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9(4); 2021 > Article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pornography use among adolescents on their subsequent violent sexual behavior, and to ascertai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87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data, a descriptive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Poisson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 Poisson regression was perform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violent sexual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most responses were distributed at '0', indicating a non-normal distribu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8.1% of adolescents admitted to having sexually violent experiences over the past year, with a relatively high rate of sexual harassment. Secondly, 53.3% of adolescents had used pornography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use occurring via the Internet. Finally, pornography use among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and direct impact on their sexually violent behavior, with family support playing a moderating role. This indicated that, for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family support, the impact of pornography usage on sexually violent behavior de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prevent sexually violent behavior by adolescents.

서론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범죄 증가율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2020 범죄백서(Institute of Justice, 2021)에 의하면, 성범죄로 기소된 청소년의 수는 2010년 2,565명에서 2019년 3,180명으로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청소년 강력범죄에서 성범죄가 차지하는 비율 또한 2010년 70.0%에서 2019년 86.8%로 크게 증가하였다.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Ministry of Education, 2019)’에 따르면 2009년 1,031건이었던 성폭력범죄처벌법 위반 사건이 2016년부터 급격하게 증가해 2019년에는 1,276건으로 조사 이래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더불어 성범죄 가해에서 전체 연령대 중 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2018년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동향분석(Kim, Hwang et al., 2018)에 따르면, 강간과 성매매 강요의 경우 10대가 각각 34.7%, 59.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성범죄 저연령화 양상은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성범죄가 증가하면서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경찰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 디지털성범죄 단속 현황’에 의하면 검거된 피의자 221명 중 10대가 29.4%(65명)를 차지하였고 경기북부지방경찰청 디지털성범죄 특별수사단이 온라인 메신저 ‘디스코드’에서 성범죄 가해자로 검거한 10명 중 8명이 미성년자였다(Lee, 2020). 최근 연달아 발생한 청소년에 의한 성폭력 사건은 우리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인천에서 중학생 2명이 여중생에게 술을 마시게 해 정신을 잃게 한 뒤, 성폭행하고 나체사진까지 촬영하거나(Ok, 2021), 고등학생들이 또래 친구를 모텔에 감금해 성폭력을 하고 성매매까지 강요한(Ko & Lee, 2021) 사건이 언론에 보도되었다. 청소년기 발달단계의 특성을 고려하면, 청소년들이 성폭력 가해자로서 성범죄에 연루되는 것의 심각성은 더욱 커진다. 성폭력을 저지르는 나이가 어릴수록 만성적 성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고(Moffitt, 1993) 성범죄 이외의 다른 흉악범죄까지 저지를 확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LeBlanc et al., 1991; Nagin & Farrington, 1992)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 문제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개입이 매우 시급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는 음란물 이용이 있다(Barbaree, 1990; Braun-Courville & Rojas, 2009; Foubert et al., 2011; Hong & Nam, 2012; Kim et al., 2011). 음란물은 청소년에게 왜곡된 성 인식을 심어주고 성 가치관에 혼란을 초래하며(Lee, 2004), 음란물을 많이 이용할수록 성적인 사항에 대해서 무비판적으로 반응하게 된다(Kim, 2010; Lee, 1998).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성자극 이론과 사회학습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성자극 이론에서는 음란물이 성충동을 자극하여 성폭력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성 표현물이 직접적으로 성적 충동을 불러일으켜 유해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Kim (1997)은 음란물에 접촉한 아이들의 79.7%가 성적 욕구를 느꼈다고 했고 Kim 등 (1999)의 연구에서도 음란물을 본 청소년들의 82.5%가 성적충동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청소년이 음란물을 접촉하여 성적 충 동을 강하게 느끼게 되어 성폭력 가해에까지 이를 수 있는 것이다(Choi, 1996; Lee, 2004; Lee & Sung, 2001). 사회학습이론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음란물을 많이 볼수록 이를 일상적인 것으로 학습하게 되고 모방 또는 강화를 통해 음란물에서 묘사된 행동을 실제 행동으로 옮김으로써 성비행까지 이어질 수 있다(Chae, 2003; Cline, 1990; Malamuth & Check, 1985; Vincent, 2014). 음란물은 강간,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 아동과의 성행위 등의 왜곡된 내용이 많아 청소년들로 하여금 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성비행을 유발할 수 있다(Dworkin, 1989; Jensen & Dines, 1998). 실제 청소년들이 음란물에 많이 접촉할수록 음란물을 모방한 성비행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Hwang, 2000; Joo, 2002; Romito & Beltramini, 2011). 사이버 음란물이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Noh et al., 2013)에 따르면, 음란물을 많이 이용하는 청소년일수록, 성관계 장면을 흉내 내거나 사이버 섹스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의 성범죄 사건에서도 음란물 이용의 영향력이 강하게 논의되고 있다. 성 착취 영상을 제작하고 유포했던 텔레그램 n번방 사건의 경우에도 10대 가해자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는데, 운영자 ‘갓갓’의 공범 안모씨는 자신의 범행 동기를 음란물 중독이라고 답변하였다(Jeon, 2020). 이를 종합하여, 음란물 이용이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음란물은 남녀 모두에게 잠재적인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를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Brosi et al., 2011) 본 연구의 대상인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있어서 가족지지의 효과에 주목한다.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 문제를 예방하는 일차적이고 핵심적인 방안은 부모를 포함한 가족의 충분한 지지와 관심이다(Ko, 2002; Lee, 1998; Lee, 2009). Lammers 등의 연구(2000)에서 부모가 자신을 지지해주고 있다는 인식은 청소년들의 성폭력 가해행동에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가족 내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성충동을 억제해 성폭력 가해행동을 줄이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Kim et al., 2010). 반면, 청소년이 인지하는 가족지지가 낮을수록 성폭력 가해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Choi et al., 1991; Han et al., 2001; Nam, 2004).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Yoon et al., 2016)에서는 성폭력 가해자들의 가족 간 정서적 지지 및 의사소통이 미흡한 상태를 보인다고 하였고, Shin (2003)의 연구에서는 성폭력 가해를 한 청소년들의 부모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부족, 부모의 거부적이고 방임적인 양육태도 등이 청소년 성비행에 있어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Loeber & Stouthamer-Loeber, 1986; Marshall et al., 1993). 이와 같이 가족지지의 수준에 따라 청소년이 성폭력을 저지를 위험이 달라진다는 보고는 성폭력 가해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족지지의 중요성을 시사한다(Kim & Kim, 2010; Kim et al., 2010; Kim & Jeon, 2007; Starzyk & Marshall, 2003).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부모 세대와 청소년 자녀들 간의 접촉이 점차 감소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아동기를 벗어난 청소년 자녀는 방임의 대상이 되기 쉽다(Kim et al., 2015). 부모의 무관심과 방치 속에서 청소년 자녀의 소외감과 외로움은 증가되고 이들은 하루의 상당 시간을 무분별한 인터넷 사용으로 소비한다(Lee, 2000). 청소년들이 무방비하게 음란물에 노출되어도 감시하거나 관리할 대상이 부재하여 병리적으로 음란물을 이용하게 되고 심각한 경우에 성폭력 가해행동으로까지 이어지는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가족지지의 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으로 가는 영향력이 완화될 수 있다고 예측하였다.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에 관한 연구들을 보면,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기 통제력, 성매매 허용성, 공격성 등 주로 개인 내적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있다(Kim & Lee, 2010; Kim et al., 2010; Lee et al., 2018; Lee & Shin, 2017; Nam & Hong, 2012). 가족요인 중에는 부모 간 폭력 목격경험, 가족응집력, 부모애착 등을 다룬 연구가 존재하나(Cho, 2012; Lim, 2012; Song, 2012),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청소년기에 가족의 영향력은 매우 절대적이다. 가족지지는 음란물 이용의 영향으로 성폭력 가해와 같은 높은 위험행동을 보이는 청소년들에게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Min, 1992; Yang & Lim, 199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 문제에 있어서 가족의 관심과 지도가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 문제를 예방하는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논의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 성폭력 가해행동, 가족지지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3. 가족지지는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에 따른 연구모형은 다음 Fugure 1과 같다.

2. 자료출처 및 수집방법

본 연구에서 선정한 조사대상은 전국의 남녀 중학생 및 고등학생이다. 조사를 위해서 전국을 수도권, 충청, 경상 및 전라지역으로 크게 4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다. 이를 통해 8개 중학교와 6개 고등학교가 조사대상으로 선정되었고 해당 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학교 교장선생님의 동의를 얻어 조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였고 학부모와 학생이 모두 설문에 동의한 경우에만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2014년 12월 15일부터 3주간 진행되었으며, 연구진이 각 학급에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학생 본인이 자기보고식으로 응답하였다. 자료 입력 후,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을 마친 총 2,087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OO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승인번호 : 1040917-201411-HRBR-257-03).

3. 측정도구

1) 음란물 이용

남자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은 Lo & Wei (2005)가 개발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본 척도는 총 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며 ‘지난 1-2년간’을 기준으로 인터넷 또는 기타매체를 통해 음란물을 어느 정도의 빈도로 이용하였는지 물었다. 구체적인 문항으로는 ‘지난 1-2년간 얼마나 자주 인터넷을 통해 음란물을 접했습니까?’, ‘지난 1-2년간 얼마나 자주 성인 만화를 보았습니까?’ 등이다. 응답 범주는 ‘전혀 없음’(1점), ‘연 1-2회’(2점), ‘월 1-2회’(3점), ‘주 1-2회’(4점), ‘매일’(5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음란물 이용 척도 신뢰도는 Cronbach’ a값 .762로 나타났다.

2) 성폭력 가해행동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은 2010년 전국 성폭력 실태조사(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0)에서 사용한 성폭력 피해 관련 문항을 이용하였다. 해당 조사에서는 평생 또는 지난 1년간 음란전화, 문자, 메일을 보내는 행위, 스토킹, 성기 노출, 성희롱, 성추행, 강간미수 또는 강간 등의 경험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0).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가해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의 8개 문항에 ‘포르노나 음란물 등을 억지로 보게 하기’의 한 문항을 추가하여 총 9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응답범주는 ‘지난 1년간’을 기준으로 ‘없음’(0점), ‘ 1-2회’(1점), ‘3-5회’(2점), ‘6회이상’(3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해당 척도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 α값 .811로 나타났다.

3) 가족지지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가족지지 척도는 Dubow & Ullman(1989)의 사회적지지 척도 중 가족의 지지와 관련된 4문항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문항으로는 ‘우리 가족은 내가 어려울 때 격려해준다’, ‘우리 가족은 내가 필요로 할 때 힘이 되어 준다’ 등이 있다. 측정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 (2점), ‘그렇다’(3점), ‘매우 그렇다’(4점)의 범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해당 척도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 α값 .876으로 나타났다.

4) 통제변수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근거로 성별, 학년, 학업성적, 가구생활수준, 가족형태, 자기통제력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Cho, 2012; Kim et al., 2004; Kim et al., 2007; Lee et al., 2018; Nam & Lee, 2002). 특히, 자기통제력은 음란물과 같은 부정적 자극으로 인한 흥분을 억누르는 효과가 있어 성폭력 가해행동으로 발전하는 것을 억제한다(Gottfredson & Hirschi, 1990; Kim et al., 2010; Nam, 2004). 성별은 여자 청소년 ‘0’, 남자 청소년 ‘1’로 측정하였고 학년은 중학교 1학년 ‘1’부터 고등학교 2학년 ‘5’까지 구분되었다. 학업성적과 가구생활수준은 0-10점 중에 주관적으로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자기통제력은 Tangney 등(2004)의 자기보고식 행동평가척도(Youth Self Report:YSR)를 Hong 등(2012)이 타당도 및 신뢰도를 연구하여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척도(BSCS)로 제작한 11문항을 활용하였다. ‘전혀 그 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의 응답범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자기통제력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 a값 .818이다.

4. 자료 분석방법

본 연구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IBM Co., Armonk, NY)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화 선형모형 중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폭력 가해행동은 행위의 횟수(count)를 묻는 변수이고, 다수의 응답이 경험없음(0)에 몰려 있어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없어 포아송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대상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 Table1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학업성적, 생활 수준, 가족형태, 자기통제력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 1,094명(52.4%), 여학생이 993명(47.6%)으로 구성되었다. 학년은 중학교 2학년이 967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 1학년이 478명(23.0%), 고등학교 2학년이 362명(17.4%), 중학교 1학년이 174명(8.4%), 중학교 3학년이 95명(4.6%)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과 가구생활수준은 0-10점을 기준으로 각각 평균 6.08점, 6.12점으로 나타나 중간값인 5점을 다소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족형태는 양부모 가족이 1,903명(92.6%), 한부모 가족이 151명(7.4%)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은 1-5점을 기준으로 평균 3.30점으로 나타났다.

2. 주요변수 실태

1) 음란물 이용 실태

조사대상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 실태는 다음 Table 2와 같다. 전체의 53.3%가 지난 1-2년간 음란물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구분하면, 남자 청소년은 69.6%, 여자 청소년은 35.4%가 음란물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7개의 문항을 통해서 인터넷, 영화관, DVD, 케이블 방송, 성인 잡지나 만화 등의 경로를 통한 음란물 이용 경험을 확인하였는데, 인터넷을 통한 음란물 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나(49.3%) 청소년 음란물 이용의 주 경로가 인터넷임을 확인하였다. 인터넷을 통해 음란물을 주 1-2회 또는 거의 매일 접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19.5%로 보고되었고 성인만화를 주 1-2회 이상 본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4.7%, 성인용 책(야설)을 주 1-2회 이상 보는 경우는 전체의 2.1%로 나타났다.

3) 성폭력 가해행동 실태

조사대상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 실태는 다음 Table 3과 같다. 전체의 8.1%(160명)가 지난 1년간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일부러 몸(가슴, 엉덩이 등)을 건드리거나 만지기’를 했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4.7%(94명)으로 가장 많았고 ‘성적으로 놀리거나, 창피하게 만드는 말하기’가 4.3%(85명)으로 그 다음으로 많게 나타났다. 심한 성추행, 강간 미수 또는 강간 가해 비율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제로 키스, 포옹, 애무를 하기’ 가해 경험의 경우, 24명(1.2%)이 응답하였고 강간 미수와 강간은 각각 5명이 가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심한 성추행, 강간 미수, 강간 모두 3-5회 가해 경험보다 6회 이상의 응답이 높아 소수지만 지속적이고 심각한 수준의 성폭력 가해경험이 존재함이 보고되었다.
조사대상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 실태는 다음 Table 3과 같다. 전체의 8.1%(160명)가 지난 1년간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일부러 몸(가슴, 엉덩이 등)을 건 드리거나 만지기’를 했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4.7%(94명)으 로 가장 많았고 ‘성적으로 놀리거나, 창피하게 만드는 말하기’가 4.3%(85명)으로 그 다음으로 많게 나타났다. 심한 성추행, 강간 미수 또는 강간 가해 비율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제 로 키스, 포옹, 애무를 하기’ 가해 경험의 경우, 24명(1.2%)이 응 답하였고 강간 미수와 강간은 각각 5명이 가해 경험이 있다고 응 답하였다. 특히, 심한 성추행, 강간 미수, 강간 모두 3-5회 가해 경험보다 6회 이상의 응답이 높아 소수지만 지속적이고 심각한 수준의 성폭력 가해경험이 존재함이 보고되었다.
조사대상 청소년의 가족지지 실태는 다음 Table 4와 같다. 가족지지 전체 평균이 3.18점(SD =.60)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의 응답범주는 1-4점으로, 평균 3.18점은 ‘그렇다(3점)’를 웃도는 수준으로 응답 청소년들이 평균적으로 가족지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모형의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Table 5와 같이 상관계수가 모두 0.5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이 발생할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은 성폭력 가해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 가족지지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폭력 가해행동은 가족지지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4. 경로검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포아송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로를 검증하였다. 1단계 모델에서는 통제 변수인 성별, 학년, 학업성적, 생활수준, 가족형태, 자기통제력과 독립변수인 음란물 이용, 조절변수인 가족지지를 투입하였고 2단계 모델에서는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음란물 이용과 가족지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1단계 분석에서는 독립변수인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종속 변수인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우선, 본 연구자료의 포아송 회귀모형 적합도를 판별하기 위해서 총 이탈도(deviance/df) 수치를 확인하였다. Table 6의 Model 1에서 총 이탈도는 1.154로 기준이 되는 수치 4보다 작게 나타나(Lee, 2015) 포아송 회귀모형으로 적절한다고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B=.158, p<.001).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B=-.234, p<.05), 학년(B=-.154, p<.001), 생활수준(B=-.062, p<.05), 자기통제력(B=-.032, p<.001)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이, 학년이 낮을수록, 가정 형편이 어려울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성폭력 가해 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6의 Model 1과 같다.
2단계 분석에서는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해당 모형인 Table 6의 Model 2의 총 이탈도(deviance/df)는 1.149로 나타나 포아송 회귀모형으로 적절한 연구자료임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B=.108, p<.001), 가족지지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B=-.081, p<.05), 음란물 이용과 가족지지의 상호작용항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B=.005, p<.01). 즉,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가족지지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도식화한 그래프는 Figure 2와 같다. 통제변수는 1단계 분석과 동일하게 성별(B=-.257, p<.05), 학년(B=-.148, p<.001), 생활수준(B=-.070, p<.05), 자기통제력(B=-.029, p<.001)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이, 학년이 낮을수록, 가정 형편이 어려울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성폭력 가해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는 Table 6의 Model 2와 같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녀청소년 2,0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청소년의 8.1%가 지난 1년간 성폭력 가해행동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폭력 유형으로는 성추행(4.7%) 성희롱(4.3%)의 가해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한 성추행, 강간 미수, 강간 가해의 경우 세 유형 모두 3-5회 가해 경험보다 6회 이상 가해 경험의 응답이 높게 나타나 가해자 수는 소수이지만 이들에 의해 지속적이고 심각한 수준의 성폭력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의 성범죄자 수, 청소년의 강력범죄 중 성범죄 비율 등을 고려하였을 때(Institute of Justice, 2021), 이러한 추세는 점차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조사대상 청소년의 53.3%가 지난 1-2년간 음란물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6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Hwang et al., 2016)’에서 보고된 중학생의 성인용 영상물 이용률 42.4%, 고등학생 58.0%과 비슷한 수치이다. 특히, 여러 매체 중에서 인터넷을 통한 음란물 이용(49.3%) 실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응답한 청소년의 19.5%가 인터넷을 통해 적게는 주1-2회 많게는 거의 매일 음란물을 접한다고 보고하여 음란물 중독 수준에 이른 응답자가 상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란물의 주 접촉통로가 되는 인터넷 상에서 무분별하게 제공되는 유해 컨텐츠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경로인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음란물 이용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을 유의하게 높인다는 결과는 다수의 선행연구(Foubert et al., 2011; Lee, 2004; Vincent, 2014)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청소년에 의한 성폭력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주요 개입지점으로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을 규제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하겠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 학년, 생활수준, 자기통제력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해 유의한 영향력을 보고하였다.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이, 학년이 낮을수록, 가정형편이 어려울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성폭력 가해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Cho, 2012; Kim et al., 2004; Kim et al., 2007; Lee et al., 2018; Nam & Lee, 2002)의 결과와 일치한다. 단, 여자 청소년에 의한 성폭력 가해행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남성에 의한 성폭력 가해가 많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뒤엎는 결과이다. 이는 선행연구(Kim & Kwak, 2017)에 근거하여 성폭력에 대한 남녀의 인식 차이에 의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 여자 청소년에 비해 성폭력 관련 행동에 대한 민감성이 낮아(Choi & Kim, 2015) 동일한 행동을 성폭력이라고 인식하지 않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Lee & Park,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신뢰구간 5% 수준에서 여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이를 단정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러운 부분이다.
넷째,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이러한 영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으로 인한 성폭력 가해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가족체계 차원에서의 개입점을 확인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 문제의 폐해를 예방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을 제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음란물 이용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란물에 많이 노출될수록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이 많아지는 것이다. 음란물 이용을 제한하기 위한 노력은 가정, 사회 및 정부 차원으로 제시할 수 있다. 가정에서 부모는 청소년들의 음란물 이용 및 중독 양상을 잘 관찰하고 적절히 개입해야 한다. 장시간 제약 없이 청소년이 무분별하게 유해매체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음란물에 노출되더라도 이를 왜곡되게 받아들이거나 부적절한 성행동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교육하고 지도해야 한다. 사회 및 정부 차원에서는 여성가족부,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경찰청 등의 유관기관을 통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음란물 매체 환경과 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음란물 규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청소년들이 무분별하게 접촉하게 되는 유해 컨텐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기기 이용률은 76.7%에 이르는데 반해, 유해사이트 차단 프로그램 설치율은 25.1%에 그치고 있다(Kim, Yeon et al., 2018). 이러한 차단 프로그램 설치율을 높이는 방안 등 보다 실제적인 정책이 필요하겠다.
둘째,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청소년의 가족체계를 회복시켜 가족지지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겠다. 청소년에게 있어 가족은 가장 근본적인 보호체계이다. 가족에게 받는 충분한 지지가 비행 및 문제 행동을 예방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매일 자녀와 대화하는 부모의 비율은 2015년 기준 53.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70%에 한참 모자란 수준으로 나타났다(Jung, 2018).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조사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이 하루 평균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은 단 13분에 불과하였다. 비율로 따지면 하루 중 단 0.9%의 시간만 가족과 대화를 나누고 시간을 공유하는 것이다(Jung, 2018). ‘2018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청소년이 부모와 함께 저녁 식사하는 비중이 3년 전보다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8). 가족과 보내는 시간의 양이 관계의 질이나 유대감에 무조건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발달과정에 있는 청소년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애정과 지지를 확인하고 내적 힘을 키울 수 있다. 음란물에 노출되더라도 부모로부터 올바르게 지도받고 가족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지지받는다면 성폭력 가해와 같은 문제로 심화되지 않을 것이다.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을 대상으로 부모교육과 인식개선을 통해 가족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받는 지지가 청소년 자녀의 성폭력 가해와 같은 문제행동 예방의 주요한 보호요인임을 알려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 문제에 주목하여 음란물 이용의 영향을 살펴보고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서울 및 수도권, 충청, 경상 및 전라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서 조사를 진행하였으나 유의표집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 제약이 있다. 둘째, 청소년의 발달 특성 상 성별의 차이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 이를 고려한 모형 설정이 필요하다. 성별 차이에 따른 주요 변수 경로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라 보다 세밀한 개입 방안을 고민해볼 수 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가족 관련 요인 등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으나 수집된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또래 요인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보완하여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 declares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Figure 1.
Study model.
fer-59-4-489f1.jpg
Figure 2.
Interaction effect.
fer-59-4-489f2.jpg
Table 1.
Demographic Information on the Participants
Item N %
Demographic information Gender (n = 2,087) Male 1,094 52.4
Female 993 47.6
School year (n = 2,076) 1st Grade in middle school 174 8.4
2nd Grade in middle school 967 46.6
3rd Grade in middle school 95 4.6
1st Grade in high school 478 23.0
2nd Grade in high school 362 17.4
Academic grade (0-10) (n = 2,078) M (SD) : 6.08 (2.29)
Standard of living (0-10) (n = 2,075) M (SD) : 6.21 (1.77)
Type of family (n = 2,054) Single parent family 151 7.4
Two parent family 1,903 92.6
Self-control (1-5) (n = 2,067) M (SD) : 3.30 (.63)
Table 2.
Pornography Use by Participants (unit:%)
Question Never 1-2 times a year 1-2 times a month 1-2 times a week Almost every day
1) How often have you been exposed to pornography on the Internet in the last 1-2 years? (n = 2,051) 50.7 15.1 14.6 14.6 4.9
2) How often have you watched adult movies in the last 1-2 years? (n = 2,082) 87.8 7.4 3.0 1.3 0.5
3) How often have you seen adult movies through video and DVD rental in the last 1-2 years? (n = 2,081) 95 2.6 1.6 0.4 0.3
4) How often have you watched sexually explicit movies on certain cable broadcasts in the last 1-2 years? (n = 2,076) 87.6 7.0 4.0 0.8 0.6
5) How often have you read adult magazines in the last 1-2 years? (n = 2,080) 96.8 1.5 0.9 0.4 0.5
6) How often have you read adult books in the last 1-2 years? (n = 2,081) 87.6 7.4 2.9 1.2 0.9
7) How often have you seen adult cartoons in the last 1-2 years? (n = 2,080) 81.6 7.7 6.0 3.3 1.4
Total(1-7 question) Total (n = 2,083) No experience (46.7%)
Experienced (53.3%)
male adolescents (n = 1,092) No experience (30.4%)
Experienced (69.6%)
female adolescents (n = 991) No experience (64.6%)
Experienced (35.4%)
Table 3.
Violent Sexual Behavior of Participants over the Past Year (unit : %)
Question 0 1-2times 3-5times More than 6 times
1) Sending pornographic phone calls, texts, and e-mails (n = 1,977) 98.2 1.0 0.3 0.5
2) Forcing others to watch pornography (n = 1,970) 99.4 0.4 0.1 0.2
3) Stalking (n = 1,973) 99.6 0.2 0.1 0.1
4) Exposure of the genitals (the secret parts of the body) (n = 1,973) 99.3 0.3 0.2 0.2
5) Using a word that makes someone sexually embarrassed (n = 1,968) 95.7 2.6 0.9 0.8
6) Touching the body (chest, hips, etc.) on purpose (n = 1,975) 95.2 2.1 0.9 1.7
7) Forcing another to kiss, hug, caress (n = 1,972) 98.8 0.5 0.2 0.5
8) Attempting to force another to have sexual intercourse and failing (n = 1,967) 99.7 0.1 0.0 0.2
9) Forcing another to have sexual intercourse (n = 1,962) 99.7 0.1 0.0 0.2
Total violent sexual behavior (n = 1,980) No experience 91.9% (1,820)
Experienced 8.1% (160)
Table 4.
Family Support of Participants
Family support M SD
Total (n = 2,083) 3.18 .60
Table 5.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n=2,085)
Variables 1 2 3
1. Pornography Use 1
2. Violent sexual behavior .295** 1
3. Family support -.127** -.056* 1

* p<.05,

** p<.01

Table 6.
Poisson Regression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Model 1
Model 2
B S.E Wald B S.E Wald
(Constant) -1.148** .3722 9.506 -.169 .4585 .137
Control variables Gender -.234* .1019 5.273 -.257* .1018 6.365
School Year -.154*** .0379 16.490 -.148*** .0376 15.525
Academic Grade .027 .0215 1.627 .021 .0214 .977
Standard of Living -.062* .0284 4.812 -.070* .0282 6.187
Type of Family -.215 .1624 1.751 -.153 .1633 .873
Self-Control -.032*** .0076 18.177 -.029*** .0077 14.703
Independent variable Pornography Use (a) .158*** .0069 527.057 .108*** .0165 42.588
Moderating variable Family Support (b) .012 .0173 .456 -.081* .0319 6.492
Interaction variable (a) * (b) .005** .0014 11.397
χ2 616.763 (p<.001) 628.444 (p<.001)
Log Likelihood -1305.109 -1299.269
deviance/df 1.154 1.149

* p<.05,

** p<.01,

*** p<.001

References

Barbaree, H. E. (1990). Stimulus control of sexual arousal. Handbook of Sexual Assault (pp. 115-142). Boston, MA: Springer.

Braun-Courville, D. K., & Rojas, M. (2009).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websites and adolescent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5(2), 156-162.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8.12.004
crossref
Brosi, M. W., Foubert, J. D., Bannon, R. S., & Yandell, G. (2011). Effects of women’s pornography use on bystander intervention in a sexual assault situation and rape myth acceptance. Orac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Fraternity/Sorority Advisors, 6(2), 26-35.

Chae, K. M. (2003). Human psychology and problems in the digital age.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Sungshin Woman’s University, 21, 183-207.

Cho, C. B. (2012). The influence of the adolescent`s witnessing parental violence on sexual assault: Mediating effects of the contact degree of internet obscenity. Forum for Youth Culture, 32, 145-172.

Choi, I. S., & Kim, J. I. (2015). The effects of sexual violence myths, interpersonal violence acceptance and sex role related attitudes on aggressive sexu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3), 277-300. https://doi.org/10.18205/kpa.2015.20.3.003
crossref
Choi, Y. A. (1996). Current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sexual violence among youths.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40(3), 139-150.

Choi, Y. J., Koo, C. M., & Jung, M. S. (1991). A survey study for the diagnosis of youth problem behavior. Studies on Korean Youth, 5, 97-112.

Cline, V. B. (1990). Pornography's effects on adult and children. New York: Morality in Media.

Dubow, E. F., & Ullman, D. G. (1989).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1), 52-64.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1_7
crossref
Dworkin, S. H. (1989). Not in man's image: Lesbians and the cultural oppression of body image. Women & Therapy, 8(1-2), 27-39. https://doi.org/10.1300/J015v08n01_03
crossref
Foubert, J. D., Brosi, M. W., & Bannon, R. S. (2011). Pornography viewing among fraternity men : Effects on bystander intervention, rape myth acceptance and behavioral intent to commit sexual assault. Sexual Addiction & Compulsivity, 18(4), 212-231. https://doi.org/10.1080/10720162.2011.625552
crossref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Han, I. Y., Park, I. S., & Baek, Y. O. (2001). A research on risk factors of adolescent sexual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2(1), 138-148.

Hong, B. S., & Nam, M. A. (2012). Effects of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on sexual assault and prostitu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0, 9-39.

Hong, H. G., Kim, H. S., Kim, J. H., & Kim, J. H. (2012). Validity and reliability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Self-Control Scale (BSC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1(4), 1193-1210.

Hwang, J. H. (2000). A study on the effects of online pornography on sex delinquency of teenag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Hwang, Y. J., Kim, J. K., Lee, Y. J., Jung, Y. M., Shin, J. M., & Jeon, H. J. (2016). 2016 Survey on youth media use and hazardous environmen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stitute of Justice. (2021). 2020 Criminal white paper. Seoul: Institute of Justice.

Jensen, R., & Dines, G. (1998). The content of mass-marketed pornography. In G. Dines, R. Jensen, & A. Russo (Eds.), Pornography: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nequality. London: Routledge.

Jeon, H. W. (2020, June 23). ‘Gotgot’ accomplice Ahn Seung-jin, "The motive for the crime is pornography addiction."...Face Revealed. Yonhap News. Retrieved September 03, 2021,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3119900704

Joo, S. J.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cybersex addiction on sex delinquency in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Jung, J. H. (2018, May 08). "Mom, play with me instead of kakaotalk."Only 13 minutes a day of family conversation. JoongAng Ilbo, Retrieved September 03, 2021, fr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601669#home

Kim, B. H., & Lee, J. Y.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ornography contact and sexual impulsivity: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trol, parents-adolescents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1(3), 1221-1236.
crossref
Kim, E. H., & Jeon, G. Y. (2007). The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sexual behavior.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7), 71-91.

Kim, E. K. (1997). A study on effects of sexually explicitness in mass media. Seoul: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Kim, E. S, Kim, G. J., & Kim, B. H. (2011).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ntacts to cyber obscene materials and sex crim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6), 8-17. https://doi.org/10.5392/JKCA.2011.11.6.008
crossref
Kim, H. O., Son, H. S., Park, S. K., Um, S. H., & Jeon, J. N. (1999). A study on the contact to lascivious computer programs and related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usan and Kimhae area. Inje Medicine, 20(1), 447-454.

Kim, H. Y., Kim, G. S., Shin, K. D., & Song, S. H. (2015). Child happiness depends on parent education. Issue & Analysis, 174, 1-25.

Kim, J. K., Yeon, B. R., Jung, E. J., Yoo, S. H., Jung, Y. M., & Lee, M. J. (2018). 2018 Survey on youth media use and hazardous environmen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im, J. R., & Kim, K. S.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treatment program for juvenile sexual offender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4(4), 381-404.

Kim, J. Y., Choi, J. H., Lee, H. J., & Kim, K. H. (2010).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use of internet pornography and sexual violence: Based on the control the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1, 79-106.

Kim, J. Y., Hwang, J. T., Choi, S. H., & Kim, H. A. (2018). 2018 Analysis of child and youth sexual crime trends.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Kim, J. Y., & Kwak, J. Y. (2017). The effects of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Studies on Korean Youth, 28(4), 255-283. https://doi.org/10.5392/JKCA.2011.11.6.008
crossref
Kim, J. Y., Lee, H. J., & Song, A. Y.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and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on the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17, 27-52.

Kim, K. H., Kwon, H. J., & Jung, H. K. (2004). A study on the variables forecasting male adolesc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6), 954-963. https://doi.org/10.4040/jkan.2004.34.6.954
crossref pmid
Kim, Y. J. (2010). Adolescents’ sexual attitudes after exposing internet explicit materials associated with personal factor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4(6), 45-84.

Ko, S. A. (2002).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ommunication of parents and problematic behavior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gang University, Seoul, Korea.

Ko, S. H., & Lee, G. R. (2021, August 05). "Your boyfriend sexually assaulted," a scary teenager who dragged a friend and forced prostitution. JoongAng Ilbo. Retrieved September 03, 2021, fr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21901#home

Lammers, C., Ireland, M., Resnick, M., & Blum, R. (2000). Influences on adolescents’ decision to postpone onset of sexual intercourse: A survival analysis of virginity among youths aged 13 to 18 year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6(1), 42-48. https://doi.org/10.1016/S1054-139X(99)00041-5
crossref
LeBlanc, M., Côté, G., & Loeber, R. (1991). Temporal paths in delinquency: Stability, regression, and progression analyzed with panel data from an adolescent and a delinquent male sample. Canadian Journal of Criminology, 33(1), 23-44. https://doi.org/10.3138/cjcrim.33.1.23
crossref
Lee, C. H., & Shin, J. S. (2017). The effects of Internet pornography experience and self-control on adolescents’ sexual violent behavio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4(5), 1-29. https://doi.org/10.21509/KJYS.2017.05.24.5.1
crossref
Lee, E. J. (1998). The influence of life event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juvenile delinquency. Studies on Korean Youth, 28(2), 115-137.

Lee, E. J.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juvenile sexual offenders under probation and their parents.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1), 109-131. https://doi.org/10.18205/kpa.2009.14.1.006
crossref
Lee, G. W. (2000). The study on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Lee, I. H. (2015). Easy flow regression. Seoul: Han Narae.

Lee, J. S., Kim, J. Y., & Hwang, S. I. (201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exual violence: Focusing on pornography contact,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20(1), 187-210. https://doi.org/10.19034/KAYW.2018.20.1.08
crossref
Lee, K. J. (2020, April 12). "Voice of "Release identities of minors" including a large number of teenage perpetrators of the "Room N" incident. SeGye Ilbo. Retrieved September 05, 2021, from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412513574

Lee, M. H. (1998). The effect of sexism and knowledge on gender conflict through contact with pornographic med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Lee, S. H., & Sung, Y. S. (2001). Internet pornography and adolescents deliquency in cyberspace. Korea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3(1), 111-124.

Lee, S. S. (2004). The conditioning effects of internet pornography on youth's sexual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2), 23-44.

Lee, Y. S., & Park, K. R. (2004). A study on the concept and cause of sexual abuse perceived b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6(4), 157-166.

Lim, S. J. (2012).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on adolescent sexual harassment attitude: Mediating of empathy.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3), 347-361. https://doi.org/10.18205/kpa.2012.17.3.003
crossref
Lo, V. H., & Wei, R. (2005).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Taiwanese adolescent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9(2), 221-237.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902_5
crossref
Loeber, R., & Stouthamer-Loeber, M. (1986). Family factors as correlates and predictors of juvenile conduct problems and delinquency. Crime and Justice, 7, 29-149. https://doi.org/10.1086/449112
crossref
Malamuth, N. M., & Check, J. V. (1985). The effects of aggressive pornography on beliefs in rape myths: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3), 299-320. https://doi.org/10.1016/0092-6566(85)90021-2
crossref
Marshall, W. L., Hudson, S. M., & Hodkinson, S. (1993).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bonds in the development of juvenile sex offending. In H. E. Barbaree, W. L. Marshall, & & S. M. Hudson (Eds.), The Juvenile Sex Offender (pp. 164-181). New York: Guilford Press.

Min, H. Y. (1992). The relation between juvenile deliquency and parent - 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3(1), 112-124.

Ministry of Education. (2019). 2019 1st Survey of school viol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0). 2010 Survey on sexual violence.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ffitt, T. E. (1993).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4), 674-701. https://doi.org/10.1037/0033-295X.100.4.674
crossref pmid
Nagin, D. S., & Farrington, D. P. (1992). The stability of criminal potential from childhood to adulthood. Criminology, 30(2), 235-260.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2.tb01104.x
crossref
Nam, M. A., & Hong, B. S.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exposure to internet pornography and deviant sexual activities: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of perceptional facto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9), 93-124.

Nam, Y, O. (2004). A study on the effect of psychosocial trait on sexual delinquency and mental health of the adolescent on internet pornograph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5(4), 1139-1153.

Nam, Y. O., & Lee, S. J. (2002).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cybersex addiction, exposure to cyber obscenities and cyber sexu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9(3), 185-212.

Noh, K. Y., Park, D. J., & Kwon, M. S. (2013). Addiction disposition and intention to use sexually explicit material on the Internet: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7(4), 168-191.

OK, S. K. (2021, May 14). Two middle school students accused of sexual assault on a middle school girl in Incheon...Appeal sentencing. Newsis. Retrieved September 03, 2021, from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514_0001441703

Romito, P., & Beltramini, L. (2011). Watching pornography: Gender differences, violence and victimization. An exploratory study in Italy. Violence Against Women, 17(10), 1313-1326. https://doi.org/10.1177/1077801211424555
crossref
Shin, K. S. (2003). A qualitative study o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sexual abusers of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Song, W. Y. (2012).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sexual offender`s family environment and sexual addiction, and loneliness as a mediating variab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7(1), 217-227.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12
crossref
Starzyk, K. B., & Marshall, W. L. (2003). Childhood family and personological risk factors for sexual offending.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8(1), 93-105. https://doi.org/10.1016/S1359-1789(01)00053-2
crossref
Statistics Korea. (2018). 2018 Youth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05, 2021, from http://kostat.go.kr

Tangney, J. P., Baumeister, R.,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
crossref pmid
Vincent, J. (2014). Do attitudes of pornography influence perceptions of rape myth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Orlando, Florida, USA.

Yang, D. K., & Lim, Y. S. (1998).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er on the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4(1), 55-74.

Yoon, H. J., Ha, J., & Choi, S. H. (2016).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juvenile sexual offenders on probation. Korean Probation & Parole Academy, 16(1), 131-169.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