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한복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Hanbok in the「 Home Life and Safety」 section of the High School Technical Family Textbook: Content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are utilized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21;59(2):261-27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May 21
doi : https://doi.org/10.6115/fer.2021.019
1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eonju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심준영1orcid_icon, 백민경,1orcid_icon
1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조교수
Corresponding Author: Min Kyung Baek 303 cheonjam-ro, wansan-gu, jeonj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Tel: +82-63-220-2315 Fax: +82-63-220-2053 E-mail: mikkibere@hanmail.net
Received 2021 March 15; Revised 2021 April 13; Accepted 2021 May 4.

Trans Abstract

This study is not just a meaning of costume but a function of culture and includes addresses the associated emotions. As the interest of youths has increased recently,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ostume education has been grow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anbok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textbooks using content analysis techniques and text mining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ymbolic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Hanbok and the beauty of Hanbok were practiced in daily life, and the value was found through the excellence of Hanbok and the modernization of Hanbok was dealt with Second, most of the illustr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costumes were presented in various ways, but there were some regrets due to lack of quantity and quality. Third, the words used to explain traditional costumes were used in the form of culture, excellence, tradition, modernity, harmony, succession, etc. except for the types of clothing. Therefore, the results and discus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the textbooks to be efficiently selected and used in the field of the front line school along wit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and illustrations.

서론

오늘날 문화가 가지는 가치는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 전통과 관련된 문화를 학습하는 것은 새로운 관점과 새로운 발상 등을 요구(Lee, 2008)하는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핵심역량으로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하는 심미적 감성 역량을 제시하였고, 이는 자신을 둘러싼 세 계에서 경험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기르도록 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가정과 교육과정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 내용 및 활동을 재구성하여 변화를 거듭하여 왔으며,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생활에 접목하여 삶을 개선하고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에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서 전통적인 가정생활 문화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더 나은 가정생활 문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찰하는 것은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를 창조하는 기초로 보았으며, 생활 문화 교육을 하도록 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한문화는 우리의 본질을 나타내는 문화로써 우리의 정신세계를 구축하는 틀이며, 우리가 궁극적으로 이루어야 할 이상이기도 하다(Kim et al., 2011). 그리고 한문화는 시간이 흘러 절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에 의해서 전달받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한문화를 학습할 기회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N. E. Kim, 2006). 이처럼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의 시대에 필요한 인재육성을 위한 올바른 역사의식 교육은 필요한 과제이며(S. Y. Kim, 2006), 청소년이 한문화에 대한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기술·가정 교과에 있어서 의생활 부분의 전통복식 교육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복식은 한 시대·사회·의식을 표현하는 동시에 이를 내재하고 있는 문화적 통합체이므로 복식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교육이 요구되어 진다.

전통복식은 우리에게 단지 복식으로서의 의미가 아니라 문화의 기능을 하고 우리의 고유한 정서를 포함하는 전통문화라 총칭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로 볼 때 우리의 전통복식문화는 한복과 장신구 등을 말하며 그에 따른 복식 예절 등을 포함한다. 특히 한복은 우리 전통복식문화를 대표하는 복식으로 우리 민족의 정서, 가치관, 문화적 전통을 반영하고 있는 고유한 복식으로 오랜 세월 동안 계승, 발전되어 왔다(Ban, 2011).

최근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한 한복 착용 유행 현상으로 일상생활에서 한복을 착용하는 젊은이들의 동아리, 모임 활동이 진행되면서(Joo, 2018; Lee, Im et al, 2018), 한복에 대한 청소년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체험용으로 대여하는 한복 착용 현상이 젊은이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특히,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복에 대한 이미지, 전통한복 선택 유형 및 한복을 접하는 경로에 대한 Baek과 Shim (2020)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들은 한복이라는 단어 자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여전히 답답하고 불편한 이미지를 동시에 형성하고 있었으며, 특정한 유형의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규정하고 한복의 변화를 제한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주의를 기울여 진행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한복을 접하는 경로에 있어서는 직접 체험을 비롯해 대중매체, 전통마을 주변 등 다양했지만 기술·가정 교과서를 선택한 비율도 상당히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에 따라 편집된 학습 자료이며, 교과의 가장 중요한 교수학습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역량을 높이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로, 교과서의 내용과 질은 학습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므로(E. J. Kim, 2006) 교과서와 관련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기술·가정 교과의 의생활 영역에서의 전통복식문화 중 한복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지만 내용이 깊지 않고 학생들에게 익숙하지 않아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Lee, 2010). 청소년이 우리 고유의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갖을 수 있도록 기술·가정 교과에서 의생활 부분의 전통복식 교육은 매우 중요(Kwon, 2010)하다고 하지만 ‘교육내용 적정화’를 이유로 제 7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 통합, 교육 내용 감축, 난이도 하향 조정이 있었다. 또한 한복을 다룬 내용은 7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생활」 영역의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에서, 2009 개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청소년의 생활」 영역의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에서 우리나라 전통 옷차림의 우수성 및 생활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고 올바른 한복 옷차림에 대한 내용으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간 중학교 교육과정에 편제되었던 전통복식에 대한 내용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로 넘어오면서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즉, 2011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복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영역 및 단원에서 다루었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만큼, 학습자의 수준 및 내용 등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한복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교과서 개발 활용 제안과 함께 가정교과에서도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분석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자연어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비정형 또는 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 및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로서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다(Yang & Kim, 2017). 텍스트 마이닝 중 토픽 모델링은 특정한 텍스트 집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토픽을 구분하는 기법이며, 이 때 토픽은 복수의 단어들로 구성되는 주제범주를 나타낸다. 문서에는 토픽이 잠재되어 숨겨져 있는데, 이를 문서 내 단어를 이용하여 토픽의 단어 분포와 문서의 토픽 분포를 추정하는 방법(Shin, 2019)이 토픽 모델링이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의 한복 인식(Shim, 2019) 연구에서도 청소년이 선호하는 한복 선택 이유 및 시대별 한복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텍스트에서 어떤 단어로 표현되었느냐에 따라 인식정도의 차이가 컸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청소년들이 한복을 접하는 경로의 일종으로 ‘교과서’라는 단어가 추출됨으로써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텍스트가 교과서로부터 기인한 것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 교과서에서 한복을 설명하는데 사용한 텍스트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한복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에는 내용분석 기법과 함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한복에 대한 내용에 포함된 잠재적 토픽을 구분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12종)의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서 한복을 다룬 부분의 내용(분량, 사진, 그림, 표, 학생 활동, 한복 유형 등)을 분석한다.

둘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한복 내용을 다룬 교과서에 기술된 내용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2015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한복 관련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청소년들에게 한문화 이해 교육에 초점을 두어 한복에 대한 교과 내용의 문제점을 보완·개선하여, 차후 교과서 개발에 유용한 근거 자료 및 우리의 한문화 역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한복 유형을 포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관련 문헌 고찰

1. 가정 교과에서의 한복 관련 선행연구

의생활 문화는 한 나라의 문화와 가정 생활문화를 반영하는 거울로, 시대와 환경변화에 따라 변화하며 각 문화와 국가에 따라 지켜오고 있는 고유의 복식이 현대의 복식과 공존하고 있다(Joo, 2018). 우리나라 고유의 복식인 한복은 전 세계적으로도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매우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우리 고유의 민족 문화를 상징해 주고 있는 전통의상으로서 우리 조상들의 얼과 슬기로운 지혜와 정성이 깃들어 있는 우리의 삶과 정서가 담겨있는 옷이다(Kwon, 2010).

한복 문화의 계승을 위해서는 전통복식에 대한 새로운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에서 고유의 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의식전환이 필요하다(Joo, 2018). 더 나아가 우리 옷의 아름다운 외형적인 특징만을 보고 입을 것이 아니라, 우리 옷을 입고 지켜왔던 예의 문화를 함께 익혀 문화적 이해의 깊이를 넓히고, 일상에서 착용하려는 자세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의 고유 의상인 한복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한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기회에 동참하고, 생활에서의 한복 착용에도 관심을 갖도록 해야 한다. 특히, 2000년대 이후 한류 열풍과 함께 젊은이들의 한복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관광지에서 체험용 대여 한복을 착용하는 젊은이들이 증가하였다(Shim, 2019). 그러나 한국인으로서 우리 민족의 고유 복식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고, 최근에는 고유의 전통한복 뿐만 아니라 생활한복, 패션한복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확산되고 있지만 문제는 전통한복과 생활한복 그리고 개량한복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모호하고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통복식은 단순한 의복이 아니라 역사 속에서 전해져 내려온 자연환경, 사회, 종교, 지리적 특수성, 생활문화를 포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복식 문화는 한국적인 멋과 지혜를 느낄 수 있는 중요한 문화 그 자체로 볼 수 있으며(Lee, 2010), 학생들이 배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깊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이다.

교육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학습자로 하여금 문화 음미를 통한 희열을 누리고 더 나아가 문화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서는 각 교과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철학을 가지고 교수-학습의 장을 만들어 가야하며 더불어 교과교육의 중요한 교육 매체인 교과서는 문화교육의 관점에 입각하여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이 우리 고유의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기술·가정 교과에서 의생활 부분의 전통복식 교육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정 교과에서도 전통복식인 한복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중학교 기술·가정 옷차림 영역을 대상으로 활동 과제를 분석한 Lee (2007)의 연구 결과, ‘한복의 종류와 바르게 입는 방법’이 포함된 옷차림에 대한 학습자의 높은 요구가 반영된 이유는 사진 자료가 많이 제시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한국 복식 교육의 소홀함과 한복 관련 내용의 부족성에 기인하여 연구한 Kwon (2010)은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한복 교과 내용에 대한 적합성 인식 조사를 하였는데 그 결과, 중학교 2학년 기술·가정 교과서의 한복 교과 내용의 적합성, 수업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한복 단원의 단편적인 교과 내용에 우리옷의 근원이나 변천사 등 자료를 추가하고, 현대에 어울리는 한복의 종류나 상세한 설명 요구와 함께 활동 영역 과제를 넓혀 학생들의 사고의 폭을 넓혀주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Ban (2011)은 전통 의생활 문화 인식 고취를 위한 고등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는데, 학습주제와 내용에 따라 실천적 추론 수업과 강의식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 수업 참여도를 증대시키며, 전통 의생활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계승 및 발전을 위한 효과적인 전통 의생활 문화 교육으로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결국 가정과 교육이 한국인 정체성 확립과 문화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인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기본 지식 습득과 실천적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un (2010)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청소년들은 전통복식 문화에 대한 계승의지와 자부심은 높으나, 그에 비해 전통복식 문화에 대한 지식과 관심, 경험이 낮음을 알 수 있듯이 학교교육을 통해 전통복식 문화를 인식하고 우수성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고등학생들은 전통복식 문화에 대한 계승의지와 자부심은 높은 반면 지식과 관심, 경험은 낮은 편으로 이와 같은 결과(Sun, 2010)를 통해 현행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전통복식인 한복에 대한 내용 분석이 요구된다.

최근 청소년의 한복 인식을 연구한 Shim (2019)에 따르면 20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인식하는 응답자에게서 교과서라는 단어가 추출되었고, 18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인식하는 등 한복을 접하는 경로에 따라 한복의 이미지가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him (2019)은 청소년들이 제공된 이미지 중 가장 전통한복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하고, 선택 이유를 자유 기술하도록 한 후 기술된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된 단어들은 학생들이 자유 기술한 단어이기 때문에, 학생이 무의식중에 한복과 연관하여 사용하는 단어로 생각할 수 있다. 결과 부분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특정 시기의 한복의 선택 이유로 등장한 단어들이 구분된다는 점이다. 특히 20세기 한복을 전통한복으로 선택한 학생들이 많았는데, 선택 이유로 추출된 단어들로는 ‘전통적’, ‘단아함’, ‘우아함’ 등과 함께 ‘교과서’라는 단어가 나타나 학생들이 생각하는 한복의 이미지가 교육과정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어서 중·고등학생의 한복에 대한 태도 연구(Baek & Shim, 2020)에서도 청소년들이 한복을 접하는 경로로 직접 체험, 대중매체, 기술·가정 교과서, 전통마을 주변, SNS 등 다양했지만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접하는 한복에 대한 정보를 일관되게 정리하여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한복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단어들이 교육내용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과 교과 활동의 기본이 되는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현재의 학습 내용과 교육과정 자원에 대한 중요한 평가이자 앞으로 교육 내용의 개선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된다(Ko, 2016). 뿐만 아니라 전통복식 문화는 청소년기 학생들이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고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전통복식 문화에 내용은 극히 적기 때문(Lee, 2010) 교과서 내용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전통복식 관련 내용이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에 실린 만큼 현행 교과서에서 한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2. 내용분석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가정과 연구

기술·가정 교과서를 분석한 관련 연구들은 크게 교육내용의 구성 체계와 핵심 요소를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분석하는 종적 연구와 특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횡적 연구(Jang & Kim, 2018)로 구분할 수 있다. 2000년 이후 중학교와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연구로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 단원 영역 분석(Lee et al, 2003)을 시작으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내용 분석까지 변화하는 교과 내용에 맞추어 주제가 바뀌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전반적인 기술·가정 교과서 분석 연구에 비해 의생활 영역만을 주제로 다룬 연구는 그 수가 상대적으로 많지는 않았으며 주로 단원 내용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Kang & Lee, 2018).

최근 여러 학계에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선행연구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텍스트 마이닝은 일반적으로 정보 추출, 정보 검색 분야와 긴밀하게 관련되는데, 문서 조직화와 지식 발굴의 혼합기술로서 궁극적으로 대량의 텍스트를 분류하고, 유용한 텍스트를 선별하며, 각 텍스트에 대한 요약 정보를 발췌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서 활용 제안과 더불어 가정교과에서도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분석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가정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살펴본 Lee, Kim 등(2018)의 연구에서는 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가정과 교육과정 원문을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시기별 핵심 개념 중 ‘생활’과 ‘가정’이라는 개념은 교육과정 변화에 상관없이 유지되는 핵심개념으로 나타났고, ‘문제’, ‘능력’, ‘해결’, ‘실천’ 등의 용어는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살펴본 청소년의 한복 인식(Shim, 2019)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한복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비정형 데이터인 자유 기술식 응답 부분은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선호하는 한복 선택 이유 및 시대별 한복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텍스트에서 어떤 단어로 표현되었느냐에 따라 인식정도가 컸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교과서’라는 단어는 청소년들이 한복을 접하는 경로로써 한복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가정과 교육 과정의 내용 분석 이외에 최근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에 대한 분석도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Kim과 Chae (2019)의 경우 ‘생활문화’ 단원의 전통 식생활 문화, 전통 의생활 문화, 전통 주생활 문화에 대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Jang과 Kim (2018)은 중학교 가정 교과의 식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 내용 분석에 텍스트 마이닝을 적용하여 핵심 단어를 추출하였다. 그러나 의생활과 전통복식 분야의 교육내용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분석은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처럼 기존의 전통복식 관련 선행연구들과 교과서 분석 연구는 대부분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분석 또는 내용 분석법을 이용하였다면, 본 연구는 양적·질적 분석을 병행하는 혼합적 방법과 교과서에 기술된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서 한복을 다룬 교과서 내용과 삽화(표, 그림, 사진 등)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2. 분석 방법

분석 방법은 크게 내용 분석법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한복을 다룬 단원의 내용과 표, 그림, 사진과 같은 삽화는 내용 분석을 하였다. 내용 분석법이란 전하고자 하는 주제를 특정 매체를 통해 전달되고 있는 형태를 탐색하는 과정(Jung, 2016)으로 양적 내용 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으로 나뉘는데, 본 연구에서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는 혼합적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혼합방법을 채택함으로써 계량화된 정보 산출에 치우쳐 내재된 의미 분석에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하였다.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에 기술된 부분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은 자연어 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비정형 또는 반정형 텍스트 테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 및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Yang & Kim, 2017). 기본적으로 텍스트 마이닝은 문서에 나타나는 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여러 문서에 존재하는 복잡성을 효율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문서와 문서 사이에 나타나는 단어 사이에 토픽(topic) 계층이 잠재적으로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이 잠재 정보를 추출하여 모형을 만드는 방식이 토픽 모델링이다(Kim & Baek, 2016). 본 연구에서는 12종 교과서의 전통복식을 다룬 단원에서 한복을 설명하는 문단들을 선택하여 문서화하고, 출현빈도가 높은 단어를 추출한 후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1. 2015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 전통복식 내용 분석

가.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전통복식 관련 단원 및 내용 분석

고등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 전통복식 관련 단원 및 내용은 <Table 1>과 같다. 전통복식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 12종 교과서의 해당 분량은 적게는 3쪽(1종), 많게는 6쪽(1종)으로 4쪽(7종)과 5쪽(3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12 Textbook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12종 모든 교과서의 전통복식 관련 내용은 대단원 「가정생활과 안전」에 해당하며,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의 공통의 단어가 포함되어 중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단, 1종(지학사)의 경우만 중단원명이 ‘한복과 현대 의복의 동행’으로 창의적인 의생활의 단어가 중단원에 포함되지 않았다.

소단원은 1~3개로 구성한 교과서로 구분되었는데, 소단원을 1개로 구성한 교과서는 비상교육과 삼양미디어였고, 2개로 구성한 교과서는 천재교과서, 동아출판, 교학사, 교학도서, 이오북스, 지학사, 교문사, 금성출판사 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3개로 구성한 교과서는 씨마스와 미래엔이었다. 소단원명은 교과서마다 다양하게 제시되어 교과서별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한복의 특성과 우수성, 창의적인 의생활 실천 내용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중단원명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아래 소단원명은 한복의 특성과 우수성, 우리나라의 의생활 문화, 다른 나라의 의생활 문화, 한복을 응용한 의복 디자인, 한복을 응용한 생활 소품 만들기, 의복 디자인과 소품, 전통한복 현대화에 앞장서자, 한복의 미, 창의적인 의생활 실천 등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특히, 비상교육, 삼양미디어, 지학사 교과서는 ‘스스로 활동’, ‘문제해결 탐구활동’, ‘주제활동’ 등 소단원명은 아니지만 학생 활동의 명목으로 한복을 응용한 창의적인 옷의 디자인, 한복 디자인 프로젝트, 나만의 맞춤 한복 설계하기 등 한복을 응용한 창의적인 활동들을 다루고 있었다.

각 소단원에 해당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한복의 특성과 우수성 관련 단원에서는 한복의 특성, 한복의 가치, 한복의 우수성, 한복 입는 방법, 한복의 변천, 전통 의례복, 한복의 아름다움과 기능성, 전통 의생활 문화의 변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창의적인 의생활 실천 관련 단원에서는 한복을 응용한 창의적인 의생활 실천하기, 한복을 응용한 창의적인 옷의 디자인, 현대 의생활에서의 한복 활용, 남녀 디자인의 예, 색동주머니 만들기, 세부 장식, 한복을 만난 소품 & 교복, 한복 디자인 프로젝트, 나만의 맞춤 한복 설계하기, 전통문양·선·색을 주제로 한 생활 용품 만들기 등 학습자 중심의 창의적인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부분 실습으로 진행되는 내용이었다.

특히, 한복에 담긴 상징적 의미, 한복의 아름다움을 생활 속으로 실천하며, 한복의 이해와 우수성을 통해 가치를 찾고 한복의 현대화 방안 등의 내용은 2015 개정 교육과정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에서 전통적인 가정생활 문화이해를 바탕으로 더 나은 가정생활 문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찰하고 결국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를 창조하는 기초로 생활 문화 교육을 하도록 요구한 부분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정생활의 각 영역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들을 학생 스스로 능동적으로 깨닫게 하는 한편,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다양한 활동을 통해 문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태도를 기르는 것이 진정한 전통 문화 이해의 시작이며, 가정과 교육을 통해 문화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나.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전통복식 삽화 및 활동(만들기) 분석

삽화(illustration)는 서적·신문·잡지 따위에서 내용을 보충하거나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넣는 그림으로 교과서 내의 시각 자료 중 ‘사진, 그림, 그래프, 표, 만화’를 모두 포함한다(Park & Jun, 2020). 고등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 「가정생활과 안전」영역의 전통복식 관련 삽화 및 활동 내용은 <Table 2>와 같다.

Explains and Activities of 12 Textbook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의 전통복식 관련 삽화를 분석한 결과, 12종 모든 교과서에서 표와 그래프는 제시되지 않았다. 이는 교과의 특성과 전통복식의 내용상 통계적인 수치보다는 전통복식에 대한 이미지와 관련 내용 전달로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전통복식 관련 삽화로는 그림과 사진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교과서마다 그림과 사진이 차지하는 비율에는 차이가 있었다. 천재교과서, 비상교육, 씨마스, 미래엔, 교학사 교과서는 제시된 사진에 비해 그림의 비율이 낮았고 교학도서, 이오북스, 삼양미디어, 지학사, 금성출판사 교과서는 그림과 사진의 비율이 비슷하거나 그림이 더 많이 제시되었다. 한편, 동아출판 교과서는 모두 사진 자료로만 제시되었고, 교문사 교과서는 모두 그림 자료로만 제시되었다.

12종 모든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들어간 삽화로는 여한복, 남한복 이었으며, 통과의례(돌복·관례·혼례복·상례·제례복)에 따른 의복을 제시한 교과서로는 비상교육, 씨마스, 교학사, 교학도서, 금성출판사 총 5종에서 다루었다. 여아·남아 한복을 제시한 교과서는 총 6종으로 비상교육, 씨마스, 미래엔, 교학사, 교학도서, 지학사였다. 장신구를 제시한 교과서로는 미래엔(비녀, 거울, 은장도, 노리개), 이오북스(노리개), 교학도서(세부 장식), 삼양미디어(머리장식: 비녀, 족두리, 빗채기, 노리개), 금성출판사(매듭 장신구) 5종으로 장신구 중 노리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시대별 복식 제시 유무에 따라 천재교과서, 교학도서, 이오북스, 삼양미디어, 교문사 교과서에서는 시대별 복식이 모두 그림으로 제시되었다. 천재교과서는 삼국시대와 조선시대 복식, 교학도서는 16~19C 시대별 저고리, 이오북스는 16~19C 저고리 변천과 삼국·고려·조선 시대 한복 변천, 삼양미디어는 삼국·고려·조선·근대 한복의 변천, 교문사는 우리나라 복식 변천사에서 삼국·발해/통일신라·고려·조선 복식으로 12개의 삽화로 가장 많이 제시되었다. 나머지 7종의 교과서에서는 시대별 복식 삽화는 제시되지 않았다.

삽화를 통해 한복을 응용하거나 창의적 디자인으로 표현된 교과서로는 비상교육(창의적인 옷 디자인, 한복을 응용한 디자인), 동아출판(한복 창의적 디자인), 씨마스(개량한복을 교복으로 입기, 한복을 현대 의복에 응용하기), 교학사(한복 응용 디자인), 지학사(전통현대화에 성공한 디자인, 한복의 현대화 방안), 금성출판사(현대적 느낌 한복, 한복 응용한 교복) 총 6종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학사를 제외한 11종의 교과서에서는 전통복식을 활용한 다양한 생활 소품 만들기 및 의복 디자인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12종의 교과서 중 생활한복, 개량한복 등 한복에 대한 명칭과 함께 삽화로 제시된 교과서는 씨마스(개량한복을 교복으로 입기)와 미래엔(생활한복: 여한복, 남한복) 2종 뿐이었다. 이에 전통복식을 접하는 경로 중 학교 교육 즉 교과서를 통해 사용되는 한복에 대한 용어와 한복에 대한 정보 등을 주의하여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의 한문화 역사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한복 유형을 포함할 수 있는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정과 교육을 통해 문화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2. 전통복식 부분 텍스트 내용 분석

가. 핵심 단어 추출

12개의 교과서에서 전통복식을 설명하는 텍스트 부분을 대상으로 핵심 단어를 추출한 결과, 5회 이상 출현한 단어를 <Table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주제어인 한복이 총 72회 출현한 데 이어 출현빈도 상위 10위에 포함된 단어들은 ‘문화’, ‘우리’, ‘생활’, ‘의복’, ‘의생활’, ‘저고리’, ‘시대’, ‘우리나라’, ‘우수성’, ‘창조’ 등 이었다. ‘우리’, ‘생활’, ‘문화’ 등의 단어와 ‘의복’ 및 ‘의생활’은 ‘한복’을 우리 문화 속에 존재하는 옷으로 설명하기 위해 활용한 단어로 판단된다. 상위 10위 단어 중 눈에 띄는 단어는 ‘저고리’와 ‘우수성’ 이다. ‘저고리’는 한복의 윗도리(namu.wiki/w/저고리)로 셔츠에 해당하는 의복 아이템의 이름이다. 핵심 단어를 출현빈도 상위 30위 단어로 확장하면, ‘두루마기’와 ‘치마’도 나타난다. ‘저고리’와 ‘두루마기’ 모두 한복의 윗도리에 해당하는 의복 아이템으로, 한복의 설명에 옷의 이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Key Words Related to Traditional Costumes in 12 kind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Textbooks

‘형태’, ‘곡선’ 등의 단어도 출현빈도가 상위에 위치하였다. 한복은 평면적이라는 것이 구성학적으로 큰 특징으로, 바닥에 펼쳤을 때는 평면적이지만 입으면서 목에서부터 겨드랑이까지 팔(八)자 모양의 주름을 잡아 자연스럽게 몸에 맞추어 입어 입체적으로 만든다. 이런 착장 과정을 통해 여자 한복은 자연스럽게 흐르는 선과 완만한 곡선(Yoon & Woo, 2011)을 갖게 된다. 그런데 교과서에서 한복을 설명하는 짧은 문장 안에서 활용된 ‘곡선’이라는 단어는 어떤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갖도록 사용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부분은 교과서에서 함께 사용된 삽화와 연결하여 ‘곡선’ 단어의 의미 해석에 대한 후속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우수성’, ‘전통’, ‘현대’, ‘조화’, ‘계승’ 등의 단어가 많이 출현함으로서 한복이 일상생활에서 가깝게 선택되어 활용되는 옷의 개념보다는 ‘우수성’을 알리고 ‘계승’해야 하는 ‘우리’의 ‘전통문화’라는 측면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었다. 한복의 이미지와 연결될 수 있는 단어로는 ‘우아’가 추출되었는데, Shim (2019)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이 한복 선택의 이유로 자유 기술한 단어 중 ‘우아’가 추출된 점과 연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Shim (2019)의 연구대상이었던 청소년들은 2011 개정 교육과정을 받은 고등학생들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받게 될 중학생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사용되는 단어와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단어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복은 옷이지만 한복의 교육에 사용되는 단어에는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옷과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별로 2회 이상 출현한 단어를 살펴보면, 많은 출판사에서 공통으로 출현하는 단어와 특정 출판사에서만 출현하는 단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많은 출판사에서 동시에 출현한 단어로는 ‘문화’, ‘생활’, ‘의생활’ 등이 있었다. 씨마스, 삼양미디어, 교문사에서는 한복의 설명에서 ‘문화’만 출현했고, 교학사에서는 ‘의생활’만 출현하여 다른 출판사와 차이가 나타났다. 한복의 설명에 가장 많은 단어가 출현한 교과서는 이오북스였는데, 2회 이상 출현한 단어가 총 23개로 ‘문화’, ‘생활’, ‘의생활’ 외에 ‘나라’, ‘인간’, ‘여성’, ‘신체’ 등 사람에 대한 단어와 함께 ‘특징’, ‘색채’, ‘모양’, ‘창조’, ‘변화’ 등의 단어가 나타났다. 그리고 한복 의복 아이템 중 ‘저고리’는 나타나지 않고, ‘치마’가 출현하여 다른 교과서와 차이가 있었다. 이에 비해 가장 적은 단어가 출현한 교과서는 총 4개의 단어가 출현한 지학사와 금성출판사 그리고 교학사였는데, 주제어인 한복을 제외하면 총 3개의 단어만 사용되고 있었다. 금성출판사의 경우 ‘의복’, ‘의생활’ 외에 ‘우리’ 라는 단어로만 설명하였고, 지학사는 ‘의복’, ‘의생활’과 ‘현대’가 사용되어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대상을 한복에 대한 설명문으로 제한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를 해석하는 데는 주의가 필요하다.

나. 토픽 모델링 분석

전통복식 관련 단원에서 한복을 설명하는 문단 안에 어떤 토픽이 존재하는지를 확률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출현빈도가 높은 핵심 단어를 중심으로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추출된 토픽들은 관련 단어들로 구성되는데, 특정 단어는 하나의 토픽만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토픽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복을 설명하는 문단에서 총 3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는데 각 토픽에 해당하는 단어를 살펴보면 <Table 4>와 같다.

The Results of the Core Word Topic Modeling Related to the Traditional Costume of 12 Textbooks

추출된 핵심 단어 중 저고리, 치마, 두루마기 등 의복 아이템에 해당하는 단어를 제외하고 정리한 결과, topic 1에는 한복, 의복, 우수성, 형태, 다양, 기능적 등 한복의 형태적, 기능적 우수성에 관련된 단어들이 추출되었고, topic 2에서는 문화, 우리, 생활, 시대, 특징, 변화, 계승 등의 단어가 추출되어 계승해야 할 문화를 강조하는 단어 조합이 나타났다. 마지막 topic 3에는 의생활, 전통, 현대, 창의, 조화, 우아, 역사 등의 단어가 포함되었다. 이는 한복을 설명하는 문단 내에는 한복의 우수성에 관한 토픽, 계승해야 하는 문화에 관한 토픽 그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의생활에 관한 토픽 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토픽모델링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통해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은 한복을 일상생활과 분리시킨 채, 우수성을 지닌 계승해야 하는 문화로 대상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곧 교육대상인 고등학생들도 한복을 일상생활과 분리된 학습의 대상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과서별로 추출된 핵심 단어를 토픽 1,2,3과 비교한 결과, <Table 5>와 같이 출판사별로 차이가 있었다. 각 교과서에서 2회 이상 출현한 단어가 위치한 토픽을 정리한 결과 교학도서와 지학사에서는 topic 2에 해당하는 단어가 출현하지 않았고, 교문사는 topic 3의 단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출판사에서 동일한 내용을 다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복에 대해 무엇을 다루고 있는지 확인하고 교육의 내용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lated to Traditional Costumes in 12 Kind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Textbooks

결론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한복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전통 의생활 교육에서의 올바른 문화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차기 교육과정의 교과서 채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교과서가 제시하는 규범적 가치들이 어떠한 방향성과 지향성을 지니는가 하는 점은 학생들에게 어떤 가치와 규범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척도이므로 가정과 교육을 통해 전통 문화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한복 착용의 주요 소비자로 등장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을 반영하여 학교 교육의 중요한 매개체인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복식 관련 내용을 다룬 고등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에서는 한복에 담긴 상징적 의미와 특징 그리고 한복의 아름다움을 생활 속으로 실천하며, 한복의 우수성을 통해 가치를 찾고 한복의 현대화 방안 등을 다루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성격 중 우리나라 전통 가정생활 문화를 토대로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발전 방향과 세계화 방안 그리고 가정생활 문화의 주체로서의 가족이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을 통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일상에서 멀어진 한복문화(Shim, 2019)를 청소년들은 사극드라마, 연계프로그램, 인터넷 등에서 많이 접하는 상황에서 가정생활의 각 영역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들을 학생 스스로 능동적으로 깨닫게 하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다양한 활동을 통해 문화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태도를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삽화는 교과서 내에서 학생을 집중시키고 학습 동기를 이끄는 주의적 역할(attentive role)을 하며 교과서 내용을 삽화로 직접 전달하는 설명적 역할(explanative role)을 한다. 또한 전달하려는 내용을 삽화로 나타냄으로써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을 보다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만드는 파지적 역할(retentional role)로 고등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에서 전통복식 관련 삽화는 대부분 그림과 사진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즉, 교과 내용을 단순하게 기술하고 있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위 내용들을 그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시대별 복식 문화와 세계화 등 다양하게 다루어지긴 하였으나 양적 질적으로 부족하여 아쉬운 점이 있었다. 이에 전통복식을 포함한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통해 전통복식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한복을 설명하는데 사용된 단어들은 저고리, 치마, 두루마기 등 특정 의복의 종류를 지칭하는 단어들과 문화, 우수성, 전통, 현대, 조화, 계승 등 의미가 압축된 단어가 많았다. 이러한 단어의 선택은 한복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고 착용하며 즐길 수 있는 옷이 아니라, 한정된 지면 속에서 압축된 단어들을 사용하여 설명되는 학습의 대상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토픽모델링을 통해 확인한 바,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은 한복을 일상생활과 분리시킨 채, 우수성을 지닌 계승해야 하는 문화로 대상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즐기는 한복과 교육과정에서 습득하는 한복의 간극을 발생시킨다. 한복을 고정된 이미지를 가진 지켜나가야 하는 유산으로 가르쳐야 할지, 일상생활에서 즐길 수 있는 옷으로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또한 고등학교에 사용된 설명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지, 내용은 적정한지 사용자 입장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제언하자면, 한복 설명 문단에서 추출된 한복의 우수성, 전통의 계승 그리고 조화롭고 우아한 우리의 문화 등의 단어 리스트로 구성된 topics들은 한복을 특정 이미지로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크다. 이에 한복을 학습의 대상이 아닌 우리 삶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해 어떤 내용을, 얼마나, 어떤 형태로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전통 의생활 내용 및 삽화 선정 과정에서 한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일선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가 효율적으로 선택, 사용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Baek M. K., Shim J. Y.. 2020;A Study on attitudes toward hanbok in middle and high School: focusing on the image of hanbok, the type of choice of traditional hanbok, and the path to contact hanbok. Journal of the life science society Association 29(3):397–406.
2. Ban Y. J.. 2011;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 to rais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4):1–17.
3. Jang Y. M., Kim Y, K.. 2018;Content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uni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 focus on the national curriculums from 1st to 2009 revise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4):93–112.
4. Joo Y. A.. 2018. The life culture of korean families Seoul: Shinjung.
5. Jung M. E.. 2016. Content analysi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in the elderly. A Master’s Degre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6. Kang J. Y., Lee Y. J.. 2018;Analysis of the “clothing life”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revised in 2015.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4):15–35.
7. Kim E. J.. 2006;Exploratory study of Cultural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1):1–13.
8. Kim N. E.. 2006;Analysis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Field of home life』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veloped b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2):23–39.
9. Kim N. E., Lee H. J., Han J., Kim S. J., Choi M. S., Kwak S. J., Lee H. J.. 2011;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tyle to raise awareness of han style(korean 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3):19–36.
10. Kim S. B., Chae J, H.. 2019;Analysis of core area of living culture i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revised in 2015.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19(7):871–903.
11. Kim S. Y.. 2006. The research regarding professor study data development with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Focus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dress of history. A Master’s Degree from Sungshin Women’s University;
12. Kim J. E., Baek S. G.. 2016;Analysis of Issues on the college and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using text big data analytic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7(3):409–436.
13. Ko I. G.. 2016;A Study on the core concept of the seal-ga agricultural unit Based on big data analysis method. Journal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Association 16(4):431–450.
14. Kwon Y. J.. 2010. Study on perception of the suitability for the Hanbok contents of a subjects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in the 2nd grade middle school. A Master’s Degree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5. Lee E. B.. 2010. An A solution of ‘integrated curriculum’about Home Econimics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A Master’s Degree of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6. Lee J. G., Kim M. J., Mo T. H., Park M. J., Park S. Y., Cho J. S.. 2003;Content analyses of housing area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0(2):35–54.
17. Lee J. S., Im S. J., Choi Y. R., Kim E. J., Park M. J.. 2018;Analysi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3):111–127.
18. Lee J. Y.. 2008. An exploratory study on secondary school uniforms for reflecting hanbok image. A Master’s Degree of Ul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s)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 Shin M. S.. 2019;Analysis of study trend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Grammar Education 36:95–134.
21. Shim J. Y.. 2019;The perception of hanbok in adolescents through text mining.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3):239–250.
22. Sun M. J.. 2010.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raditional costume culture in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3. Yang J. Y., Kim J. Y.. 2017;A study on public perception of wales Millenium Centre architecture using textmining.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2(5):193–201.
24. Yoon J. A., Woo H. J.. 2011;A study on the moder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haracteristic of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4(1):77–90. https://namu.wiki/w/%EC%A0%80%EA%B3%A0%EB%A6%AC/저고리.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12 Textbook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Publishing (pages) Unit theme Content
Cheonjae textbook (4) 1-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1.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hanbok · The excellentity of hanbok
· The change of hanbok
· How to wear a hanbok
· How to wear a clothes
3. Creative clothing practice · Creative clothing practice
· Practicing creative clothing by applying (practice) 'hanbok'
Visang education (4) 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anbok
1. The culture of clothing and living in korea ·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anbok
· Traditional character
<Activity of the self> · Practicing creative clothing
· (Selection 1) Design of creative clothes using hanbok
· (Select 2) Making cup support with piece fabric
Dong-a publishing (4) 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The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hanbok in korean clothing culture
1. The culture of clothing and living in korea · The symbolic meaning of hanbok
3. Creative clothing and practice
Seamas (6) The excellence and creative clothing of hanbok ·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hanbok in 1st section
1. What is the excellence of hanbok? · (Content of section 2) Natural environment and clothing culture
2. What is the culture of clothing in other countries? · The clothing culture according to the form
· The culture of clothing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3. What is the creative clothing method to save the beauty of hanbok? · The utilization of hanbok in modern clothing
· Desirable clothing culture
Miraen (4) 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Characteristics of hanbok
1.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hanbok · Hanbok
· Living hanbok
· Excellence of hanbok
3. Design of clothing applying hanbok · Men's clothing design example
4. Making living props using hanbok · Women's clothing design example
· Color pocket making
Gyohaksa (4) 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The Value and Excellence of Hanbok
1. Value and excellence of hanbok
3. Practice of creative clothing · Design applying hanbok
· Korea & british traditional costume
· An example of design element grafting
Gyohak books (5) 0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Our hanbok
1.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anbok · Beauty and functionalities of hanbok
3. Practice of creative clothing · Form, material, detail decoration
Iobox (4) 0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traditional
1. The culture of clothing and living in korea · Clothing culture
· Changes in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3. Clothing design and props · hanbok fashion show
· A school uniform
Samyangmedia (5) 0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excellence of hanbok?
<Problem solution exploration activity> · Korean diplomatic mission: hanbok design project
Jihaksa (5) 02 Hanbok and modern clothing · Understanding of hanbok (Content of unit 1)
1. Find value through understanding and excellence of hanbok · Excellence of hanbok
2. To take the lead in modernizing traditional hanbok ·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hanbok
<Theme activities> · Designing my own custom hanbok
Gyomoonsa (3) 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1. Beauty of hanbok
3. The beauty of hanbok into the life · Designing clothing applying hanbok
Eunsung publisher (4) 2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Aesthetic, functionality excellence
1. Excellence in hanbok · More learning of hanbok
3. Practice of creative clothing · household items on the theme of traditional
· Patterns, lines and colors clothing design applied to hanbok

Table 2.

Explains and Activities of 12 Textbook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Publishing Integration(number)
Etc.
Drawing Picture
Cheonjae textbook · Three kingdom costume(4) · Hanbok, birsun The piece teacup support making
· Yeohanbok of the joseon dynasty(1) · Man hanbok
· Women's hanboks(3 cuts)
· Men's hanbok ki(4 cuts)
· How to wear a cloth(5 cuts)
· Woman hanbok, man hanbok
Visang education · Creative clothing design(2 cuts) · A lobster Designs with sculptural beams
· Woman hanbok, Man hanbok
· Custom/retirement
· Clothes(female, male)
· Wedding costumes(female, male)
· Sangryebok(female, male)
· A courteous dress(female, male)
· Design(5 cuts)
· Applying hanbok
Dong-a publishing · Man duramagi A study on the life applied to hanbok
· A female hanbok/man hanbok
· Jeogori/dural
· Adolescents who enjoy wearing hanbok(fifteen)
· A creative design example of hanbok(3 cuts)
Seamas · Yeo hanbok(2) · (Content of Unit 1)Man korean clothing, woman sang, obangjang scrolling, wedding dress, mourning dress Petal pocket making
· Jeogori · (Content of Section 2)Man korea(boy 6 hanbok) man/women hanbok 2 with four seasons
· Family hanbok(woman hanbok, south korean and boy hanbok)
· Hanbok wearer on outings or holidays(female 4)
· (Male 1, female 1) to wear the improved Korean clothes as school uniforms.
· Applying hanbok to modern clothing(female 1)
Miraen · Girl, boy · Woman hanbok 2, man hanbok 2 Various props applying hanbok
· Hanbok(grandparents, parents, boys, girls)
· Hanbok(woman hanbok, man korean costume)
· The Ring of the Jeo-gori, the Women's Jewelry(Bird, Mirror, Silver Painting, Norigae)
Gyohaksa · (Aesthetics)Girls, boys · Men and women wedding dresses Clothing design and prototyping using hanbok
· (Functional aspect)Girls, boys · Hanbok application design(4 cuts)
· Grafting designs(south korean hanbok, urgent wrapping, colored runner, knot bracelet, dress, bag, shawl, tie, handkerchief)
Gyohak books · The kitchen of Mt. geumgang temple(man 2) · The beauty of hanbok(m, w) Creating creative life props applying hanbok elements
· Outgoing clothes(female clothes, boys, girls) · Obangjangdurumagi(m), nubim baeja
· Jergori by the 16C, 18C, and 19C periods · Wedding costumes(male, female)
· Form(women 2 cuts)
· Material(bag, barge)
· Detailed decorations(two women)
Iobox · Ornamental clothes · Man hanbok A prop that met hanbok
· The change of hanbok jeogori in the joseon dynasty(16th, 17, 18th, and 19th centuries) · Ornamental clothes
· Noodle, no-jiji-chima A school uniform
· Hanbok(m, w)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 Hanbok(m, w) in the goryeo dynasty
· Hanbok(m, w) in the joseon dynasty
Samyang media · The change of hanbok in the paintings and murals (Three kingdoms (2), goryeo (2), joseon (2), modern (1)) · Head decorations(wish, foot and mouth, and raining)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 Woman hanbok(beauty), man hanbok (pungryokhwajoup) · Boys
· Woman (zogori, skirt, bourbon) · Pocket(ear pocket, scroll pocket)
· Man (zergori, pants, margoza, vest, scroll) · The shape(1 cut), material(1 cut), color(1 cut), pattern(1 cut)
Jihaksa · Burseon · Thematic heater(woman hanbok 4, yeojeogori)
· Hanbok name · Margoza, baeja, and roof
· Women's clothing (jugori, skirt, scroll) · Body shape side(woman hanbok, man korean costume)
· Men's wear (zergori, pants, belts, daenim) · Color side(woman hanbok)
· Girl, boy · Health & safe side(council)
· Designers who succeeded in traditional modernization(2 cuts)
·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hanbok
· Designers leading globalization(2)
Gyomoonsa · Korean costumes: the three kingdoms period(3), the balhae and unification silla period(3), the goryeo period(3), and the joseon period(3) Jobawi making
· Woman(zogori, skirt)
· Man(zogori, pants)
Eunsung publisher · Zergori, burseon · Skirts, pants Making of life props using traditional patterns
· Jeogori, skirt, jeogori, pants · Waman hanbok, man hanbok
· Clothing according to the passing ceremony(dolbok, customary clothing, wedding dress, mourning dress, and ritual dress) · The modern feeling hanbok(1)
· The knotted towel, the unknown towel, the booklet magnetism, the embroidery layer cloth, the spoon bag · Uniforms applied to hanbok(m, w)

Table 3.

Key Words Related to Traditional Costumes in 12 kind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Textbooks

Publishing Whole Key-word
textbooks Hanbok(73) culture(20) We(19) life(17) clothing(16) clothing-habits(15) Jeogori(12) era(11) our country(11) excellence(11) creativity(11) form(11) tradition(10) modern(10) skirts(9) ethnic-group(8) beauty(8) characteristics(8) variety(7) change(7) understanding(7) harmony(7) Durumagi(coat)(6) design(6) elegance(6) succession(5) unique(5) a curved-line(5) functional(5) country(5)

Publishing Key-word (based on publishing)

Cheonjae textbook Hanbok(5) We(3) culture(2) ethnic-group(2) life(2) beauty(2) clothing(2) clothing-habits(2) tradition(2) creativity((2)
Visang education Hanbok(7) life(3) clothing(3) succession(2) country(2) culture(2) uncomfortable(2) history(2) our country(2) excellence(2) clothing-habits(2) creativity(2)
Dong-a publishing Hanbok(10) clothing-habits(4) culture(3) We(3) ethnic-group(2) life(2) era(2) style(2) use(2) our country(2) clothing(2) everyday dress(2) emotion(2) creativity(2) modern(2) form(2) application(2)
Seamas Hanbok(8) Jeogori(4) culture(2) We(2) excellence(2) skirts(2)
Miraen Hanbok(10) modern(4) functional(3) clothing(3) creativity(3) aesthetic(2) measure(2) beauty(2) elegance(2) clothing-habits(2) harmony(2) application(2)
Gyohaksa Hanbok(13) clothing(4) culture(3) life(3) modern(3) design(2) beauty(2) We(2) excellence(2) tradition(2) pleats(2)
Gyohak books Hanbok(7) clothing-habits(2) Jeogori(2) creativity(2)
Iobox Hanbok(11) clothing-habits(5) culture(4) characteristic(4) color(3) our country(3) clothing(3) understanding(3) tradition(3) creativity(3) country(2) man(2) holiday(2) shape(2) change(2) life(2) body(2) female(2) We(2) suitability(2) important(2) skirts(2) copiosity(2) application(2)
Samyang media Hanbok(13) clothing(4) culture(3) life(3) modern(3) design(2) beauty(2) We(2) excellence(2) tradition(2) pleats(2)
Jihaksa Hanbok(3) clothing(2) clothing-habits(2) modern(2)
Gyomoonsa Hanbok(9) life(4) era(4) design(4) culture(3) variety(2) foundation(2) people(2) nature(2) convenient(2)
Eunsung publisher Hanbok(6) We(2) clothing(2) clothing-habits(2)

Table 4.

The Results of the Core Word Topic Modeling Related to the Traditional Costume of 12 Textbooks

Topic topic 1 topic 2 topic 3 Intertopic Distance Map
Key-word Hanbok (73) culture (20) clothing habits (15)
clothing (16) We (19) Jeogori (12)
excellence (11) life (17) our country (11)
skirt (9) era (11) creative (11)
form (11) beauty (8) tradition (10)
variety (7) characteristics (9) modern (10)
unique (5) change (7) ethnic group (8)
functional (5) understanding (7) harmony (7)
history (5) design (6) elegance (6)
Durumagi (coat) (5) succession (5) country (5)
a curved-line (5) costume (5)
nature (5) a straight-line (5)
planes (5)
form (11)

Table 5.

Keywords Related to Traditional Costumes in 12 Kinds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Textbooks

Publishing topic 1 topic 2 topic 3
Cheonjae textbook Hanbok (5) we (3) culture (2) clothing (2) ethnic-group (2) life (2) beauty (2) clothing habits (2) creativity (2)
Visang education Hanbok (7) clothing (3) history (2) excellence (2) life (3) succession (2) culture (2) country (2) our country (2) clothing habits (2) creativity (2)
Dong-a publishing Hanbok (10) form (2) culture (3) we (2) life (2) era (2) clothing (2) clothing habits (4) ethnic-group (2) our country (2) creativity (2) modern (2)
Seamas Hanbok (8) excellence (2) skirts (2) culture (2) we (2) Jeogori (4)
Miraen Hanbok (10) functional (3) clothing (3) excellence (2) beauty (2) modern (4) creativity (3) clothing habits (2) harmony (2)
Gyohaksa Hanbok (13) clothing (4) excellence (2) culture (3) life (3) design (2) beauty (2) we (2) modern (3) tradition (2)
Gyohak books Hanbok (7) clothing habits (2) Jeogori (2) creativity (2)
Iobox Hanbok (11) clothing (3) skirts (2) culture (4) characteristic (4) understanding (3) change (2) life (2) we (2) clothing habits (5) our country (3) tradition (3) creativity (3) country (2)
Samyang media Hanbok (13) clothing (4) excellence (2) culture (3) life (3) design (2) beauty (2) we (2) modern (3) tradition (2)
Jihaksa Hanbok (3) clothing (2) clothing habits (2) modern (2)
Gyomoonsa Hanbok (9) variety (2) life (4) era (4) design (4) culture (3) nature (2)
Eunsung publisher Hanbok (6) clothing (2) we (2) clothing habit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