서의 차이에 기인한 총점 차이로 큰 표준편차를 고려한다면 프로그램의 효과를 단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기존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된 효과검증 연구들[12, 25]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지 못하고,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방식을 사용하거나, 일반가정 유아를 통제집단으로 선정한 것과 다르게, 다문화가정 유아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학습 자료이면서 유아의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유아의 사회성 증진과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통합적으로 구현한 프로그램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고, 유아 스스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활동지와 그림책 이외에 오디오 자료와 손 인형, 꼬마 사전 등의 보조 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특히 오디오 자료는 교사가 방문하는 시간 외에도 가정에서 유아 스스로, 혹은 어머니와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특성상 풍부한 문해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운 점을 반영하여 시각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유아용 그림책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들에게 책을 소유하고 즐기는 경험을 줄 수 있으며 책 읽기에 대한 긍정적 습관을 키워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어머니를 위한 자료로 일반적인 부모의 역할에 대한 내용 뿐 아니라 언어, 문해 지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7개 국어로 전달하여 어머니가 자녀의 언어학습에 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재 각 지역 사회복지관 및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 소규모로 지원되고 있는데, 이후에는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검증과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지원규모를 늘려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Note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References

1. An H. R., Yi S. H.. 2009;Academic achievement: Comparison of childre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1):1–10.
2. Chae H. K.. 2008. Young children’s literacy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of immigrant marriage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Cho Y.. 2006. Survey of multicultural children’s education cours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4. Choi N.. 2012;The effects of an expressive activities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literacy abiliti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9(2):45–63.
5. Choi Y., Yi S., Moon M.. 2008;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immigrant women by marriage living in rural area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5(3):225–248.
6. Cummins J.. 1980;Psychological assessment of immigrant children: Logic or intuition?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1(2):97–111. http://dx.doi.org/10.1080/01434632.1980.9994005 .
7. Cummins J.. 1981;Age on arrival and immigrant second language learning in Canada: A reassessment. Applied Linguistics 2(2):132–149. http://dx.doi.org/10.1093/applin/ii.2.132.
8. Elbro C.. 1996;Early linguistic abilities and reading development: A review and a hypothesis. Reading and Writing 8(6):453–485. http://dx.doi.org/10.1007/bf00577023.
9. Hoff E., Naigles L.. 2002;How children use input to acquire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2):418–433. http://dx.doi.org/10.1111/1467-8624.00415.
10. Jung H. S., Choi N. Y., Woo H. Y., Yi S. H.. 2010;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family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6(2):73–93.
11. Kim G., Kwak K., Pae S.. 2009;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Korea: A critical review.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8(3):571–597.
12. Kim J. H., Sung M. Y., Jung H. S., Kwon Y. J.. 2010;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3):455–469. http://dx.doi.org/10.5934/kjhe.2010.19.3.455.
13. Kim S.. 2007;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age women immigrants. Bilingual Research (33):421–444. http://dx.doi.org/10.17296/korbil.2007..33.421.
14. Kim S., Kang C.. 2009;A study on vocabular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Research (40):31–55. http://dx.doi.org/10.17296/korbil.2009..40.31.
15. Kim T. Y., Yi S. H.. 2015;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language program develop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al Studies 10(3):15–26.
16. Kim Y.. (2015, July 13). Korean-Chinese bilingual class for elementary school in multicultural region. Yonhapnews. Retrieved July 30, 2015,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7/13/0200000000AKR20150713116900004.HTML?input=1195m.
17. Lee J. K.. 2014;Culture: A study on the way continuing education of the home visit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Thought and Culture 75:485–508.
18. Nam B. H., Kim Y. Y.. 2011;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2(3):19–58.
19. Oh S.. 2005;A case study on the growing of Kosian children and its social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61–83.
20. Pae S. Y., Kwak K. J., Jung K. H., Kim K. Y., Kim H. J.. 2009;Suppor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survey of mothers and developmental supporters.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18(4):165–184. http://dx.doi.org/10.15724/jslhd.2009.18.4.011.
21. Shim M. K.. 2014;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4(5):71–95.
22. Shin J. H.. 2003;Relations of kindergartners’ linguistic understanding on associative, conditional, and causal statements to achievement in first grad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7(1):223–239.
23. Statistics Korea. 2014a. Marriage statistics. Retrieved April 1, 2015, from http://kostat.go.kr/.
24. Statistics Korea. 2014b. Social trend. Retrieved April 1, 2015, from http://kostat.go.kr/.
25. Sun W. H., Kim H. J.. 2009;A study on children-centered group play therapy for toddl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8(4):143–155.
26. Wagner R. K., Torgesen J. K.. 1987;The nature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its causal role in the acquisition of reading skills. Psychological Bulletin 101(2):192–212. http://dx.doi.org/10.1037//0033-2909.101.2.192.
27. Weizman Z. O., Snow C. E.. 2001;Lexical output a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s of sophisticated exposure and support for mea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7(2):265–279. http://dx.doi.org/10.1037//0012-1649.37.2.265.
28. Woo H. K., Juong H. S., Choi N., Yi S. H., Lee G.. 2009;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0(3):23–36.
29. Yi S. H.. 2010. Final reports: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lear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30. Yi S. H., Moon M. K., Choi Y. S., Lee S. J., Woo H. K.. 2006. Supporting plans for settlement of rural female marriage immigrants Seoul: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Total language ability.

Table 1.

SNU-LPMFC Learning Materials

Variable Learning material
Children Exercise, picture book, word dictionary, CD, hand puppet
Teacher Handbook of material instruction, exercise guidebook
Parent Handbook of language instruction, exercise guidebook

SNU-LPMFC, Seoul National University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able 2.

Topic

Level Theme Week Sub theme Level Theme Week Sub theme
1 Family 1 Brother 2 Friend 1 Best friend
2 Mother 2 Disabled friend
3 Birthday 3 Play
4 Picture book exercise 4 Picture book exercise
Animal 5 Dog and cat My village 5 Map
6 Zoo 6 Library
7 Aquarium 7 Job
8 Picture book exercise 8 Picture book exercise
Transportation facilities 9 Land My country 9 Sejong the Great
10 See 10 The Turtle Ship
11 Sky 11 Dokdo Island
12 Picture book exercise 12 Picture book exercise
Plants 13 Flower Art 13 Instrument
14 Tree 14 Art museum
15 Fruits and vegetable 15 Kid novelist
16 Picture book exercise 16 Picture book exercise
Food 17 Noodle Earth and environment 17 Earth
18 Cook 18 Sun, moon, & star
19 Rice, soup, & kimchi 19 Environment
20 Picture book exercise 20 Picture book exercise
Weather and season 21 Summer Health and safety 21 Traffic safety
22 Spring and fall 22 Food safety
23 Winter 23 Body
24 Picture book exercise 24 Picture book exercise
Market 25 Store Countries of the world 25 Mother’s country
26 Shopping 26 Travel
27 Moneybox 27 Cultural heritage
28 Picture book exercise 28 Picture book exercise

Table 3.

Picture Book Sample

Table 4.

Gener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Variable Experimental group (n =34) Control group (n =20)
Average age (mo), M (SD) 62.35 (10.52) 57.8 (9.17)
Gender
 Male 18 7
 Female 16 13
Mother’s nationality
 China 6 4
 Japan 7 4
 Philippines 4 4
 Taiwan 4 2
 Vietnam 11 4
 Mongolian 2 2

Table 5.

Seoul National University Literacy Test

Domain Division Detail
Semantics Receptive Noun, verb, adverb, adjective/metaphor
Expressive
Syntax Receptive Question & negative sentence, morpheme & word order, causative & passive, tense
Expressive
Pragmatics Story comprehension and problem solving Understanding the situation, problem solving, explanation of the topic
Phonology Phoneme Discrimination, elimination, synthesis, replacement
Syllable
Words
Reading Words Reading exercise (word, nonword)
Sentence Reading exercise (sentence)
Writing Name Writing the name
Words Reading & writing, listening & writing
Sentence Reading & writing, listening & writing
Essay Writing a diary

Table 6.

Results of Pre-Test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Domain Group n M SD t-value
Total language ability Experimental group 34 98.32 40.26 1.446
Control group 20 82.15 38.72
Semantics Experimental group 34 37.56 7.56 .962
Control group 20 35.45 8.13
Syntax Experimental group 34 14.85 5.42 .879
Control group 20 13.55 4.96
Pragmatics Experimental group 34 1.68 1.72 1.217
Control group 20 1.20 1.15
Phonology Experimental group 34 14.21 12.86 1.667
Control group 20 8.45 11.11
Reading Experimental group 34 16.50 15.16 .504
Control group 20 14.25 16.94
Writing Experimental group 34 13.53 7.60 1.984
Control group 20 9.25 7.75

Table 7.

Results of Post-Test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Domain Group n M SD t-value
Total language ability Experimental group 34 109.79 44.43 2.379*
Control group 20 81.00 40.24
Semantics Experimental group 34 43.06 7.46 1.824
Control group 20 39.30 7.06
Syntax Experimental group 34 17.53 5.70 .477
Control group 20 16.80 4.94
Pragmatics Experimental group 34 2.09 1.90 1.210
Control group 20 1.55 1.36
Phonology Experimental group 34 14.91 14.07 2.249*
Control group 20 6.35 12.47
Reading Experimental group 34 18.94 17.40 1.761
Control group 20 10.55 16.02
Writing Experimental group 34 13.26 8.03 2.932**
Control group 20 6.45 8.61
*

p <.05,

**

p <.01.

Table 8.

Results of Paired t-Tes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Domain Group M SD t-value
Total language ability Experimental group -7.483***
 Pre-test 98.32 40.26
 Post-test 109.79 44.43
Control group .230
 Pre-test 82.15 38.72
 Post-test 81.00 40.24
Phonology Experimental group -2.352*
 Pre-test 14.21 12.86
 Post-test 14.91 14.07
Control group 1.672
 Pre-test 8.45 11.11
 Post-test 6.35 12.47
Writing Experimental group 1.120
 Pre-test 13.53 7.60
 Post-test 13.26 8.03
Control group 2.531*
 Pre-test 9.25 7.75
 Post-test 6.45 8.61
*

p <.05,

***

p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