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타트(We Start)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e Start” Institution Visit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14;52(2):189-19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4 April 30
doi : https://doi.org/10.6115/fer.2014.52.2.189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황혜정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Corresponding Author: Hye Jung Hwa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154- 42 Gwanggyosan-ro, Yeongtong-gu, Suwon-si, Gyeonggi-do 443-760, Korea Tel: +82-31-249-9039 Fax: +82-31-249-9904 E-mail: jinhwang@kgu.ac.kr
This article was presented as a poster session at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Spring Symposium in 2013.
Received 2013 April 8; Revised 2013 December 3; Accepted 2013 December 5.

Tran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e Start center visit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positive changes in the developmental areas and literacy interests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s were 195 young children (109 in the experimental group, M=71.7 months; 86 in the control group, M=73.3 months) living in We Start areas (Ansan, Gwangmyeong, and Suwon cities) of Gyeonggi-do. The We Start center visit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conducted for 30-34 weeks in each city, and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developmental checklist and the literacy interests test The developmental checklist consisted of 7 domains (personality & sociality; language, reading, & writing; scientific thinking; mathematical thinking; arts; social learning; and physical development). The literacy interests test consisted of 2 factors (interest in literacy and interaction during activity). The scores on the developmental checklist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veral domains (personality & social development; language, reading, & writing ability; scientific thinking; and social learning), but not in mathematical thinking, arts, and physical developm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literacy interests test showed positive effects on interaction during activity and the total score. In conclusion, the We Start center visit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s an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program to end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ence of poverty in Korea.

서 론

저소득가정의 부모와 자녀를 위한 맞춤형 중재 서비스인 위스타트(We Start) 사업이 시작한 지 벌써 10년이 가까워지고 있다. 그 전까지만 해도 복지사업이란 일회성, 단발성, 시혜성 위주이던 것이 위스타트 사업을 계기로 전환을 맞았다. 복지적 차원의 개입이 아닌 저소득가정의 역량을 강화시켜 빈곤으로부터의 대물림을 끊고 예방적이고 통합적인 개입을 위한 시도로 2004년에 위스타트 운동이 시작되었다. 위스타트 운동은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we)이 나서서 가난한 가정의 아이들에게 복지(welfare)와 교육(education)의 기회를 공정하게 제공하여 가난의 대물림을 끊고 삶의 출발(start)을 돕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시민운동이다. 즉, 저소득층 아동들이 복지·교육·보건의 공정한 기회를 누리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가급적 어린 나이에서부터 예방적이고 통합적인 개입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위스타트 사업은 기존의 단발적인 시혜성 아동복지 사업과는 다르게, 일회성의 물질적 도움을 주기보다는 교육, 복지, 건강 분야에서 공정한 출발선을 제공해 근본적인 자활 의지를 길러주는 활동이다[14].

위스타트 사업은 경기도를 시작으로 서울, 강원도, 전라도 등 전국 4개 광역시·도에서 20개의 마을이 시범마을로 지정되었다. 경기도의 안산시, 군포시, 성남시를 시작으로 수원, 광명, 고양, 양주, 구리 등 12곳, 강원도에서 정선, 속초, 철원 등 3곳, 서울에서 강북, 강서 등 2곳, 전라남도에서 진도, 장흥, 광양 등 3곳이 운영 중이다. 이러한 위스타트 사업은 2007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희망스타트의 초석이 되었다. 희망스타트는 2008년 드림스타트로 변경되어 2012년에 전국 181개 지역에서 사업이 실시되고 있으며 2013년에는 추가로 50개 지역을 확대하여 총 231개 지역에서 실시될 예정이다. 이처럼 위스타트 사업은 희망스타트와 드림스타트의 초석이 되었으며, 위스타트 사업에서 개발된 여러 프로그램이 현재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의 주요 필수 프로그램으로 활용되고 있다.

위스타트 사업은 대상 아동을 영아(0-3세), 유아(4-6세), 학령아동(7-12세)으로 구분하여 복지·교육·보건사업별로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 중 교육사업은 저소득층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교육중재란 아동의 발달을 강화하도록 계획된 일련의 교육적 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Ramey와 Ramey [27]에 의하면 교육중재의 목적은 가정에서 적절한 자극을 제공받지 못하는 아동의 부족한 지적 발달을 예방하는 것이다. 어린시기에 실시되는 조기교육중재란 아동이 공식적 교육체제에서 교육을 받기 이전 시기에 보완적인 교육경험을 제공하려는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시도를 말하며[27, 28], 가정과 양육환경에서 부가적인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아동의 인지적, 언어적 성취를 증진시키고 이후의 교육적 성과를 증진시키는데 역점을 둔다[6, 28]. 인간발달의 기초가 되는 영아기와 유아기는 빈곤으로 인한 사회문화적 결손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시기이므로 바람직한 자녀양육 또는 지도방식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영아기의 경험은 누적되어 유아기에 나타나고 유아기의 경험은 다시 초등학교시기에 나타나므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영아기와 유아기에 주 중점을 둔 교육적 중재를 실시하여야 한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도시 빈민층 및 저소득층 아동의 환경적 불이익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다. 여러 계층비교 연구들에서 저소득층 아동들이 중류 계층 아동에 비해 여러 발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보인다고 보고되었으므로[4, 15, 21, 24], 환경적 요소가 유아들의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초기개입이 의미 있고 장기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기본 가정 하에 저소득층 개입프로그램들이 시도되었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들도 전개되었다[2, 23, 30, 34, 35].

빈곤은 여러 면에서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적 적응, 기본생활습관, 언어발달 등에서 저소득층 아동은 낮은 발달수준을 보이며, 공격성, 불안 등의 문제행동을 보인다[1, 4, 8, 24]. 또한, 저소득가정의 아동은 중류 가정의 아동보다 부모의 낮은 학력과 가정의 환경 부족으로 인해 초등학교 입학시점부터 이미 문해능력이 뒤져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격차가 커진다고 하였다[31, 32].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국에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수행되었다. 미국의 Head Start를 시작으로 영국의 Sure Start, 캐나다의 Fair Start, 호주의 Best Start 등의 Start 프로그램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외국의 Start 프로그램을 표방하여 위스타트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위스타트 교육중재 프로그램은 ‘We Start 경기도 마을 복지, 교육, 보건 욕구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14]를 통해 한국적 상황에서의 빈곤 영유아들의 상황과 실제의 욕구를 파악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진행 형태의 모형을 구축하고 이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즉, 저소득층 영유아들이 자신이 처한 가정환경이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관계없이 자신의 잠재적 가능성을 충분히 발휘하여 최적의 발달을 이루어 가도록 돕고자 ‘We Start 영아 가정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11]과 ‘We Start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12], 그리고 ‘We Start 읽기중재 프로그램’[13]을 개발하였다. 영아 프로그램은 18-36개월의 영아와 주양육자를 대상으로 중재교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교육활동을 진행하며, 그림책읽기 언어중재 프로그램인 유아 프로그램은 만3-5세 취학전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가 다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중재교사가 방문하여 소그룹으로 활동을 진행한다. 읽기중재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중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중재교사가 가정이나 학교를 방문하여 교육활동을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프로그램 중 그림책을 활용하여 교육중재 활동을 실시하는 ‘We Start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We Start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10, 12]은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언어와 인지발달을 우선적으로 지원해주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저소득가정 유아의 부족한 언어 및 문해활동 기회를 보완시키기 위해 유아가 재원 중인 기관을 방문하여 교육활동을 실시한다. 즉,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은 그림책을 매개로 유아의 언어발달을 우선적으로 지원하고 더불어 다양한 그림책 확장 활동을 통해 인지발달과 기본생활습관 및 기타 전체적인 발달을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10]. 이 프로그램은 어린이집에서 소집단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그림책 확장 활동이 공동 작품 만들기, 게임하기, 연극 등 주로 팀 과제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이나 사회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으리라 기대하고, 그림책을 통한 활동을 진행하면서 그림책의 내용을 미술, 음악, 신체 등 다양한 표현으로 확장하는 활동을 부가적으로 실시하므로 예술이나 신체 등의 발달 수준 증진도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그림책 읽기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므로 그림책 활동의 기초가 되는 문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림책을 활용한 읽기 관련 중재프로그램들이 국내에서도 많이 실시되었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도 많이 보고되었다[3, 16, 17, 26]. 그러나 이들 연구들의 대부분은 5-10주의 단기간 동안 중재를 실시하였으므로, 지속적인 효과를 검증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We Start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는 Lee [17]와 Park [25]의 연구를 찾을 수 있다. Lee [17]는 저소득 가정의 유아를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실 밖에서 중재교사에 의한 소집단 그림책읽기 교육방식을 채택하여 적절한 그림책 8권을 선정하여 일주일에 2회, 총 8주간 15회의 중재활동을 실시한 결과, 중재집단의 인쇄물개념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유아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에서 중재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Park [25]은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에 32-35주간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가 언어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밝혔는데, 프로그램에 1-2년 참여한 아동과 참여하지 않은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언어능력을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아동은 참여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인쇄물 개념, 그림 어휘력, 읽기 유창성, 읽기 이해력 등의 언어능력이 높았다. 그러나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것이 아니라, 사후검사 만으로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 언어 능력 점수를 비교한 것이므로 정확한 의미의 프로그램 효과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이와 같이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본 연구들이 극히 적고 또한 프로그램 실시 횟수가 적거나(8주간 15회) 사전검사를 하지 않은 등 프로그램 효과 검증도 제한적이므로, 프로그램을 장기간 실시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확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 매뉴얼에서도 프로그램을 최소 8개월 이상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10].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언어뿐만 아니라 사회성, 예술, 신체 등의 전반적인 발달 영역에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더불어 문해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증진시키는가?

연구 문제 2.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유아의 문해에 대한 관심도를 증진시키는가?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 광명시, 수원시에서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만 3-5세 유아(서비스집단) 109명과 참여하지 않은 유아(비교집단) 86명, 총 195명이었다. 이들 유아는 법정 저소득인 기초생활수급자 가정과 최저생계비의 120% 소득이 있는 차상위층 가정의 자녀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평균 월령은 서비스집단 유아가 47.6개월(SD , 9.7)이고 비교집단 유아가 49.3개월(SD , 10.1)이었다. 이들의 기본적인 배경과 구체적인 월령은 Table 1에 제시되었다.

General Background of Subjects

We Start 유아 프로그램은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므로 유아에 따라 2-3년에 걸쳐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도 하나, 본 연구에서는 전년도에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처음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만을 서비스집단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도구

1)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

We Start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10, 12]은 저소득 계층의 유아들이 처한 가정환경이나 부모의 사회 경제적 수준에 상관없이 자신의 잠재 가능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교육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즉,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언어와 인지발달을 우선적으로 지원해주기 위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그림책 읽기 중재프로그램은 유아의 발달적 수준에 적합하고 문화적으로 친숙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그림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읽는 즐거움을 늘려 가는데 목표를 두었다[10].

We Start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12]은 2005년도에 개발되어 시범적으로 안산시 위스타트 마을에서 실시된 후, 2006년도부터 여러 위스타트 마을에서 실시되었다. 2007년에는 2차년도 프로그램, 2008년도에는 3차년도 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즉,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의 3년 치 활동이 개발되었으며, 각 해마다 주 1회 실시를 기준으로 52주의 활동씩 총 156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년도 52개 활동 중 지역의 상황에 따라 30-34개의 활동을 선정하여 8-9개월 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세에서 취학 전까지의 유아이며, 보육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1년 이상 교육경력이 있는 중재교사가 직접 주 1회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3-6명의 유아를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40-50분간 활동을 실시한다. 이 프로그램은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지속적인 연중 프로그램으로, 대개 8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진행할 것을 추천한다[10].

프로그램은 2주씩을 짝으로 묶어 앞 주에는 선정된 그림책을 가지고 활동을 진행하므로 총 17권의 그림책을 보게 된다. 중재교사는 유아들과 함께 그림책을 읽고 그림책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등 읽기와 말하기 위주의 언어활동을 진행한다. 짝이 되는 뒷 주에는 그림책의 내용과 연계된 확장활동을 하는데, 기본생활습관, 수과학, 언어, 미술, 신체 활동 등의 활동을 다양한 자료를 가지고 주로 팀 과제로 진행한다.

2) 측정도구

(1) 발달적 체크리스트

유아의 발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Meisels [22]가 개발하고 Jung [7]이 수정·보완한 발달적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유아가 교실의 다양한 영역과 일과를 통해 나타내는 기술, 지식, 행동, 성취를 체계적으로 관찰, 평가, 기록하기 위한 도구로 인성과 사회성 발달, 언어와 읽고 쓰는 능력, 과학적 사고, 수리적 사고, 사회학습, 예술, 신체 발달의 7개 영역 6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마다 기능적 요소 및 수행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가 문항을 읽고 응답하도록 되어있다. 수행지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1점), 가끔 관찰된다(2점), 자주 관찰된다(3점)로 나뉘어 있으며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화하여 점수처리 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영역별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발달적 체크리스트의 내적합치도는 .98이며 [7],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Table 2와 같다.

Number of Items and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Developmental Checklist and the Literacy Interests Test

(2) 문해에 대한 관심도

문해에 대한 관심도 검사는 Lee [18]가 개발하였으며, 유아의 문해에 대한 흥미도를 알아보는 7문항과 문해활동 중의 제반 상호작용을 검사하는 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사가 응답하였다. 항상 그렇다(5점)에서 그렇지 않다(1점)로 응답하는 5점 평정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문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 도구의 내적합치도는 문해에 대한 흥미도 .90, 문해활동 중의 제반 상호작용 .85이다[18].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3.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본 연구는 위스타트 마을인 경기도 안산시, 광명시, 수원시에서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데 따라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시의 위스타트 마을에서 법정 저소득인 기초생활수급자 가정과 차상위층 가정의 만 3-5세 유아를 프로그램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발달과 문해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는 유아가 다니는 어린이집으로 검사지를 보내어 유아의 담임교사가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들 중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유아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이들이 서비스집단이 되었다. 반면, 인테이크는 하였지만 프로그램 참여를 거부하거나 유아가 다니는 어립이집에 위스타트 대상 유아의 수가 적어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는 비교집단이 되었다.

서비스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는데, 안산시에서는 30주간, 광명시에서는 34주간, 그리고 수원시에서는 33주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마지막 주에 사전검사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였다. 발달적 체크리스트와 문해에 대한 관심도 검사는 중재교사가 아닌 유아의 담임교사가 유아를 관찰한 바에 따라 각 문항에 체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으로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기본적인 자료의 특징을 설명하고, 대상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집단 간 t 검증으로 차이검증하였다. 그리고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서비스집단과 비교집단 간 차이를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통해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1. 서비스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사전검사 시 서비스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발달 수준과 문해에 대한 관심도를 비교하여 대상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검사 결과를 차이검증하였다. Table 3의 결과에 의하면, 발달 수준 전체 점수(t=2.97, p <.01)와 문해에 대한 관심도 전체 점수(t=3.47, p <.01)에서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가 더 높았다. 하위 영역 점수에 있어서도 발달 수준의 예술과 신체발달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에서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가 더 높았다. 본 대상의 경우 위스타트 사업 지역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를 서비스집단으로 선정하였는데, 열악한 환경의 유아가 우선적으로 프로그램으로 선정되는 사업 상 특성 때문에 같은 기초생활수급자 가정이라도 서비스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열악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공분산분석에 의한 통계적 처리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Homogeneity in the Developmental Checklist and the Literacy Interests Test

2. 집단에 따른 유아의 발달수준 비교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발달적 체크 리스트의 서비스집단과 비교집단 점수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전체 발달수준을 살펴보면, 서비스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조정된 사전검사 점수는 2.37이었다. 서비스집단의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2.58이었고 비교집단의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2.44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 =9.065, p <.01). 즉,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의 발달수준이 유의하게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sults of Analysis of Covariance of the Developmental Checklist

유아의 발달 증진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성과 사회성 발달에서 서비스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는 2.73, 비교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는 2.60로 이 차이는 유의하였다(F=5.841, p <.05). 즉, 프로그램에 참여한 서비스집단의 유아가 인성과 사회성 발달에서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언어와 읽고 쓰는 능력에서는 서비스집단 유아의 조정된 사후점수가 2.64, 비교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가 2.4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13.417, p <.001). 즉,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와 읽고 쓰는 능력을 증진시켰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과학적 사고 영역에서는 서비스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가 2.33, 비교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가 2.13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5.889, p <.05). 즉,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사고를 증진시켰다. 또한, 사회학습 영역에서는 서비스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가 2.52, 비교집단은 2.36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546, p <.05). 즉,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학습도 증진시켰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7개 하위영역 중 4개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증진이 있었다. 그 외 수리적 사고(F=.051, p>.05), 예술(F=.923, p>.05), 신체발달(F=1.351, p>.05)의 3개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유의한 증진이 없었다.

발달의 하위영역 중 유의한 증진을 보인 4개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성과 사회성 발달 영역에서는 5개의 기능적 요소 중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F=3.902, p <.05)과 갈등해결(F=6.104, p <.05)의 2개 기능적 요소에서 유의한 증진이 있었다. 언어와 읽고 쓰는 능력 영역에서는 4개의 기능적 요소 중 말하기(F=11.415, p <.001), 문해와 읽기(F=11.316, p <.001), 쓰기(F=9.268, p <.01)의 3개 기능적 요소에서 유의한 증진이 있었다. 과학적 사고 영역에서는 3개의 기능적 요소 중 관찰과 조사하기(F=4.598, p <.05), 결론내리기와 설명하기(F=4.917, p <.05)의 2개 기능적 요소에서 유의한 증진이 있었다. 사회학습 영역에서는 4개의 기능적 요소 중 지역사회와 이웃(F=5.322, p <.05) 1개 기능적 요소에서 유의한 증진이 있었다.

한편, 유의한 증진을 보이지 않았던 3개 하위영역의 기능적 요소를 살펴보면, 수리적 사고 영역은 6개의 기능적 요소 모두에서 유의한 증진이 없었다. 예술 영역의 경우 2개 기능적 요소 중 표현과 묘사에서 유의한 증진을 보였으며(F=3.806, p <.05), 신체발달 영역에서는 3개의 기능적 요소 모두에서 유의한 증진이 없었다.

3. 집단에 따른 유아의 문해에 대한 관심도 비교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문해에 대한 관심도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전체 문해에 대한 관심도 점수를 살펴보면, 서비스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조정된 사전검사 점수는 3.47이었다. 서비스집단의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3.92였고 비교집단의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는 3.70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031, p <.05). 즉,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의 문해에 대한 관심도가 유의하게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을 보면, 문해활동 중의 제반 상호작용은 유의한 증진을 보였으나(F=3.854, p <.05), 문해에 대한 흥미도는 프로그램 실시에 따라 유의한 증진을 보이지 않았다(F=1.701, p>.05)

Results of Analysis of Covariance of the Literacy Interests Test

논 의

본 연구는 저소득가정 유아의 발달을 조기중재하기 위해 개발된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유아의 여러 영역의 발달과 문해에 대한 관심이 증진되었는지를 분석한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의하면,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유사하게 저소득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을 향상시켰다. Park [25]의 연구에서는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일명 그림책 읽기 언어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유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이 되었을 때,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던 유아들보다 인쇄물 개념, 읽기 유창성, 구어적 읽기 이해력 검사 등에서 유의하게 높은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림책읽기 언어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은 양질의 그림책을 접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중재교사와, 그리고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 책읽기(shared reading)와 안내적 책읽기(guided reading)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비교집단의 아동보다 더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이 중재집단 아동의 언어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25]. Lee [17]는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실시한 자료를 가지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인쇄물 개념이 증진되었다.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는 이상의 두 개 연구가 유일한데, 이 두 연구 모두 언어적인 측면만 측정하였을 뿐 아니라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한된 상황에서 연구가 실시되었으므로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였다고 보기 힘들다. 그런 면에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확하게 검증한 연구라고 하겠다. 이 외에도 그림책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은 유아의 언어발달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9, 36]들의 결과도 본 연구의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은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인성과 사회성 발달, 과학적 사고, 사회학습 등의 발달을 증진시켰다. 이는 그림책읽기 활동을 주 활동으로 하여 중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지만, 각 그림책의 내용에 따른 확장 활동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사회정서, 인지, 언어 등 여러 발달영역에 고루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영역의 발달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교육중재를 통해서 아동의 발달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들이 있어왔다(예, 미국 Carolina Abecedarian Project, High/Scope Perry Preschool Project, Head Start, Early Head Start 등). 미국의 대표적인 중재프로그램인 Head Start는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특히 국가 차원의 Head Start Impact Study가 2005년과 2010년에 각각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Head Start에 참여한 유아의 읽기 기술이 증진되었고 부모들은 자녀의 문제행동의 빈도와 심각성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건강 상태도 높았다고 보고하였다[34]. 또한, 만 3세와 4세 유아의 인지능력과 건강이 향상되었고 만3세는 사회, 정서영역에서도 효과가 있었다[35]. 영국의 Sure Start 중재프로그램은 2003년도부터 The Effective Provision of Preschool Education (EPPE) 종단적 연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는데[33], 중재교육을 받은 아동이 읽기와 쓰기, 수학,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발달이 높고 문제행동이 적었다. 또한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협동, 나누기, 공감능력), 독립심과 자기통제력이 높아졌다고 한다[23].

우리나라에서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수행된 지가 그리 오래지 않았다. 삼성복지재단에서는 삼성어린이집에서 만 3-5세 저소득가정의 유아와 부모에게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제공하여 3년에 걸쳐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재집단 유아는 지능, 언어능력, 사회·정서적 특성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기본생활습관도 향상되었고 초등학교에의 적응도 더 높아 교사가 평정한 학업수행능력도 더 높았다[15].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영유아통합지원사업에서 개발하여 수행한 시소와그네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성과보고에 의하면, 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한 만 3-5세 저소득가정 유아는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의사소통, 일상생활기술, 사회화, 운동기술, 적응행동 발달이 향상되었다고 한다[5]. 이처럼 영유아를 위한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많이 확산되지 않은 상황이라 비교할 수 있는 선행연구 결과가 많지 않지만,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흥미로운 것은 교육중재 프로그램에서 다룬 영역의 발달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는 것이다. 위스타트 유아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언어와 인지 발달을 보면, 본 연구에서 언어와 읽고 쓰는 능력과 과학적 사고 영역의 발달이 전체 점수뿐 아니라 하위 기능적 요인에서도 다른 영역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문해활동 중의 상호작용과 문해에 대한 관심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소집단으로 진행되어서 유아의 인성과 사회성 발달과 사회학습 영역에서 유의한 증진을 가져왔다. 더불어 미술활동을 통한 확장 활동을 많이 해서인지 예술 영역의 표현과 묘사에서도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이는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목표에 맞게 잘 구성되어 실시된다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많은 연구들은 중재가 조기에 개입될수록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였다[27-29, 35]. 그러므로 저소득가정 영유아를 대상으로 구성된 교육중재 프로그램은 대상의 관심과 협조 등의 부족으로 실시가 어렵지만, 일단 프로그램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나면 그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이는 조기중재에 매우 고무적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저소득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서비스집단과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서비스집단 유아의 발달적 향상을 확인하였으나, 교육중재가 저소득가정 유아의 발달을 일반 유아의 발달만큼 보상해줄 수 있는 지에 관한 고려는 하지 못했다. Head Start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19, 20]에 의하면, Head Start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참여하지 않은 유아들에 비해 인지적 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증가하였지만, 일반 중류가정의 유아에 비해서는 여전히 그 수준이 낮았다고 한다. 그러므로 저소득가정 유아뿐 아니라 일반 유아를 포함하여 교육중재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특성 상 서비스집단의 유아가 비교집단에 비해 발달 수준에서 더 열악하였다. 위스타트 사업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실시한 사업이 아니라 서비스지원에 목적을 둔 사업이기 때문에 열악한 대상을 우선으로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따라서 서비스집단의 더 열악한 수준과 환경이 높은 향상을 가져오는데 저해 요인이 되었을 수 있으므로, 서비스 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엄격하게 확보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위스타트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높이며, 위스타트 프로그램이 드림스타트 사업이나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 등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위스타트 프로그램이 실시된 지 8년째에 접어드는 지금 시점에서 중·장기적 안목에서 위스타트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설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Notes

The author declared that she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he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2011 Kyonggi University Research Grant.

References

1. Bang S. Y., Hwang H. J.. 2011;The effects of the We Start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7):51–66.
2. Campbell F. A., Ramey C. T.. 1994;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on intellectual and academic achievement: A follow-up study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Child Development 65(2):684–698.
3. Choi J. M., Kim S. H., Kang B. J., Byun C. S.. 2006;The effects of dictated experience stories program on reading and writing ability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2(1):153–174.
4. Edwards P. A.. 1989. Supporting lower SES mothers' attempts to provide scaffolding for book reading. In : Allen J., Mason J. M., eds. Risk makers, risk takers, risk breakers: Reducing the risks for young literacy learners p. 222–250. Portsmouth, NH: Heinemann Educational Books.
5. Hwang H. J.. 2011;The effects of the Seesaw & Sw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on the adaptiv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4):185–202.
6. Hwang H. J.. 2011;The effects of We Start home visit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infants from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3):55–66.
7. Jung H. Y.. 2001. The effect of portfolio assessment on young children's intellectu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parents’ child evalu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8. Kim H. S.. 2001. Social worker's roles for the comprehensive day care progra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9. Kim J. K., Jung N. M.. 1997;The effects of a literature approach program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2):5–27.
10. Kim M. S., Bae S. Y.. 2007. We Start center visit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Manual (2nd-3rd years). Suwon: Gyeonggi-do.
11. Kim M. S., Hwang H. J., Yoo J. Y., Ahn H. S.. 2006. We Start home visit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infants. Suwon: Gyeonggi-do.
12. Kim M. S., Jung M. R., Bae S. Y.. 2006. We Start center visit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Suwon: Gyeonggi-do.
13. Kim M. S., Park C. H.. 2008. The development of We Start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Ansan: Gyeonggi-do.
14. Lee B. J., Yang S., Kim M. S.. 2004. A report on the study of the needs and support plan for welfare, education, and health at We Start villages in Gyeonggido. Suwon: Gyeonggi-do.
15. Lee E. H., Kim M. S., Jun H. J., Lee J. L.. 2008. The longitudinal effects of comprehensive childcare service at Samsung childcare centers: The 2nd year. Seoul: Samsung Welfare Foundation.
16. Lee M. H., Kim M. S.. 2004;A dialogic picturebook reading program: Effects on teacher-toddler interactions and on toddler languag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2):41–57.
17. Lee M. J.. 2006. The effect of picture-book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on language development of low-income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O. S.. 2000. Effects of the balanced literacy program on developing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V. E., Brooks-Gunn J., Schnur E.. 1988;Does Head Start work? A 1-year following comparison of disadvantaged children attending Head Start, no preschool and other preschool programs. Developmental Psychology 24(2):210–222. http://dx.doi.org/10.1037/0012-1649.24.2.210.
20. Lee V. E., Brooks-Gunn J., Schnur E., Liaw F.. 1990. Are Head Start effects sustained?: A longitudinal follow-up comparison of disadvantaged children attending Head Start, no preschool, and other preschool. Reports of the U. S. Department of Education.
21. McLoyd V. C.. 1998;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child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3(2):185–204. http://dx.doi.org/10.1037/0003-066X.53.2.185.
22. Meisels S. J.. 1993;Remaking classroom assessment with the work sampling system. Young Children 48(5):34–40.
23. Melhuish E.. 2009. Sure Start in England and results of evaluation. In : We Start Korea, ed. Proceedings of the We Start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Start programs in the world: Innovative practices with children in poverty p. 136–159. Seoul: We Start Korea, Joongang Daily.
24. Nievar M. A., Luster T.. 2006;Developmental processes in African American families: An application of McLoyd's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8(2):320–331.
25. Park C. H.. 2010. The longitudinal effects of early storybook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the first graders' language abilities in low-income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6. Park S. H., Lee M. O.. 2004;Metacognitive intervention study for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2):211–225.
27. Ramey S. L., Ramey C. T.. 1992;Early educational intervention with disadvantaged children: to what effect? .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1(3):131–140. http://dx.doi.org/10.1016/S0962-1849(05)80134-9.
28. Ramey S. L., Ramey C. T.. 2006. Early educational interventions: Principles of effective and sustained benefits from targeted early educational programs. In : Dickinson A. K., Neuman S. B., eds.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 New York, NY: Guilford.
29. Ramey S. L., Ramey C. T., Lanzi R. G.. 2001. Intelligence and experience. In : Sternberg R. J, ed. Environmental effects on cognitive abilities p. 83–115. Mahwah, NJ: Erlbaum Associates.
30. Schweinhart L. J., Barnes H. V., Weikart D. P.. 1993. Significant benefits: The High/Scope Perry preschool study through age 27. Monographs for the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No. 10. Ypsilanti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31. Snow C. E., Burns M. S., Grinffin P.. 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2. Stevenson J., Newman R. S.. 1986;Long-term prediction of achievement and attitudes in mathematics and reading. Child Development 57(3):646–659.
33. Sylva K., Melhuish E., Sammons P., Siraj-Blatchford I., Taggart B.. 2010. Early childhood matters: Evidence from the effective preschool and primary education project. London: Routledge.
34.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5. Head Start impact study: First year findings. Washington, DC: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35.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Head Start impact study: Final report. Washington, DC: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36. Yoon K. S.. 2006. The effects of storytelling instruction-learning types in social knowledg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peer popularity, social cognition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Background of Subjects

Characteristic Service group
Control group
Total
Age month
f % f % f % M SD
Residential district
 Ansan 40 36.7 27 31.4 67 34.4 49.1 10.4
 Gwangmyeong 33 30.3 27 31.4 60 30.8 48.0 10.1
 Suwon 36 33.0 32 37.2 68 34.9 51.9 6.2
Children's gender
 Male 49 45.0 34 39.5 83 42.6 51.4 9.7
 Female 60 55.0 52 60.5 112 57.4 46.8 9.7
Children's age (yr)
 3 36 33.0 28 32.6 64 32.8 37.2 9.5
 4 39 35.8 28 32.6 67 34.4 49.5 10.2
 5 34 31.2 30 34.8 64 32.8 58.6 9.8
Total 109 100.0 86 100.0 195 100.0 48.6 9.8

Table 2.

Number of Items and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Developmental Checklist and the Literacy Interests Test

Area No. of factors No. of items Cronbach’s α
Pre-test Post-test
Developmental checklist
 Personality & sociality 5 16 .90 .90
 Language, reading & writing 4 11 .93 .92
 Scientific thinking 3 6 .89 .83
 Mathematical thinking 6 14 .84 .93
 Arts 2 4 .79 .83
 Social learning 4 9 .90 .89
 Physical development 3 7 .85 .88
 Total 7 67 .96 .98
Literacy interests
 Interest in literacy 1 7 .94 .94
 Interaction during activity 1 5 .88 .88
 Total 2 12 .87 .88

Table 3.

Homogeneity in the Developmental Checklist and the Literacy Interests Test

Area Service group
Control group
t
M SD M SD
Develop-mental checklist
 Personality & sociality 2.42 .40 2.62 .33 3.40**
 Language, reading & writing 2.06 .55 2.46 .44 5.51***
 Scientific thinking 1.88 .51 2.12 .61 2.64**
 Mathematical thinking 2.00 .60 2.20 .49 2.22*
 Arts 2.40 .55 2.48 .49 1.06
 Social learning 2.15 .44 2.32 .50 2.29*
 Physical development 2.65 .41 2.76 .35 1.86
 Total 2.25 .37 2.42 .37 2.97**
Literacy interests
 Interest in literacy 3.32 .93 3.82 .98 3.17**
 Interaction during activity 2.94 .90 3.45 .96 3.33**
 Total 3.13 .86 3.63 .91 3.47**
*

p <.05,

**

p <.01,

***

p <.001.

Table 4.

Results of Analysis of Covariance of the Developmental Checklist

Area Functional factor Covariate pre-test
Service adjusted post-test
Control adjusted post-test
F
M M M
Personality & sociality development Self-concept 2.42 2.63 2.56 .891
Self-regulation 2.65 2.81 2.75 .920
Approach to learning 2.42 2.61 2.57 .395
Interaction with other persons 2.62 2.77 2.65 3.902*
Conflict resolution 2.50 2.74 2.55 6.104*
Sub total 2.53 2.73 2.60 5.841*
Language, reading & writing ability Hearing 2.39 2.70 2.58 2.779
Speaking 2.07 2.56 2.27 11.415***
Literature & reading 2.30 2.66 2.41 11.316***
Writing 2.19 2.60 2.35 9.268**
Sub total 2.24 2.64 2.40 3.417***
Scientific thinking Observation & investigation 2.14 2.39 2.25 4.598*
Questions & prediction 2.08 2.32 2.22 .795
Conclusion & explanation 1.96 2.22 1.98 4.917*
Sub total 2.06 2.33 2.14 5.889*
Mathematical thinking Approach to mathematical thinking 2.03 2.33 2.34 .007
Pattern & relation 2.42 2.62 2.59 .170
Number operation 2.45 2.49 2.60 1.183
Geometry & space relation 2.45 2.51 2.45 .589
Measurement 1.98 2.25 2.16 1.214
Probability & statistics 1.46 1.70 1.75 .199
Sub total 2.13 2.32 2.31 .051
Arts Expression & description 2.42 2.65 2.51 3.806*
Artistic appreciation 2.53 2.74 2.76 .092
Sub total 2.48 2.70 2.63 .923
Social learning Common feature & difference 2.41 2.66 2.50 3.340
Social interdependence 2.38 2.56 2.47 1.722
Rights & responsibility 2.37 2.61 2.49 2.484
Community & neighbors 1.96 2.23 2.02 5.322*
Sub total 2.28 2.52 2.36 6.546*
Physical development Large-muscle development 2.79 2.79 2.74 .516
Small-muscle development 2.77 2.88 2.86 .089
Health & safety 2.64 2.74 2.66 1.133
Sub total 2.73 2.81 2.75 1.351
Total 2.37 2.58 2.44 9.065**
*

p <.05,

**

p <.01,

***

p <.001.

Table 5.

Results of Analysis of Covariance of the Literacy Interests Test

Area Covariate pre-test
Service adjusted post-test
Control adjusted post-test
F
M M M
Interest in literacy 3.67 4.08 3.94 1.701
Interaction during activity 3.27 3.73 3.49 3.854**
Total 3.47 3.92 3.70 5.031**
*

p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