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여자 속곳형 바지를 활용한 유아 잠옷 바지 디자인 개발

Making Toddler's Pajamas by Using Women's Sokgot Style Pajama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rticle information

Hum. Ecol. Res. 2013;51(3):285-29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3 June 30
doi : https://doi.org/10.6115/fer.2013.51.3.285
1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조두나1, 김은정,1,2
1전남대학교 의류학과
2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 Eun Jung Kim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3 Yongbong-ro, Buk-gu, Gwangju 500-757, Korea   Tel: +82-62-530-1347 Fax: +82-62-530-1349 E-mail: kimej0234@hanmail.net
This article was shown as a poster presentation at the 65th Conference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in 2012.
Received 2012 September 12; Revised 2013 March 14; Accepted 2013 March 21.

Trans Abstract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increasing due to globalization. We need to create fashion items using Korea folk culture like the Hanbok. In this paper, the design development of toddler’s pajamas was attempted by using women’s Sokgot pants, which were worn by women in Joseon Dynasty period. The study involved a review of literature and an investigation of past relics. Traditional women’s Sokgot pants had a ‘mu’ or ‘dang’ in the crotch which is called ‘the mit’ now. The opening of the mit will be used for designing toddler’s pajamas. Design suggestions for four styles of toddler’s pajamas, which reflec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women’s Sokgot pants, have been created.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 the characteristics of Ran-pants are applied to design 1 and design 2. There have pleats along the waistband of the toddler’s pajamas, making the Mu more hidden. Pleats of the waist part are achieved by using an elastic, which also makes the pajamas easier to fit and to wear. The characteristics of Gaedanggo, of which the crotch is opened, are applied to design 3 and design 4. The opened crotch is applied so that toddlers can relieve themselves easily while they are wearing these pajamas. There is also an opening in the centerline of the front Mu in design 4 which gives additional functionality and comfort. This work shows that items of traditional folk dress can be used to make present fashion items.

서 론

세계화 속에서 자국 전통문화는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아이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전통 문화 중 전통한복은 부가가치가 큰 분야로 전통한복을 모티브로 한 다양한 상품을 디자인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품은 한국 이미지를 대표하므로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전통복식이란 수세기 동안 유행을 따르지 않고 그 전 사회에서부터 연연히 전해온 고유한 의복을 말한다[8]. 이를 이용한 상품개발은 전통복식을 계승하고 현대에도 전통문화를 향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통복식의 종류 중에서 옛 여인의 속옷으로 사용되었던 속곳형 바지를 선택하여 이를 응용한 아동 잠옷 바지 디자인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이는 단순한 전통복식의 재현뿐만 아니라 전통 속에 내재되어 있는 시대에 부합한 새롭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 속옷이었던 속곳형 바지는 아동의 잠옷 바지로 응용함에 있어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속곳형 바지는 밑이 터진 개당고와 밑이 막힌 합당고가 있으며[3], 밑의 터짐 여부는 다양한 용도의 잠옷 바지를 만들 수 있게 한다. 개당고로는 아동의 대소변을 볼 때 옷을 내리지 않고도 빨리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잠옷 개발이 가능하며, 합당고는 팬티가 보이지 않는 잠옷을 만들 수 있다. 속곳형 바지는 허리에 주름이 많이 잡혀 있어 통이 넓기 때문인데 긴밑과 넓은 통은 충분한 여유분으로 다리를 올리거나 벌리는 등의 활동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든다. 또한 허리에 끈으로 묶었던 속곳형 바지는 경우에 따라 어깨끈이 달려 있어 바지가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어깨끈을 활용하여, 허리에 고무줄을 넣지 않는 잠옷 바지의 경우 입어도 흘러내리 않는 잠옷 바지를 디자인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3-5세의 유아이며 학령전 아동기(preschool childhood)를 말한다[7]. 이 시기의 유아들은 밖에서 친구를 사귀면서 차츰 사회화하게 되고 매우 자기중심적일 뿐만 아니라 주위의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자기에게 집중되기를 원한다. 그리고 유아들은 이 시기에 대소변을 가리는 활동을 하게 되는데[7], 이런 유아기 특징을 고려하여 조선시대 착용했던 속곳형 바지인 밑이 터진 개당고 바지와 밑이 막힌 합당고의 형태적 특징을 아이템으로 활용하여 아동 잠옷 바지 디자인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러한 디자인 개발 제시를 위해 문헌고찰과 박물관 유물을 중심으로 조선 시대 착용했던 여자 속곳형 바지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해 보고 속곳형 바지의 조형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용 바지를 형태, 색상, 소재, 치수로 나누어 디자인 계획을 세우고 아동 잠옷 바지 4점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

바지는 상고시대부터 남녀 모두가 착용했던 우리나라 전통복식의 일종이다. 이 시기에는 여자들의 바지 역시 남자들의 바지와 마찬가지로 겉옷으로 착용되었다. 하지만 조선 시대에 와서 바지는 여자들의 겉옷으로써 의미를 상실하였고 1400년대에 완전한 속곳이 형성되었는데 그 종류도 다양하게 발전하였다[1]. 조선시대의 경우, 남자 바지는 포안에 입어 보이지 않았지만 겉옷으로서 입었으며 여자 바지는 겉옷으로 입던 삼국시대와 달리 치마 안에 있는 속옷으로 변화되어 전승되었다. 이러한 조선시대 여자 바지의 변화 양상은 출토유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여자 속곳이 발달했던 조선시대 여자 바지의 다양한 종류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어 바지의 구성을 알 수 있다.

1. 속곳형 바지의 유형

여자바지의 유물은 Kim [6]의 선행연구에서 참고로 한 출토복식을 정리한 표를 중심으로 2010년까지 발표된 출토복식 중 바지와 관련된 각종 보고서를 보완하여 총 40기의 묘에서 127점 중 정확한 사진이 실리지 않거나 훼손이 심한 바지를 제외하고 총 25기 묘에서 78점을 대상으로 하였다[9]. 이 중 삼각당이 부착된 것은 16점, 사각당 부착은 34점, 삼각무 부착은 15점, 사각무 부착은 11점이었고 절개형은 말군 1점과 살창고쟁이 1점을 포함하여 총 2점이 있으며 사폭형은 출토된 바가 없다[9]. 합당고의 사각당의 숫자가 많은 것은 남성바지의 경우와 다르지 않으나 삼각당은 남성바지의 경우 전기에 국한되어 나타났으며 여성바지의 경우 후기까지 계속 나타난다. 개당고의 무 부착 바지도 남성 바지의 경우와 같이 후기까지 계속 발견되며 단지 남자바지가 사폭바지가 되어가는 시기를 전후하여 여성의 개당고 바지부리도 줄어드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9]. 조선 시대 출토된 여자 바지의 유형을 정리하면 Table 1과 같다.

Analysis the Shape of Women’s Pants, Excavated Relic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2. 속곳형 바지의 특징

속곳형 바지는 넉넉한 허리둘레를 맞게 하기 위하여 허리 부분에 주름을 잡아넣었는데 바지를 풍성하게 하고 미적으로 아름답게 보이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허리에 주름이 없는 사폭 바지와 다른 점으로서 속곳형 바지를 만드는데 많은 천이 사용된다. 그리고 허리의 주름 처리는 여유분을 주어 다리를 활동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는 기능도 있었다. 주름의 형식을 보면 외주름, 맞주름, 자연적 주름 등 다양하며 좌, 우 주름이 앞 중심선에서 겹치게 하도록 만들기도 하였는데 이는 앞 중심부분을 가려주는 역할을 함께 하였으며 속곳형 바지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처리 방식이다.

그리고 속곳형 바지는 당 혹은 무가 달려 있으면서 밑이 터진 바지와 밑이 막혀진 바지로 나뉜다. 밑이 터짐의 유무에 따라 바지를 칭하는 이름이 학자마다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Gu [3]의 정의에 따라 밑이 터진 바지를 개당고, 밑이 막힌 바지를 합당고라 하였다. 개당고는 당이 붙어 있는데 이 당은 옷을 입으면 밑의 트임이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당은 삼각형, 사각형이거나 바짓가랑이 양쪽에 각각 다른 모양의 당이 달려 있기도 하였다. 그리고 무가 달려 있는 개당고의 경우 삼각무, 사각무 등이 달려 있었으며 밑 트임이 터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합당고는 무가 달려 있는데 밑이 터지지 않아 입었을 경우 속이 비칠 우려가 없는 바지이다. 개당고와 합당고 모두 당 혹은 무가 달려 있어 현대 바지에서는 볼 수 없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당 혹은 무가 달리 바지를 디자인 할 경우 고전적인 느낌을 살린 패턴으로 바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속곳형 바지는 사폭 바지에 비하여 폭이 더 넓다. 속곳형 바지는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품이 줄어드는 바지로 변화하였다. 이것은 남녀 바지 모두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었다. 사폭바지가 활동에 편리하도록 폭이 줄어들어 사용되었다면, 임란 후 속곳형 바지는 통이 좀 줄었다고 할지라도 사폭바지에 비해서 여전히 넓은 편이었으며 이는 여성의 속옷으로 사용되었던 바지들은 치마의 부피를 늘리고 받쳐주어 실루엣을 살리는 기능도 함께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속곳형 바지는 남녀 공용이었다. 임진왜란 후로 남자 바지는 사폭형 바지로 정착되었다. 하지만 속곳형 바지는 원래 남녀가 같이 입은 형태의 바지였으며 임란 이후에는 여성용 속옷으로 이어져 내려오게 되었다.

여자 속옷을 활용한 유아 잠옷 바지 디자인 개발

인간발달에 있어 유아기는 학자나 연구자에 따라 연령구분을 다르게 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 2세에서 6세 정도까지로 초등학교 입학 이전 시기이므로 학령전기 또는 취학전기라고 부른다. 복식사전에서는 소비자를 연령별로 분류할 경우 유아를 2-6세 정도를 가리키며 2세 이하를 영아, 인펀트(infant), 7세 이상을 아동, 차일드(child)라고 하므로 영아와 아동 사이의 학년 전기에 속하는 토들러(toddler)를 유아로 구분한다[5].

유아기에는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하여 관심 집중의 수단으로 의복을 인식하고 있으며 자아인식이 부족하므로 자신과 의복을 동일시하여 의복을 자신의 일부로 보기 때문에 이때의 의복행동은 유아의 행동과 지능발달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2].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성장이 빠르고 색채에 관심이 많은 3-5세의 유아의 잠옷 바지를 디자인 개발하고자 한다.

1. 디자인기획

1) 형태

첫 번째 모티브(Figure 1)는 ‘삼각당의 안동 권씨 란바지’로 허리에 외주름을 잡았고 무부분이 많이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바지를 이용하여 여자유아의 잠옷 바지 디자인을 제시하려고 한다. 여자유아 잠옷 바지는 레이스를 적용하여 디자인 하도록 한다. 또한 여자유아의 대소변을 쉽게 하기위하여 개당고의 특징인 밑이 터진 바지로 디자인 하였는데 겹쳐진 무가 막혀있지 않으므로 필요시 바지를 벗지 않아도 된다. 두 번째 모티브(Figure 2)는 ‘사각무가 부착된 진주 하씨의 바지’로 개당고이다. 개당고는 대소변을 가릴 때 용이함으로 유아복뿐만 아니라 환자복, 잠옷, 속옷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진주 하씨의 바지를 이용하여 남자유아 잠옷 바지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Figure 1.

Andong Gwon's Ran-pants with the triangle-dang. (Gyeonggi Provincial Museum, Best excavated costume [4]).

Figure 2.

Jinju Ha's pants with square-mu.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properties important folk material [2]).

잠옷을 자녀 스스로 의복을 착탈의 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형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고무줄 형태가 70.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반 고무줄 형태(21.2%), 고무줄과 허리조절 끈 형태(8.7%)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허리조절 끈이 있는 경우, 아이들이 끈을 묶고 푸는 것을 어려워함에 따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10]. 이에 제시될 디자인의 착탈 방법으로 고무줄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그 밖에 실내복의 경우 복잡한 디자인 보다는 간단한 디자인을 선호하며,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활동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실내복을 유아가 직접 입을 때 앞뒤가 헷갈리지 않도록 앞뒤 디자인이 명확히 다른 디자인을 선호한다[10]. 이러한 유아복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아 잠옷 바지를 디자인 하고자 한다.

주머니의 경우 유아들이 물건을 챙길 수 있도록 수납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실내복이라는 이유로 주머니가 없는 유아복이 많아 불만을 토로하였다[10]. 이에 제시한 디자인에도 유아 잠옷 바지에 주머니를 넣어 디자인 하고자 한다.

2) 색상

실내복으로 선호하는 전체적인 색상계열을 조사한 결과 파스텔 계열이 66%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원색계열(18.8%), 중간색계열(11.1%), 흰색(4.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실내복은 외출복 안에 착용하기도 함에 따라 겉옷에 비해 연한 실내복의 색상을 선호하며, 또한 아이들에게 안정적인 느낌이 들 수 있는 색상을 선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0]. 하지만, 유아 한복에는 전통 색상으로 오방색을 이용한 색동을 들 수 있다. 이에 두 번째 선호하는 원색계열을 사용하였다. 성별에 따르는 색 선호경향을 보면, 유아기에 있어 남자아이는 청록, 여자아이는 빨강을 선호한다고 하였다[12]. 이와 같이 성별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는 유아의 선호 색상을 바탕으로 남자유아 바지의 색상은 파랑, 녹색 계열로 하였고, 여자유아 바지의 색상은 빨강, 핑크 등의 난색 계열로 하고자 한다.

3) 소재

실내복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재의 기능을 분석한 결과 알레르기가 적은 친환경(organic)소재가 27.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활동성을 고려한 신축성 좋은 소재(22.2%), 땀 흡수가 잘되는 소재(17.4%)로 나타났다. 실내복은 아이들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는 의복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아이들의 피부를 고려하여 알러지가 적고 친환경 소재가 사용된 실내복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10].

이에 디자인 한 작품에 사용할 소재는 흡습성이 뛰어나 위생적인 면과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있는 인견, 그리고 신축성이 있는 면 저지를 선택하고자 한다. 인견은 홍화(빨강, 분홍)와 청대가루(청색)로 천연염색을 하여, 아름다운 자연색으로서 심미성과 함께 아토피 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잠옷은 피부에 직접 닿고 수면을 하는 장시간 동안 입고 있어야 하는 기능복 중의 하나이다. 천연염색의 특성은 합성염료에 비해 신체에 무독하고, 염재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기능을 보면, 방충효과, 소취기능, 항균기능, 자외선 차단 및 약리적 기능이 있어 잠옷 소재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천연염색을 하고자한다.

2. 디자인전개

유아 잠옷의 착용감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삼각당의 안동 권씨 란바지와 진주 하씨의 바지를 디자인 모티브로 선정하였다(Table 2). 삼각당의 안동 권씨 란바지는 허리에 외주름을 잡았고 무부분이 많이 보이지 않도록 되어 란바지의 특징을 이용하여 여자유아 잠옷 바지 디자인을 제시하려고 한다. 진주 하씨 바지는 개당고의 특징을 살려 잠옷을 입고도 용변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뒤의 밑 부분을 트이도록 하거나, 무의 앞 중심 부분에 트임을 주어 전통복식의 형태적 특성을 반영한 디자인 아이템을 제시하였다.

Planning Chart of Design

1) 디자인 1 (Figure 3)

Figure 3.

A girl's pajamas, the motive: Andong Gwon's Ran-pants with the triangle-dang.

치마바지 형태의 잠옷 바지로 속곳형 바지의 특징인 허리에 외주름을 잡은 모양을 응용하여 바지에도 외주름을 넣어 허리 여유분을 처리한다. 허리 말기는 앞부분은 고무줄이 들어가지 않고 뒷부분만 고무줄이 들어가 입고 벗기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란바지의 특징은 바지 부리부분에 절개하여 이 부분에 다른 천을 다는 것인데 이를 반영하여 란 부분에 자수 레이스가 된 천을 사용한다. 주머니 둘레에는 레이스 장식을 달아 귀엽고 여성스런 이미지가 되게 한다. 밑 모양은 바지가 가려 다 보이지 않지만 개당고 무을 달고 앉으면 밑이 벌어져 용변을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소재는 부드러운 면을 사용하여 청결함을 더해주고 색상은 주머니 부분은 빨강, 전체 바지 색상은 분홍, 레이스와 란 부분은 흰색으로 한다.

2) 디자인 2 (Figure 3)

허리말기는 고무줄을 넣어 입고 벗기에 편리하게 하며 허리부분에 외주름을 넣어 여유분을 정리하고 디자인한다. 디자인 한 바지 부리 란 부분은 프릴을 달았고 위쪽으로 여러 색상의 스티치 자수를 놓아 장식한다. 밑은 터져 있으며 이는 아동이 소변이나 용변을 볼 때 옷을 내리지 않고 벌리기만 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소재는 인견으로 홍화로 천연 염색하여 사용한 것으로 부드러운 질감은 유아의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천연염색으로 인한 은은한 색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홍화의 발색 색상은 분홍에서 빨강 계통으로 여자유아가 좋아하는 색상이다. 잠옷 바지의 색상은 홍화에서 나오는 진한 빨강색으로 하며 란 부분의 프릴은 분홍으로 한다. 란 장식 윗부분의 바지 스티치 장식의 색상은 색동으로 한다.

3) 디자인 3 (Figure 4)

Figure 4.

A boy's pajamas, the motive: Square-mu pants of the Jinju Ha family.

밑이 트인 바지로 앞 허리에는 고무줄을 넣지 않아 주름을 잡지 않고 바지 뒷부분은 허리에 고무줄을 넣어 입고 벗기 편리하도록 한다. 바지 옆선에 스트라이프를 넣어 캐주얼 이미지를 반영한다. 앞부분은 맞주름과 주머니가 들어가고 뒷부분의 허리 부분에는 외주름을 넣어 여유분을 조절하고, 바지는 밑이 트여 있는 개당고 형식의 무를 달아 유아의 대소변을 편리하게 한다. 소재는 봄에 알맞은 면 저지로 하고 색상은 남자 유아가 선호하는 파랑과 청색으로 하는데, 메인 바지 색상은 파랑으로 스트라이프와 바지 주머니 부분의 색상은 청색으로 한다.

4) 디자인 4 (Figure 4)

진주하씨 바지는 밑이 터진 바지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응용하여 앞 밑의 중심 부분에 창구멍이 있도록 디자인한다. 이 창구멍으로 남자 유아들이 소변을 쉽게 볼 수 있을 것이다. 앞판에 양쪽으로 큰 주머니를 넣고 허리에는 진주하씨 바지에서 보이는 맞주름을 사용하여 허리 여유분을 몸에 맞게 처리한다. 가볍고 시원한 인견은 여름에 잠옷으로 만들기 적당한 소재로 청대가루 염색 색상인 청색으로 한다.

결 론

세계화로 인하여 다양한 문화에 대해 흥미를 보이면서 이와 함께 전통 문화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고유 전통복식인 한복을 응용하여 현대인이 공감할 수 있는 의복 디자인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복 중 조선시대 여자의 속바지였던 속곳형 바지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응용한 유아 잠옷 바지 디자인개발을 시도하였다.

디자인 1은 속곳형 바지의 형태적 특징을 여자 유아 바지 디자인에 그대로 적용하여 비교적 넓은 품의 바지로 허리에서 맞주름을 잡거나 남은 허리 여유분을 고무줄로 처리하여 주름을 자연스럽게 잡히도록 하였다. 이는 활동하는데 지장이 없고 입고 벗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디자인 2는 여자유아 잠옷 바지를 만드는 모티브로 삼각당의 안동 권씨(17세기 중반) 란바지를 사용하였다. 허리에 잡은 주름, 바지 부리의 란 장식을 사용하여 잠옷 바지를 디자인하였다. 속곳형 패턴을 그대로 사용하여 전통 바지의 느낌과 기능성을 그대로 가져온 디자인으로 긴 편인 밑위길이와 넓은 품은 전통속옷의 풍성함을 그대로 표현하였다.

디자인 3는 사각무가 부착된 진주 하씨(17세기 중반)의 바지로 허리에 맞주름이 잡혀 있고 밑이 터져있으며 바지 부리로 갈수록 통이 좁아지는 형태를 응용하여 남자유아 잠옷 바지를 디자인하였다. 이는 바지 부리로 갈수록 품이 좁아지게 하였으며 밑을 조금 길게 하고 엉덩이 부분은 통을 넓게 하여 입고 벗거나 활동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디자인 4는 진주 하씨(17세기 중반)의 바지로 허리에 맞주름이 잡혀 있고 밑이 터져있는 형태를 응용하여 양옆에 큰 주머니를 달고 있는 기본 스타일의 잠옷 바지로 다른 바지와 다르게 앞무 부분에서 앞 중심 부분만 창구멍을 두어 착용감의 기능을 부여하였다.

Note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References

1. An I. S.. 2001. A study on baji of women in chosun dynasty: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restoration of rel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Cultural properties important folk material 2.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3. Gu N. O.. 2002;A study on the men's trousers in the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2(7):45–55.
4. Gyeonggi Provincial Museum. 2008. Best excavated costume. Seoul: Filcom.
5. Jeong E. J.. 2012. Toddler clothing purchase behaviour according to mother's fashion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J. S.. 2007. An analysis on the types and dimensions of excavated trousers of the Chosun period: focusing on trousers mad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7. Kim J. W.. 1987. A study on the color of little children's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8. Kwon Y. I.. 1999;A study on designing Korea costume as day-time wear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Statistics Consultation 13(2):33–34.
9. Lee M. J.. 2011. The development of casual pants design for men in their 20~30'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trous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10. Nam Y. L.. 2011. A study of creating toddler's fuctional dressing gown: in focus on the toddlers are 3-6 years o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Seok Juseo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2005. Myungseon Ha. Seoul: Dankook University Press.
12. Yun E. K.. 1992. A study on infant clothing design centering on diversification with consider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 growth st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Andong Gwon's Ran-pants with the triangle-dang. (Gyeonggi Provincial Museum, Best excavated costume [4]).

Figure 2.

Jinju Ha's pants with square-mu.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properties important folk material [2]).

Figure 3.

A girl's pajamas, the motive: Andong Gwon's Ran-pants with the triangle-dang.

Figure 4.

A boy's pajamas, the motive: Square-mu pants of the Jinju Ha family.

Table 1.

Analysis the Shape of Women’s Pants, Excavated Relic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Kind Opened crotch (mit), Gaedanggo Closed crotch (mit), Habdanggo
Shape Attached a triangle gusset and a rectangle gusset Smaller in the hemline With a triangle gusset A triangle gusset with ran decoration
Falt drawing
Relics
The Danyang Wu family, around 16C The Jinju Ha family, in the middle of 17C The Yeonan Kim family, in the middle of 16C The Andong Gwon family, in the middle of 17C
Note Two attached gussets. pleated, having a shoulder band Attached rectangle gusset, smoller hemlines, narrower width compared with other pants Made of hemp, pleated, unlined clothes, opening at the right side, reinforcement strips sewed, a mark of the disappeared shoulder band Cotton-stuffed, attached the trapezoid dang, large hemline 67 cm, Ran 17 cm and cotton- stuffed.
Source Seok Juseon Memorial Museum of Dankook University, Myungseon Ha [1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properties important folk material [2] Gyeonggi Provincial Museum, Best excavated costume [4] Gyeonggi Provincial Museum, Best excavated costume [4]

Table 2.

Planning Chart of Design

Design Item 1 Item 2
Motive Triangle-dang Ran pants of the Andong Gwon family Square-mu pants of the Jinju Ha family
Composition Opened mit, girl’s pajamas Opened mit, boy’s pajamas
Number Design 1 Design 2 Design 3 Design 4
Material Cotton Artificial silk Cotton jersey Artificial silk
Color Red, pink, white Red, pink Sky blue, dark blue Blue
Keynote No elastic band in the front part of the waist band, pleats to hide the mu, two pockets with lace decoration. The elastic band in the waist band, pleats around the waist line, opened Mu, Ran decoration like the flare. No elastic band in the front part of the waist band, inverted pleats, two pockets, stripe decoration give a sporty style. Elastic band in some waist band, two big pockets, opening part in the center of the front mu, stripe decoration side parts of the paj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