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분석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13;51(6):603-61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3 December 31
doi : https://doi.org/10.6115/fer.2013.51.6.603
1Healty Family Support Centers, Ulsan, Korea
2Department of Child &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유순희1, 정민자,2
1울산광역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Corresponding Author: Minja Jung   Department of Child &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93 Daehak-ro, Nam-gu, Ulsan 680-749, Korea   Tel: +82-52-259-2366 Fax: +82-52-259-1488 E-mail: mjagnes@ulsan.ac.kr
This article was a part of Soonhee You's master's thesis in 2012. It was awarded as the best master's thesis and presented as a poster session at the 65th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in 2012.
Received 2013 April 30; Revised 2013 July 2; Accepted 2013 July 2.

Trans Abstract

With the increase of single-parent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the perception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amily is changing. Thus, a public transition toward embracing single-parent families as another form of family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ies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s using Walsh's family resilience framework with a strengths-based perspective. It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deducing policy-related and practical ways of supporting the families and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help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maintain and reinforce resilience.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 preceding literature review was also carried out to collect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age of divorce is around 30-40, with children of school age.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ranging from high school graduates to graduate school students. On Rothwell and Cohen's happiness scale, their objective level of happiness was higher (74.1) than that of the average Korean (64). Second, it was found they were very careful to avoid violence in everyday life as an after-effect of domestic violence, which was the major cause of their divorce. Third, their positive and optimistic attitudes about life even in adversity can be interpreted as Walsh's belief systems taking a more important role among other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ilience.

서 론

최근 우리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급격한 변화중의 하나는 한부모가족의 증가현상이다. 한부모가족이란 ‘이혼, 별거, 사망, 유기 등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양친 중 한쪽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을 말한다[14].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2012년 이혼 건수는 11만 4천 건, 조이혼율은 인구 천 명당 2.3건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 기준 남성 한부모가족은 22%, 여성 한부모가족은 78%로 여성 한부모가족이 현저히 많음을 알 수 있다[26]. 이혼 증가의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면 이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여성의 경제적 자립, 결혼에 대한 의미 변화, 자녀수의 감소,법 제도의 변화, 이혼에 대한 시각과 남녀 성역할의 변화이다[22].

Whiteside [30]에 의하면 그동안 한부모가족 연구는 대부분 이혼한 가족들의 역기능에 초점을 두었으며 1990년대가 되어서야 가족 간의 지지와 존경, 협력 등 긍정적인 기능에 초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즉 한부모가족을 역경으로부터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능력과 잠재력이 있는 ‘탄력적 가족(resilisent family)'으로 바라보고 묘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한부모가족이 가지고 있는 강점은 무엇인지를 설명하려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러한 가운데 강점 및 자원 중심 모델의 핵심 개념으로 가족 레질리언스(family resilience)가 대두되고 있다[11, 14, 31].

가족 레질리언스 개념을 발전시킨 Walsh [28]에 따르면 대부분의 가족들은 살아오는 과정에서 획득한 레질리언스를 갖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며, 레질리언스의 개념적 틀은 예기치 않은 많은 위기에 처해 있는 가족들을 돕는데 적절하다고 보았다.최근의 연구는 가족의 특성과 자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7, 9, 10,11–14, 16, 23]. Walsh [28]는 가족 레질리언스를 구성하는 핵심 요인을 신념 체계, 조직 패턴, 의사소통 과정으로 보았으며, 이들 요인은 상호 작용하면서 가족 레질리언스의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20]. 따라서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은 그들의 강점을 하나의 가족(신념)으로서 인지하고, 서로(조직패턴)를 믿고 신뢰할 수있다고 지적하며, 상황(의사소통 과정)을 제어하여 회복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함으로써 보다 쉽게 고난을 이길 수 있거나 탄력적으로 되기 쉽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는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강점(sterngth)중심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할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이를 위해 Walsh [28]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틀-가족 신념체계(역경에 대한 의미부여, 긍정적 시각, 초월과 영성). 조직유형(융통성, 연속성, 사회 및 경제적자원). 의사소통과정(명확화, 개방적 정서표현, 상호협력적 문제해결)-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심리적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원가족 위기와 레질리언스는 어떠한가? 넷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현가족 위기와 레질리언스는 어떠한가? 다섯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이혼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이론적 배경

1.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

현재 우리사회는 이혼의 증가를 가족의‘ 해체’ 로 간주하고 문제시하는가 하면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 형태의 출현’으로 접근하는 관점이 상존하고 있다.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은 주 소득원이었던 배우자 상실로 인한 경제적 문제와 생활상의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고, 결혼 관계가 해체되면서 배우자와 관련된 사회 관계망과 그밖에 다른 사회 관계망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고립되게 된다[21]. 특히 여성 한부모는 걱정을 많이 하고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며, 상담이나 심리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 처한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1, 32]. 이는 여성 한부모가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정신적으로 매우 취약한 상태이며, 보편적으로 무기력과 절망감을 느낀다는 보고와 일치한다[11]. 그러므로 이러한 한부모의 스트레스와 적응사이의 관계를 조정하고 완화하는 적응 요인을 연구하는 것은 한부모가족이 위기를 잘 극복하고 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한 근거가 되는데 의의가 있다[12].

2. 가족 레질리언스

가족과 관련된 연구 문헌에서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복합적인 정의들을 종합해 보면 먼저, 가족이 위기 상황에 직면하여 적응할 수 있고 변화에 직면하여 분열을 방지하도록 가족을 도울 수 있는 가족의 특성, 차원, 속성이다[11, 13, 16]. 둘째, 가족이 처한 역경에 대응하는데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강점이라고 정의한다[4]. 셋째, 불리한 조건이나 처지를 극복하고 스트레스를 견디며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능력뿐만 아니라, 어려움을 견디고 원래 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능력과 힘이다[27]. 넷째, 고난을 견디어 내고 스스로를 치유하는 능력이다[14]. Hawley와 DeHaan [5] 은 발달적 개념으로써 가족 레질리언스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가족이 스트레스에 직면하여 잘 적응하고 이겨내면,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히 가족에게 따라오는 하나의 궤도로써 가족 레질리언스를 개념화하였다[4]. 특히 가족 레질리언스가 역설하는 점은 가장 어려운 시기가 가장 최고의 시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14, 16].

이와 같이 Walsh [28]의 가족 레질리언스 개념은 많은 변수들, 즉 유사성과 차이점 그리고 연속성과 시간에 걸친 변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유연한 관점을 제공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가족 레질리언스를 가족 탄력성, 적응 유연성, 복원력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가족 레질리언스’라는 용어의 의미를 ‘위기와 스트레스에 대한 가족의 적응과 회복,복원의 개념뿐 아니라 기능상 위기 전 상황보다 발전된 가능성’을 포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Walsh [28]의 가족 레질리언스 이론을 근거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을 조망하여 레질리언스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강점(strength)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참여자와 심층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다. 참여자는 법적으로 이혼한 이후 현재 한부모가족을 이루고 있는 여성이며, Rothwell과 Cohen [24]의 행복공식 [영국의 심리학자 Rothwell과 전문상담가 Cohen이 BBC [1]에 발표한 행복공식으로 행복=P+(5×E)+(3×H)로, P (personal characteristics)는 개인의 성격특성 및 새로운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력, E(existence)는 생존의 기본적 요소인 돈, 건강, 소속감 등을 나타내며, H (higher order)는 개인의 자존심이나 야망과 같은 고차원적 욕구에 해당함, 한국의 시사주간지에서 6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통한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64.13점(100점 만점)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8].]을 사용하여 한국인의 평균 점수인 64점이상의 행복감을 나타내는 응답자를 선발하였다. 행복공식은 본 연구가 이혼이라는 어려움을 극복하여 행복하게 살고 있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레질리언스에 관한 것으로, 연구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행복감 측정에 사용된 평가 도구이다. 참여자의 모집은 이혼한 여성들이 연결되어 있는 기관 이용자 및 연구자 주위의 지인들로부터 추천을 받아 전화와 면접을 통하여 연구 목적을 안내한 후 동의를 받은 19명으로, 모집기간은 2010년 6월–2011년 6월이었으며, 심층면접 자료 수집은 2011년 7월 20일–9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 도구로는 녹음기(보이스 펜, MP3), 면접 기록지, 가계도, 현장노트 등이 사용 되었으며, 심층면접 시간은 1회기 100분–120분으로 사례별 1회–2회기 실시하였다. 면접 장소는 대부분 면접이 가능한 독립적 공간을 갖춘 상담실이나 대상자의 자택에서 진행되었다. 녹취된 자료는 사례별 전사하여 의미있는 내용을 파악하고 엑셀파일로 분류하여 코딩하였으며 핵심주제를 범주화 하고 자료의 형식을 통일하였다. 질적 연구에서 코딩은 전사된 자료 속에 내재된주제를 찾아내는 과정으로서 자료의 의미에 기초하여 귀납적으로 이뤄지며 자료속에 함축된 의미에 맞는 주제를 찾거나 만드는 방법이다[18]. 자료 분석을 위해 Ryan과 Bernard [25]의 분석 방법에 따라 자료 축약, 자료 배치, 결론 도출 및 검증 활동 등의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심리적 특성, 이혼한 여성 한부모 가족의 원가족의 위기와 레질리언스,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현재가족 위기와 레질리언스,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이혼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나눌 수 있다.

1.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 참여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은 19명이며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아래(Table 1,2)와 같다.

Demographical·Sociological FeaturesⅠ

Demographical·Sociological Features Ⅱ

먼저 대상자의 연령 분포를 살펴보면 이혼한 당시의 연령은 27–59세로 대부분 30–40대로 나타났으며, 자녀수는 1명의 자녀를 둔 가정 12명, 2명의 자녀를 둔 가정 6명, 4명의 자녀를 둔 가정이 1명이었다. 학력수준은 고등학교 졸업 11명, 전문대 졸업2명, 대학교 졸업 4명, 대학원 재학 중 1명, 대학원 졸업 1명으로 비교적 학력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경우 종교 없음 8명, 기독교 7명, 불교 4명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종교 없음에 답한 응답자 8명중 현재 어려운 여건(경제적, 심리적) 때문에 종교활동을 중단하고 있는 사례가 4건으로 확인되었다.

직업 상태에 대하여 이혼 전에는 전업주부 8명, 전문직 7명,단순서비스직 4명이었으나, 이혼 이후 현재 전문직 10명, 서비스직 7명, 무직 1명으로 월 가계 평균소득은 132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의 안정성에 있어서는 정규직 5명, 비정규직 13명으로 대부분 불안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 사유로는(중복된 것 포함) 가정 폭력이 1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제적 무능력 및 경제 파탄 10명, 성격 차이 8명, 외도 3명, 알콜 중독 2명, 가족 간 불화 1명, 기타사유 1명으로 나타났다. 이혼 제안자는 연구 참여자 본인인 경우가 17명, 공동 2건으로 여성이 이혼을 제안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혼 당시 원가족 반응으로는 찬성 11명, 의논하지 않은 사례 6명, 반대 2명의 순이었고 이혼 형태로는 협의 이혼 14명, 재판 이혼 5명으로 나타났다.

이혼 전 이들의 결혼 기간은 약 2년–19년까지 분포되어 평균 9년 8개월로 나타났으며, 이혼한 후 한부모가족으로 생활하고 있는 기간은 약 3개월–41년 10개월로 평균 약 5년 6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Rothewell과 Cohen [24]의 행복척도를 실시한 결과 한국인의 평균치 64점보다 높은 점수인 74.1점이었으나 참여자가 평가한 주관적 행복지수 평균 86.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심리적 특성은 어떠한가?

이혼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난 가정폭력은 대부분 결혼 초부터 시작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폭력의 정도가 심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참여자중 9명은 이혼 과정에서도 심각한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은 다양한 형태의 폭력을 예방하는 데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 당시 원가족 반응 결과로 찬성 11명, 의논하지 않은 사례 6명이었으며, 이혼 제안자는 17명이 본인으로 나타나 불행했던 결혼생활에서 벗어나려했던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태도가 엿보이는 부분이었다. 이 결과는 본인의 자발적 의지로 이혼을 제기한 사람이 결혼이 끝나기를 원치 않았던 사람들과 비교하여 이혼 후 더 적응을 잘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는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전남편과의 연락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혼 의사에 대해서는 대부분 재혼의사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재혼 의사를 밝힌 사람들 또한 향후 재혼 예상 시기에 대해 막연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othewell과 Cohen [24]의 행복척도 실시 결과 참여자가 평가한 주관적 행복지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불행한 결혼생활을 정리하고 난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이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 정말 아니다 라고 그냥 참지 말고, 아니다 이런 마음이 들면은 그냥 결정을 빨리 내려서 행동으로 옮기는 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참고 참고 하다가 솔직히 나중에는 더 험한 꼴 보고 나왔잖아요. 그러기 전에 정리할 수 있으면 정리하는 게 제일 좋을 것 같아요. 상처도 덜 받고. 저희 쉼터에 계시는 엄마들도 끝까지 가서 나오신 분들이 대부분이에요. 망가질대로 다 망가지고 난 다음에 이제 정말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나오신 분들이 정말 많은데 그러기 전에 빨리 결정을 내리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사례 4].

  • 이혼하지 않고, 그 가족 흐름대로 살았으면 오늘의 지(아들)가 안 만들어졌고, 아버지하고 헤어져서 아버지한테 맡겼다면 지(아들)는 더 나빠졌을 거고, 엄마 정서로 엄마가 키웠기 때문에 오늘의 내가 있다고. 우리 엄마 정말 정말 최고라고. 엄마는 성공한 이혼이라고 그러면서. 엄마가 그랬기 때문에 우리를 데리고 나왔다는 걸 깨달았다고 그러더라구..[사례 9].

  • 가족이 모두 건강하고 가까이에 애들이 있고, 그리고 딸이나 아들이 저를 신뢰하고 있는 거를 느낄 수가 있고. 그 다음에는 이런 상담? 이런 쪽으로 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제 자신이 누군지 이런 게 명확하게 보이는 것 같아서 그게 다른 세상을 보는 것 같아요. 그게 좋고... 그리고 주말에 쉬면서 제가 좋아하는 취미 생활이라든지.. 그래서 지금이 훨씬 좋다고 생각 들고 그래요[사례 10].

  • 예전에는 세상을 보는 눈은 긍정적이나 제 자신에게 한없는 부정을 안고 있는 심약한 저이기에 크게 행복을 느낄만한 정신적 여유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늘 저를 도와주고 일으켜주고 일깨워준 지인들을 통해 제 자신이 그렇게 형편없진 않구나... 오래도록 만나지 않아도 제 형편을 알고 도와주려는 친구들의 진심을 느끼면서 제가 그렇게 잘못 살진 않았구나... 다른 사람들을 통해 잠시나마 이렇게 진실 된 사람들을 곁에 둔 나는 행복한 사람이구나..요즘 많이 느낍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서로를 위해 모든 걸 내줄 수 있는 가족이 있다는 거... 한 번씩 이런 생각을 하면 정말 행복 하다는 걸 느낍니다[사례 16].

3.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원가족 위기와 레질리언스는 어떠한가?

원가족에서의 위기경험은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 가족관계 갈등, 예상치 못한 사건·사고 및 가족건강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들은 위기를 겪었던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초기에는 혼란스런 갈등을 경험하며 희망을 잃고 힘들어 하는 고생스러움이 부각되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어려움이 발생하기 전에는 잘 몰랐던 가족 구성원들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도움을 주려는 태도로 서로 힘을 합치게 된다. 가족 관계에서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정서가 공유되고, 정이나 믿음이 높아져서 가족 구성원 서로를 지원해주는 소중한 지지자로 인식 해 가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즉 위기를 극복하여 기회로 활용하는 모습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Walsh [28]가 제시한 가족 레질리언스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과일이나 곡식이 어디선가 항상 왔다는 거. 고모도 보내주시고, 작은 집에서도 보내주시고. 하여튼 늘 그런 게 공수가 되었던 것 같아요[사례 18].

  • 작은 언니가 가출했던 사건으로 온 가족이 상실감, 죄책감을 경험하였고 그 이후 가족들의 소중함을 더욱 깨닫게 된 것 같아요[사례 5].

  • 많은 일들이 그렇게 흘러갔던 것 같아요. 사건이 발생하며 또 거기에 방법이 있고, 그 어떤 숨구멍이라고 해야 되나? 그런 것들 이 있어서 또 이렇게 해결하게 되고.. [사례 3].

  • 새 엄마와 남동생도 서로 허물없이 대화하는 편이었고 나는 말수가 적어서 내 속마음을 잘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대부분은 얘기를 했던 것 같아요[사례 14].

  • 엄마가 아파 병원가면 병원비, 금전적으로 서로 어떻게 할 건지, 그런 얘기 했구요. 어떻게 할 건지 의견을 내는 대화...그렇죠. 뭐 언니가 얼만큼 더 내고 오빠가 돈을 좀 작게 내고, 저는 이제 제가 그런 식으로 했죠. 그렇게 누군가가 얘기를 하면 그걸 받아들이고, 그렇게 했죠[사례 4].

4.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현가족 위기와 레질리언스는 어떠한가?

현가족의 위기는 경제적, 자녀관련, 심리·정서적 어려움 등 이었다. 이혼 결과 한쪽 배우자의 상실로 인한 소득의 감소와 주택문제, 자녀 양육비 등의 경제적 어려움이 새로운 삶을 구성 해가는 과정에 있어서 장애 요인이 되고 있었고, 보호자의 부재와 역할 모델의 상실로 인해 발생된 과도한 역할 수행에서 오는 부담으로 가족 간 스트레스와 갈등을 겪기도 하였다. 심리·정서적으로는 전 배우자에 대한 배신감으로 우울했던 경험, 아이들에 대한 죄책감, 자신으로 인해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고통을 줬다는 부담감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이혼이라는 위기에 대해 가족 구성원들이 공통적인 해석을 나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혼을 비롯하여 이혼 후에 발생한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서로의 존재에 대해 보다 애뜻함과 결속감을 느끼고, 오히려 그 과정을 통해 얻은 것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여 그것을 가족의 힘과 자원으로 다시 획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들은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갖고 긍정적인 시각과 낙관적인 태도로 삶을 살아내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 아이들이 아껴쓰고 저축하는 습관이 길러진 것을 보면서 마음이 짠하기도 하고... 나도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죠[사례 2].

  •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으면서 아이들이 현실에 눈을 뜬 것 같아요. 여러 가지 얘기 한 끝에 경제력이 좋으니까 아빠한테로 가서 공부하고 다시 돌아오겠다고 하더라구요[사례 5].

  • 이혼할 때 너무 힘들었어요. 애들 아빠가 안 해주려고 해서 1년이 넘게 시설에 있으면서 애 이름으로 되어있던 차 문제랑... 해결한다고 힘들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지금 생활이 더 좋게 느껴지는 것 같고... 앞으로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사례 1].

  • 제가 아플 때. 우리 엄마가 아플 때 모인 것처럼 제가 아프다니까 큰 애가 바로 애들을 건사하더라구요. 그래서..[사례 4].

  • 이혼 이후 부모님과 제 사이가 더 단단해졌고 제 딸들도 저한테, 저를 100% 믿고 이제까지 잘 따라와 주고 있구요[사례 11].

  • 서로에 대한 믿음이 좀 강해진 것 같아요. 그리고 힘은 없지만 나한테 의지하려고 하는 그런 것도 있는 것 같아요. 그걸 또 극복하니까 조금 더 어려운 걸 극복할 수 있는 것도 생길 것 같고, 자신감도 좀 있고..[사례 13].

  • 애기아빠한테 너무 많이 당했기 때문에 우리는 그렇게 거짓말 하지 말자고, 어, 그런 얘기를 했었고, 애들이 거짓말하는 거 알면서 눈 감아 줄 때가 억수로 많지만 그래도 애들한테 한 번씩 상기시키고..[사례 4].

  • 네, 저희 가족은 환경이 자주 바뀌었기에 그 때마다 새롭게 서로 규칙을 정하고 대화를 했던 것 같아요. 지킬 수 있는 정도에서 규칙을 정하고 잘 지켜지면 보상을 하는 등 서로 합의한 범위 내에서 규칙을 정하려고 했습니다[사례16].

  • 우리 아들은 속상하면 엄마한테 전화를 해서 얘기를 해요. 누군가가 자기한테 무시하는 말을 한다거나 그러면 전화를 해서 어떨 때는 울기도 하고 그렇게 얘기를 하더라구요. 나는 그게 남자애라서 자기가 그걸 꾹 참고 그렇게 살아갈 줄 알았는데 그래서 막 속상할 때는 엄마한테 전화해서 울더라구요. 저는 또 그럴 수 있다하고 잘 받아주고[사례 18].

5.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이혼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어떠한가?

이혼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요원인으로 나타난 가정폭력은 참여자들이 폭력을 피하는 방법으로 이혼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Kim [17]의 연구를 지지하였다. 또한 폭력은 이혼이 진행되는 과정과 이혼이 종결된 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혼을 결정하기까지 참여자들이 견뎌야 했던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과 고통의 시간들을 설명 해 주고 있었다.

  • 계속 되는 폭력, 폭력으로 인해서 몇 번 헤어졌다가 다시 아이들 때문에 합쳐서 살았는데... 아이에까지 심한 폭력을 휘둘러서 마지막으로 1366 도움으로 쉼터에서 생활을 하면서, 이혼을 꼭 해서 내가 독립된 사람으로 아이들을 건사해야겠다 생각해서...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그 쪽 도움을 받아서 재판이혼이 들어갔고 내가 결심을 이제 마지막으로 확실하게 하고, 그리고 몇 년이 흘러서 최종적으로 재판이혼을 하고 그 다음에 제가 독립된 사람으로 다시 자립했을 때 그때부터 지금까지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사례 4].

  • 결혼초부터 절대로 밖을 못나가게 하였고, 본인의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으면 그 화를 만만한 저에게 풀기 시작해 폭력을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너무 무섭고 두려워 아무런 대항도 하지 못하였는데, 갈수록 폭력의 강도가 점점 심해져 흉기까지 사용하기에 이르렀고, 폭력 후엔 어김없는 강간으로 저는 이루 말할 수 없는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수치와 모욕에 죽고 싶은 맘뿐이었습니다[사례 16].

  • 위기경험 과정에서 개인적 자원(친구, 친지, 이웃 등)과 사회적 자원(건강가정지원센터, 쉼터시설, 교회, 직장 등)의 개입은 큰 도움이 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혼 과정 중 모든 이혼 사유를 저에게 돌리며... 이혼 후에도 아이들 핑계로 계속 연락을 해오며 저에게 폭력과 폭언을 썼습니다. 그러던 중 쉼터의 보호를 받게되었고... 지금 친권·양육권 소송 중에 있습니다[사례 14].

  • 이혼 과정에 애들을 데리고 집을 나와서 남편의 보복 이런 게 두려워서 친정이나 친척집에는 가지 못하고 시설의 힘을 빌어서 시설에서 생활하게 되었고... 정말 남편이 무서워서 이혼을 꼭 해야 되겠다 생각을 했는데... 남편은 이혼을 안 해주면서 흥신소에 의뢰를 해서 우리를 찾는 그런 생활을 쭉 해오다가 마지막으로 법원에서 만나게 된 거죠[사례 18].

  • 이혼한 후 기간과 관계없이 재혼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객관적 행복지수보다 주관적 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이혼을 제안하고 이혼하는 과정, 특히 법 처리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힘들었던 부분을 극복하고 난 이후에 획득된 삶의 가치로 해석된다[17].

위와 같이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들은 이혼 과정에서의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현재의 생활에 행복감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Walsh [28]가 제시한 가족 레질리언스의 핵심적 구성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과정 가운데 신념체계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결론 및 제언

최근 우리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한부모가족의 증가 현상과 함께 가족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한부모가족을 다양한 가족형태의 하나로 수용하는 긍정적 인식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Walsh [28]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틀을 근거한 강점(strength)관점에 기초한 건강 개념으로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을 조망하여,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이 지속적으로 레질리언스를 유지·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혼한 당시 평균 연령은 30–40대의 학동기 자녀를 둔 시기였고, 학력수준은 고졸이상–대학원졸업으로 비교적 고학력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의 안정성에 있어서는 대부분 불안하고 열악한 환경의 비정규직으로 나타났다. 이혼 전 결혼기간은 평균 9년 8개월이었으며 이혼의 주요 원인은 가정폭력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혼을 제안한 사람은 대부분 본인으로 이혼한 이후 전 남편과의 연락은 거의 단절된 상태였으며 추후 재혼의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othewell과 Cohen [24]의 행복척도를 실시한 결과 객관적 행복지수는 한국인의 평균(64)보다 높은(74.1)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행복지수(86.8)는 객관적 행복 지수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심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이혼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난 가정폭력의 후유증으로 이혼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형태의 폭력을 예방하는 데 예민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재혼의사가 없음을 표현하여 결혼생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othewell과 Cohen [24]의 행복척도 실시결과 참여자가 평가한 주관적 행복지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불행한 결혼생활을 정리하고 난 현재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감이 표현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인의 자발적 의지로 이혼을 제기한 사람이 결혼이 끝나기를 원치 않았던 사람들과 비교하여 이혼 후 더 적응을 잘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는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셋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원가족 위기경험은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 가족관계 갈등, 예상치 못한 사건·사고 및 가족건강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들은 위기를 겪었던 상황에서 공통적으로 초기에는 혼란스런 갈등을 경험하며 희망을 잃고 힘들어 하는 고생스러움이 부각되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어려움이 발생하기 전에는 잘 몰랐던 가족 구성원들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도움을 주려는 태도로 서로를 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관계에서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정서가 공유되고, 정이나 믿음이 높아져서 가족 구성원 서로를 지원해주는 소중한 지지자로 인식 해 가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위기를 극복하여 기회로 활용하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모습들은 Walsh [28]가 제시한 가족 레질리언스의 본질적이고 핵심적 구성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과정이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현가족 위기는 경제적, 자녀관련, 심리·정서적 어려움 등 이었다. 이혼한 결과 한쪽 배우자의 상실로 인한 소득의 감소와 주택문제, 자녀 양육비 등의 경제적 어려움이 새로운 삶을 구성 해 가는 과정에 있어서 장애 요인이 되고 있었고, 보호자의 부재와 역할 모델의 상실로 인해 발생된 과도한 역할 수행에서 오는 부담으로 가족 간 스트레스와 갈등을 겪기도 하였다. 심리·정서적으로는 전 배우자에 대한 배신감으로 우울했던 경험, 아이들에 대한 죄책감, 자신으로 인해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고통을 줬다는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혼을 비롯하여 이혼한 이후에 발생한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서로의 존재에 대해 보다 애뜻함과 결속감을 느끼고, 오히려 그 과정을 통해 얻은 것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여 그것을 가족의 힘과 자원으로 다시 획득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모–자녀 관계가 가족 관계의 상호작용이나 관계 형성에 더 의미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가족의 유대, 모-자녀관계, 지지 등의 상호 작용적 특성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 되고 난 이후 오히려 자녀와 더욱 가깝게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유대가 강화되고 친밀감이 더 많이 생겼으며[2,15], 가족 응집성과 가족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Greeff와 Van Der Merwe [3]의 연구를 지지하였다. 이와 같이 현재의 위기 상황에서도 희망을 갖고 긍정적인 시각과 낙관적인 태도로 삶을 살아내고 있는 구체적인 모습은 Walsh [28]가 제시한 가족 레질리언스의 본질과 정신 가운데 신념체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이혼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가정폭력의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은 대부분 결혼 초기부터 발생되었고 이혼을 결정하는 주요 원인이었으며, 이혼하는 과정 및 이혼한 이후 지속되는 사례도 있었다. 이것은 우리사회가 아직도 가정폭력을 사적영역으로 이해하여 가정폭력에 대한 적극적 개입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폭력은 세습되는 심각한 범죄행위이다. 특히 가정폭력의 결과는 가족의 해체와 연결되고 있고 그 피해의 후유증으로 경제적, 심리적, 정서적 손실이 크다는 것을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사회적으로 인식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이나 폭력 가해자를 처벌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며 피해 가족들을 위한 사회적 안전 지지망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 30–40대 중년기 이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학동기 및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부모의 이혼은 이혼 당사자뿐만 아니라 자녀의 심리·정서적 안정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예비부부 및 신혼기부부를 위한 가족 생활교육을 실시하여 건강한 가족가치관을 확립하고 양성평등을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이 경험하고 있는 주요 위험요인은 경제적 취약성이었다.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참여자 대부분이 비정규직의 불안정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할 수 있는 직업훈련기관과 기업을 연계한 조직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며, 후속연구에서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빈곤화 실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이혼한 여성 한부모를 대상으로 진행된 결과로 그 자녀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이혼환경에 대한 자녀적응)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가족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에 대한 선행연구가 극히 제한적 이어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가족 레질리언스의 차이와 영향력을, 다른 유사한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해석한 부분을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추후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연구의 활성화 및 축적을 기대한다.

Note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References

1. BBC News. 2003, January 6. The formula for happiness. BBC News Retrieved from http://news.bbc.co.uk/2/hi/health/2630869.stm.
2. Choi M. S., Ryu J. A., Park H. J.. 2007;A study on singleparent- families with female as a head of the family: Focused on psychological·emotional & social·economical experienc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2(3):75–95.
3. Greeff A. P., Van Der Merwe S.. 2004;Variables associated with resilience in divorced famil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8(1):59–75.
4. Hawley D. R.. 2000;Clinical implications of family resilienc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8(2):101–116.
5. Hawley D. R., DeHaan L.. 1996;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35(3):283–298.
6. Hutchinson S. L., Afifi T., Krause S.. 2007;The family that plays together fares better: Examining the contribution of shared family time to family resilience following divorce.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6(3/4):21–45.
7. Im Y. M.. 2007.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adaptation of divorced single mother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Jeon W. G.. 2003;Korean average happiness index is 64.13 points. Weekly Dong-A 371:20–22.
9. Kim A. J.. 2005.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stress of single-parent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10. Kim E. J.. 2007.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foster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uwon, Korea.
11. Kim H. S.. 2010. The medi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family resilience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2. Kim J. H.. 2007.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single parents' adaptation: Based on double ABC-X model of Mccubb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J. Y.. 2010.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a program designed to strengthen resilience of families with alcohol dependent memb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K. S.. 2010. Influence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in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The case of residents in the institutional facilities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Korea.
15. Kim M. A., Kim Y. H.. 2009;A case study on family therapy of the dysfunction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Welfare Counseling 4(1):79–99.
16. Kim M. J.. 2009. Qualitative research o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family resilience: Focused on Ulsan metropolitan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7. Kim S. K.. 2011. A study on the processes of determining the continuance of marital status by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Y. C..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Ι Seoul: Moonumsa.
19. Kim Y. S.. 1998. Theory and practice of family therapy Seoul: Hakjisa Publisher.
20. Lee I.. 2004;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family psycho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of family resilience: Targeted the family with mental illness childre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9(2):221–239.
21. Lee I. S.. 2009;The effects of mentoring network of single mothers with dependent children on mentoring function and empower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1(4):61–84.
22. Ok S. H., Jung M. J., Ko S. J.. 2005. Marriage and family Seoul: Hawoo.
23. Park I. J.. 2007. A case study on the family resilience of Korean divorced child: Focused on the family proc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4. Rothewell C., Cohen P.. 2003. Happiness is no laughing matter. PeteCohen.com Retrieved from http://www.petecohen.com/microsites/happiness/index.html.
25. Ryan G. W., Bernard H. R.. 2000.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 Denzin N. K., Lincoln Y. S., eds. Hand 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th ed. p. 769–802.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6. Statistics Korea. 2010. Marriage divorce statistics. Statistics Korea Retrieved April 1, 2013,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7. Valentine L., Feinauer L. L.. 1993;Resilience factors associated with female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1(3):216–224.
28. Walsh F.. 2006. .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O. K. Yang & M. K. Kim, Trans.) Paju: Nanam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29. Wang H., Amato P. R.. 2000;Predictors of divorce adjustment: Stressors, resources, and defini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3):655–668.
30. Whiteside M. F.. 1998;The parental alliance following divorce: An overview.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4(1):3–24.
31. Yang O. K., Choi M. M.. 2001;Korean's Han and resilience: Application to mental health social work. Mental Health & Social Work 11:7–29.
32. Yi J. Y.. 2008. Influence of low-income single female parent's social network on isolation: Centering on alienation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Demographical·Sociological FeaturesⅠ

Case Age No. of children
(age, yr)
Level of
education
Religion Employment
status
after the
divorce
Job Monthly
income
(10,000
KRWa))
Reasons for divorce Person
filed for
divorce
Type of
divorce
Type of
divorce


At the
time of
divorce
Current Boy Girl Before the
divorce
After the
divorce
1 37 41 - 2 (16, 13) High school Christian Temp. Service worker Service worker App. 15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Herself Contested
2 38 41 - 2 (12, 11) High school Buddhist Temp. Housewife Service worker App. 100 Financial incompetence Herself Uncontested
3 27 36 - 1 (11) High school Christian Temp. Housewife Service worker App. 100 Infidelity Herself Uncontested
4 35 37 - 2 (19, 9) High school Buddhist - Housewife Unemployed Job - Domestic violence Herself Contested
5 36 40 1 (13) 1 (18) Community college NA Temp. Service worker consultant App. 170 Domestic violence Herself Uncontested
6 40 40 1 (6) - High school NA Temp. Service worker Office clerk App. 200 Domestic violence, alcoholism Herself Uncontested
7 31 31 1 (10) 1 (13) High school NA Temp. Service worker Service worker App. 12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Herself Contested
8 59 59 - 1 (27) High school NA Temp. Housewife Service worker App. 120 Morbid jealousy Herself Contested
9 30 71 2 (47, 42) - In gradu ation school NA Reg. Housewife Self-employed App. 300 Domestic violence, infidelity Herself Uncontested
10 34 34 1 (15) 1 (13) High school NA Temp. Housewife Office clerk App. 90 Financial incompetence, infidelity Herself Contested
11 29 41 - 2 (14, 12) College Buddhist Temp. Researcher English tutor App. 100 Domestic violence Herself Uncontested
12 37 41 2 (20, 17) 2 (16, 10) High school NA Temp. Self-employed Service worker App. 12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Together Uncontested
13 30 40 1 (13) 1 (14) High school Buddhist Reg. Office clerk Self-employed App. 10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Herself Uncontested
14 28 32 - 2 (7, 5) Community college Christian Reg. Housewife Office clerk App. 12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infidelity Herself Uncontested
15 50 50 1 (24) - College Christian Reg. Office clerk Office clerk App. 120 Domestic violence Together Uncontested
16 29 36 1 (12) - College Christian Temp. Teacher Service worker App. 10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Herself Uncontested
17 40 42 1 (8) 1 (14) High school Christian Temp. Housewife Service worker App. 5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infidelity Herself Uncontested
18 44 46 2 (21, 12) - College Christian Reg. Self-employed Office clerk App. 250 Alcoholism Herself Uncontested
19 35 37 1 (15) - College NA Temp. Teacher at a private institute Teacher at a private institute App. 200 Domestic violence, financial incompetence Herself Uncontested

NA, not available.

a)

KRW, Korean Won.

Table 2.

Demographical·Sociological Features Ⅱ

Case Divorce process Response of
the family at
the time of
divorce
In contact
with the
ex-husband
Reasons for
keeping in
touch
Amount of
time as a
single parent
Duration
of
marriage
Willingness
to remarry
Possible
timing of
remarriage
Level of happiness

Subjective Objective
1 Violence, put in facilities × - 1 yr 2 mo 15 yr × - 80 79
2 Divorce by agreement × - 3 yr 7 yr × 15 yr later 90 70
3 Managed to reach an agreement - × - 8 yr 2 yr - - 80 69
4 Violence, put in facilities × × - 3 yr 11 yr × - 100 69
5 Threat, child custody disputes × × - 4 yr 14 yr 5 mo Not sure yet 80 78
6 Violence, put in facilities Children, financial issues 3 mo 6 yr 5 mo × - 70 72
7 Put in facilities, child custody disputes × - 3 mo 12 yr 2 mo 10 yr later 70 70
8 Ran away × - 4 mo 11 yr × - 70 70
9 Managed to reach an agreement × - 41 yr 10 mo 5 yr 10 mo × - 100 79
10 Infidelity, husband ran way Children, financial issues 2 yr 6 mo 15 yr × - 80 69
11 Moved to her mother’s house × - 11 yr 5 mo 5 yr × - 100 100
12 Separated, violence, abusive language - Children issues 3 yr 9 mo 6 yr After the children grow up 99 70
13 Abusive language, refused to provide child support × - 10 yr 6 mo 4 yr × - 90 69
14 Violence, put in facilities - × - 3 yr 11 mo 5 yr × - 80 70
15 Violence, put in facilities - Children issues 1 yr 7 yr × - 100 69
16 Violence, put in facilities × - 8 yr 6 mo 2 yr 8 mo × - 100 79
17 Violence, put in facilities Children issues 1 yr 3 mo 15 yr 3 mo × - 90 73
18 Violence, put in facilities - × - 2 yr 6 mo 9 yr Not sure yet 90 78
19 Violence, abusive language - × - 2 yr 13 yr × - 90 75
Average level of happiness 86.8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