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6(3); 2018 > Article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

Abstract

This study is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teachers that could to help develop personal development in home economics teacher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0 home economics teachers who belong to either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o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essociation. The survey was processed with frequency analysis, standard deviation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2.0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home economics teachers’ conscious teaching, they build their own identities as experts, and have a vocation and sense of duty for their job. The culture of research and investigation community to study education and to maintai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ssociations has evolved. Second, home economics teachers have the ability to analyze and manage students’ demands in order to perform teaching activities, and understand individual student characteristics. They understand new study trends and curriculum, develop sources for class, us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and create students’ reflec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y grow their learning ability as specialist and study in self-oriented ways.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교사들은 교직 생활을 하면서 그들만의 독특한 생각과 가치관, 행동 양식을 가지고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며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 한다. 축적된 교사의 생각과 가치관, 행동 양식 등은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과 교육 방식을 형성하여 교실 안의 학생들에게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수행 방식은 곧 교육의 성패로 연결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교육을 위해서 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에 관한 수행 방식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필요한 일이다. 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에 관한 수행 방식에 대해 연구하면 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알 수 있으며, 현재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다. 나아가 미래 교육의 발전 방향을 포괄적으로 구상할 수 있어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도움을 준다.
가정과교육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가정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에 대한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학생 이해 및 생활지도 방식, 수업 수행 방식, 학습 수행 방식,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을 알면 가정과교육의 미래 발전 방향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가정과교육에서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이나 ‘교직 활동 수행 방식’이라는 용어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으나 교직 의식과 교직 수행 방식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Chae & Yoo, 2007; Cho, 2016; Cho & Chae, 2005; Choi & Jang, 2006; Go & Chae, 2010; Go & Yu, 2011; Ju & Yoo, 2016; Kim & Chae, 2003; Lee & Yoo, 2016; Nam & Chae, 2008; Park, 2005; Park, 2006; Park, Kim & Chae, 2007; Park & Song, 2015; Son & Cho, 2003; Yang & Yoo, 2017; Yu & Chae, 2009)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에 속하는 요소와 교직 활동 수행에 속하는 요소에 대하여 각각 연구하였으며, 주로 각 학교에 흩어져 있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가정과교사들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방식에 대해 전반적인 조사를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의 교직에 관한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가정과교사가 지닌 특징을 이해하여 가정과교사의 성장과 가정과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사들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에 대해 전체적이면서 세부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다수의 가정과교사들이 함께 모일 기회인 연수나 학회 등에 참여하여 각 지역에 있는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 가입한 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정과교사 문화의 토대가 되는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 문제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가정과교사의 교직에 관한 의식(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가정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에 대한 의식)은 어떠한가?
나. 가정과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 방식(학생 이해 및 생활지도 방식, 수업 수행 방식, 학습 수행 방식,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은 어떠한가?

이론적 배경

1. 교직 의식의 개념과 의의

교직 의식이란 학교 교육제도와 함께 시작된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교사의 의식(Lee, 2000)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업 의식은 개인이나 사회 집단이 직업 또는 일에 대해 갖는 관념이나 느낌 또는 판단을 말하며, 직업관, 직업 가치관, 진로의식, 취업의식 등의 다양한 개념과 혼용되어 사용된다(Lee, 2008). 구체적으로는 특정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가진 직업에 관한 의식이나 태도로서 직업윤리, 직무 만족뿐 아니라 조직에서 요구하는 당위적 측면의 직업의식을 포함하고 있다(Lee & Dokgo, 1995).
사회는 다양한 직업으로 구성되며 직업에 관한 의식은 연령과 환경, 시대와 사회의 변화 그리고 한 개인이 종사하는 직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직업의식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사회적 관점에서 논의됐으며, 사회, 문화, 경제의 변화에 따라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직업의식을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직업의식을 구성하는 요인 역시 직업군별로 달라 범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정형화하기 어렵다(Kim, 2002). 이를 구체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보면 직업군인의 직업의식은 책임성, 전문성, 단체성, 군인정신으로(Lee & Dokego, 1995), 비서직은 전문성 인식, 직무 헌신도, 직업에 대한 긍지, 근속 의지로(Kim, 2002), 사회복지 전문직은 직업의 가치, 직업에 대한 자세로 구성된다고 보았다(Lee, 2007). 교직 의식과 교직 의식을 구성하는 요인들 역시 개인이나 사회적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직 의식이 교직에 대한 소명의식과 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고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소명에 대한 논의는 종교학에서의 자신을 넘어선 초월적 존재에 대해 부름을 경험하는 것이며, 특별한 삶의 역할 방식을 지향하거나 타인을 지향하는 가치와 목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동기의 근원이 된다(Dik & Duffy. 2009). 전통적으로 소명의식은 도덕적으로 존경할 만한 일을 할 수 있는 종교적 영감으로 묘사되었지만 점차 종교적 의미는 상실되고 보다 폭넓은 대중화된 관점으로서 더 넓은 세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Hall & Chandler, 2005).
개인은 소명의식을 통해 자신이 수행하는 일을 삶의 목적과 의미로 지각하기도 한다(Oh, 2013). 이에 비추어볼 때 교직에 대한 소명의식은 교사로서의 직업을 천직으로 여기고 헌신하며 교육자의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내적인 동기를 부여한다. 소명의식을 가진 교사는 자신의 삶에 대해 목적과 의미를 부여하게 되고, 학생들을 비롯한 타인을 위해 도움이 되기 위한 삶을 살아간다. 그리고 교육자로서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서 자기 일에 최선을 다해 헌신하고 몰입하게 된다.
교직에 관한 소명의식은 교사의 정체성과 관련이 있으며, 소명의식이 높으면 교직과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다. 소명의식이 높은 교사는 교직 활동 중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며, 이는 교사 개인뿐 아니라 교육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Jang & Lee, 2014). Song, Yang과 Lee (2016)는 교직에 대한 소명의식은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성, 그리고 삶의 만족과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연구를 통해 보여주었다. 즉, 교직에 대한 소명감이 높은 교사는 교사의 임무를 중요시하여 그 책임을 다하며, 교직에 대한 가치와 전문성에 대해 높이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직에 대한 소명의식이 높은 교사일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으며, 직업에 대한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있었다.
교직에 대한 소명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사의 정체성은 교사로서의 목표와 기준을 포함한다. 그리고 교사의 실천 행위에 영향을 주고, 매 순간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핵심요소가 된다. 교사의 정체성이 형성되면 자신뿐 아니라 교수 전문성의 특성과 본질에 대해서도 잘 알게 된다(Jung, 2013). 이러한 교사의 정체성은 가정과 학교, 교사양성과정, 정책적 교육환경과 교육기관의 문화와 같은 상황 속에서 동일하게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되어 간다(Park, 2006; Park & Lee, 2010). 그리고 교사의 정체성은 다양한 교수 행위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학생에게 전달되고 그들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정체성이 잘 형성된 교사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어떠한 지원을 할 것인가에 대해 지속해서 반성하고 노력하며, 자신의 노력을 통해 학생이 발달하는 모습을 보며 교사로서 보람과 자긍심을 느끼고 존재의 의미를 찾는다(Pak & Lee, 2010).
우리나라의 교육기본법 14조는 “학교 교육에서 교원의 전문성은 존중되며 교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가 우대되고 그 신분은 보장된다.”고 명시하여 교직이 전문직임을 나타내었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1997). Ahn, Nam과 Lee (1999)는 교직을 직업적인 특성상 전문직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에 대한 근거로서 교직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이론적 배경을 갖춘다는 점, 자체통제와 자체육성을 위해 노력하는 자율적 자치단체를 수반한다는 점, 어느 전문직보다도 봉사적 사명이 필요하다는 점, 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윤리강령이 있다는 점, 장기간의 준비 교육과 현직 연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Choi (2003) 역시 교직의 중요성과 교사로서의 사명감을 인식하고 교직에 헌신하는 점, 일체감이 있는 교직 단체를 조직하고 윤리강령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동료와 협동적 관계를 유지하는 점, 개인뿐 아니라 집단의 자율이 보장된 점을 들어 교직을 전문직으로 인식하였다.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이란 교사가 자신의 가르치는 역할에 대해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직업에 대한 본연의 가치와 의미를 깨닫게 되는 것이다. Shön(1983)은 교사의 반성을 ‘행동 중 반성(reflection-inaction)’과 ‘행동 후 반성(reflection-on-action)’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개념을 수업하는 교사에게 적용하면, 교사는 수업 중 자신의 가르치는 행동을 반성하고, 수업을 마친 후 자신의 가르침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존재로서 이러한 성찰적 과정을 통해 교사는 전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고 전문가로 성장하게 된다(Song, 2015). 즉, 교사는 학생과 상호작용하며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지며, 수업 후 교실 문을 닫고 나온 후에도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성찰하여 그에 대한 피드백을 다음 수업에 적용하며 끊임없이 수업에 대한 전문성 성장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일은 교사가 전문직으로서 자율성과 지식을 토대로 한 반성적 성찰 과정을 통해 자신의 교직 활동에 대해 의미와 가치를 갖는 일이다(Song, 2015). 이와 마찬가지로 전문적 정체성이 형성된 가정과교사라면 자신의 가르침이 학생들에게 의미 있도록 노력하고 실천할 것이다. 즉, 자신의 수업에 대해 반성적으로 성찰함으로써 교수 활동을 개선하며, 자신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알고, 교수 활동에 대해 확고한 관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Yu & Chae, 2009). 전문적 정체성이 형성된 가정과교사는 학생 스스로 삶에 대한 의미를 깨닫고 변화를 줄 수 있는 가치 있는 수업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2. 교직 활동 수행 개념과 의의

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이란 교사의 주요활동인 수업, 생활지도, 행정 업무를 수행하는 것 (Lee, Ryu, & Yun, 2001)으로서, 교사가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역할, 학생과의 관계, 학교조직에서 기대되는 역할 등을 말한다(Han, Park, Seo, & Jeon, 2008). Kim (2003)은 교사의 전문성을 교과에 대한 지식, 교과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수 능력, 학생 상담 및 지도 능력, 학급 관리 능력, 교육적 안목·가치·습관·태도, 평생 학습자로서의 자기 계발 능력 등의 총합을 가리킨다고 했다. 따라서 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은 교사의 전문성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함으로써 교직 활동 수행 능력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원 전문성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교사들이 1년에 60시간 이상의 연수를 이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정부는 교사들이 학위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그 결과를 연구 점수에 반영하여 인센티브를 제공한다(Song & Hur, 2011).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써 ‘교사학습기회(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가 있다. 교사학습기회로는 자격연수, 승진·승급을 위한 연수, 직무 연수, 자기 연찬 등과 같은 현직 교육을 비롯하여 교육 기관에서의 전문적 지식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일반적인 장학 활동, 학술 토론회, 멘토링, 워크숍 등과 같은 공식적 학습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들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보다 의무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고 구조적으로 만들어진 상황을 다루기 때문에 실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상황과 동떨어진 내용을 다루기도 하므로 교실에서 적용되는 경우가 드물었으며, 교사들이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Seo, 2006).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료협력, 네트워킹, 코칭, 학습공동체, 학교 내 교원 연구 모임, 학교 밖 교원 모임을 포함한 학습 모임 등과 같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협력하고 토론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비공식적 교사학습기회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Park & Kim, 2015; Park & Song, 2015; Song & Choi, 2007).
교사학습기회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Fullan (1995)은 ‘강제적인 학습상황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변화의 조건들을 경험하도록 하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인 학습의 총합’이라고 하였다(Hwang, 2016). Song과 Choi (2007)는 ‘교육개혁이나 정책에서 제시한 표준화된 교과 내용이나 교수법을 배울 수 있는 공식적인 학습기회와 동료 교사들과 대화하고 토론하면서 공식적인 학습기회의 한계를 채울 수 있는 비공식적인 학습기회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Jeon과 Jeong (2013)도 대학원 과정이나 직무 연수 등의 의무적인 학습 참여로서의 공식적 학습기회와 동료 교사의 수업 참관 기회와 수업에 대하여 자유롭게 자문을 주고받는 등의 자발적 활동에 의한 비공식적 학습기회라고 정의하였다.
위의 정의를 종합하면, 교사학습기회란 장소나 시간이나 조건과 관계없이 교육을 위해서 교사가 학습할 수 있는 공식적·비공식적 학습기회를 의미한다. 교사들은 학습기회를 통하여 자신의 수업을 돌아보고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동료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감으로써 수업에 대한 역량과 교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Bryk 등(1998)은 교사들이 동료관찰에 참여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나 동료 교사들에 의해서 자신의 교수학습이 엄격하게 평가받을 때 교사들은 자신의 교수학습을 되돌아보고 철저하게 분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Goddard & Moram (2007)이 실시한 연구에서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동료 교사 사이의 협동적 활동은 본인이 가르치는 분야의 이론이나 교수학습관점에서 다양한 지식을 얻고 능력을 향상 할 수 있다고 밝혔다(Song & Hur, 2011). 교육학자들은 교사들이 협력하여 학습하고 배운 것을 현장에서 실천하는 것은 교사의 효능감 뿐만 아니라 교사의 수업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얻었으며, 이로 인해 교사학습공동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교사학습공동체는 전문가학습공동체, 전문가공동체 등의 용어들과 호환되어 사용되고 있다(Oh, 2014).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는 여러 학자들(Lee, 2011; Lee & Yoo, 2016; Oh, 2014; Seo, 2008)을 통해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Table 1). Seo (2008)는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하여 교사의 학습 및 학생의 학습 증진을 위해서 협력과 반성적 실천을 통한 학습을 특징으로 하는 교사들의 결속으로서 공동체에 속한 교사들은 가치, 생각, 정서, 규범을 공유한다고 하였다. Oh (2014)는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위해서 자발적으로 구성된 공동체로, 정체성과 유대감을 공유하고 협력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교 내외의 공식 또는 비공식적인 조직이라고 보았다. 이와 비슷한 목적을 가진 학습공동체에 대해서 Lee (2011)는 학습이 주목적인 개인들이 모여 만든 공동체로, 공동체를 구성하고 유지하며 발전시키는 데 학습이 핵심적인 기능을 하며, 학습자들이 지속해서 상호작용하며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함으로써 개인과 공동체가 동시에 성장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Lee와 Yoo (2016)는 가정과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에서 교사를 전문가 집단으로 보았으며, 교사학습공동체는 전문가인 교사들이 수업개선과 학생들의 학업 향상을 목적으로 가치와 신념을 공유하여 서로 협력하고 지속해서 상호작용하며, 개인 실천을 공유하고 수업의 변화를 가져오는 공동체라고 밝혔다.
교사학습공동체의 한 갈래로서 ‘교과교육연구회’가 있다. K. A. Kim (2007)S. C. Kim (2007)은 교과교육연구회란 전문성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는 교사들이 ‘교과’를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조직으로서, 개인 학습자가 지식의 공급자이면서 동시에 수요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지적으로 성장하는 자율적인 집단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교과연구회에 속한 교사들은 특수 집단 내에서 생성된 지식을 축적하고 공유하는 교사의 전문적 공동체로서의 특성을 보이며, 자발적이고 순수한 의지를 갖고 이상을 공유하면서 결속된 학습자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했다(K. A. Kim, 2007).

3.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관련 선행연구 고찰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관련된 선행 연구로서 가정과교육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의식에 대한 연구(Park, 2006), 문헌 고찰을 통해서 가정과교사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 연구(Chae, Lee, & Yoo, 2010)가 있다.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 교과 운영과 집중이수제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Son과 Cho (2003)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기술·가정」 교과를 전담지도하고 있는 가정과교사들이 비전공 영역의 기능과 지식 부족, 학생들의 학습 흥미 저하 등의 문제를 겪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Park (2005)은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를 가르치는 가정과교사의 교수행동, 교수 자신감, 교수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술·가정」 담당 교사 모두 자신의 전공 영역을 수업 할 때 교수 행동 수행에 적극적임을 밝혔다. Choi와 Jang (2006) 역시 제7차 「기술·가정」 교과운영에 대한 교사의 애로점, 교수 활동 자신감 및 만족도 등의 연구를 통해 Son과 Cho (2003), Park (2005)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가정과교사공동체를 대상으로 하여 가정과교사의 의식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Yang과 Yoo (2017)는 가정과교사, 가정교과교육 전문가와 함께 전문가 집단을 만들고 실천적 추론과정에 따라 가정교과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설정하였으며, Park (2006)은 연구를 통해 가정과교육에 대한 비전 창출과 공유,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증진, 대외적인 정책개발과 지속적인 노력을 위해 지역 단위 가정교과연구회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가정과교사 참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리고 가정과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 방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학생이해 및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들에는 중학생의 가정과교사 특성 지각과 가정과 수업을 통한 인성적 도덕성에 관련된 연구 (Kim & Chae, 2003),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에서의 도덕성 교육에 대한 지도 수행정도에 관련한 연구(Cho & Chae, 2005)와 가정과교사의 이타적 태도와 도덕성 지도 수행 정도에 관한 연구 (Park, Kim, & Chae, 2007) 등 학생이해 및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가 있었다.
한편, 가정과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수학적 지식을 익히고, 꾸준히 자기장학을 하며, 수업에 관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내용을 담은 연구는 매우 많았다. Yu와 Chae (2009)는 가정교과교육학(H-PCK) 지식에 관한 주제로 연구한 결과 가정과교사들은 학습자와 사회의 변화를 파악하고, 교실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로서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실천적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교과교육 연구회, 대학원, 교사 모임 등의 연수를 통해 수업 전략 지식을 형성하고, 학생활동 중심 수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Go와 Yu (2011)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와 면접을 병행한 결과 대부분의 가정과교사가 실천적 문제 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동료 교사와 자료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실천적 문제 수업을 촉진시켰다. 하지만 수업 시수 부족,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시행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Go와 Chae (2010), Nam과 Chae (2008)는 중학교 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장학에 관련한 연구를 실행하여 가정과교사들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동료 교사와 수업 정보를 공유하는 문화 확산과 가정교과교육철학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원하였으며, 장학을 통하여 가장 많은 도움을 얻는 분야는 교수 학습 방법 분야임을 보여주었다. Lee와 Yoo (2016)는 가정과 교사학습 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관해 연구한 결과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 교사학습 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수업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성찰적 활동이 이루어져 더 좋은 수업을 위해 노력할 수 있었으며, 가정과교사로서 느끼는 어려움에 서로 공감하며 위로받고 의지하고 있음을 밝혔다.
실천적 추론 수업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Cho (2016)는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천적 추론 수업을 의생활 영역에 적용하여 실천적 추론 수업은 강의식 수업 보다 중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성향을 기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실제 상황을 토론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되어 학생들이 상황과 환경, 사회를 고려하여 개성을 살리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Chae, Yoo와 Park (2007)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하여 가정교과의 실천적 추론 방식이 학생들에게 가정과 사회에 퍼져 있는 잘못된 고정관념을 깨고, 가정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가족끼리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주며, 행복한 가정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교과,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교과로 인식하게 하는 등 가정교과의 인식을 진보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줬다. 그리고 Kwon, Lee와 Lee (2011)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가정과교사들이 지각하는 교육과정 관점이 수업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정과수업이 과거에 비해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평가 방식을 활용하며, 학생 중심 수업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정과교사들은 좋은 수업을 참관하고 수업 자료를 공유하는 것이 수업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가정과교사공동체를 대상으로 하여 가정과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과 관련한 연구들 중 Lee와 Yoo (2016)는 가정과교사들과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축하여 가정과교사의 성찰적 실천을 통해서 가정과교사들이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Ju와 Yoo (2016)는 가정교과교육 전문가와 교사가 함께 공동체를 구성한 후 숙의 과정을 통해 비판과학 관점의 통합 지향적 가정교과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가정교과연구회의 필요성에 관해 언급한 연구 중 Nam과 Chae (2008)의 연구 결과에서는 가정과교사들의 가정교과연구회 활동이 가정교과 수업의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인식하고, 가정교과연구회를 통한 정보공유의 확산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Yu와 Chae (2009)의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사들은 수업준비를 하면서 가정과교사들과의 네트워크를 갈망하였으며, 그 결과 가정교과연구회를 통해 가정교과교육학 지식을 공유하고 실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Go와 Yu (2011)는 심층면접의 결과로서 가정과교사들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개선을 위해서 동료 교사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자료를 교환할 수 있도록 가정과교사 모임을 활성화하고 이 수업과정에 관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고등학교에서 가정과를 가르치며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 가입한 가정과교사이다. 표집방법으로는 가정과교사가 밀집해 있는 경기, 경남, 전북, 충북 지역 가정교과연구회 모임이 있는 날 찾아가 모임에 참석한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경북 지역에서는 가정교과연구회 회원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응답자는 회원이 많은 경기도에서 설문조사 참여자 인원이 가장 많았으며(52.7%), 경남이 그 다음 순(18.0%)이었다. 근무하는 학교 급은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76%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국·공립에 근무하는 교사는 86.7%의 비중을 나타냈으며, 학부 때 가정교육을 전공한 교사는 108명으로 응답자의 72%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2와 같다.

2. 조사 도구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 조사(Lee, Ryu, & Yun, 2001)를 통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사 도구는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와 교직 활동 수행 방식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로 구성하였다.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가정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에 대한 의식’이다. 그리고 가정과교사의 교직 수행 방식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학생 이해 및 생활지도 방식’, ‘수업 수행 방식’, ‘학습 수행 방식’,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다.
조사 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은 선행 연구를 거쳐서 영역별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현재 대학의 가정과교육 전문가 1명과 면접 및 이메일을 통하여 이해하기 힘들거나 불명확한 문항들은 명확하게 수정하였으며, 영역별로 필요한 문항들을 보강하여 예비 조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예비 조사 도구 개발 기간은 2017년 6월 초부터 7월 초까지로 한 달 동안 가정과교육 전문가를 5차례 이상 직접 방문하였고, 15차례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예비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 검사를 하였다. 조사 도구의 문항의 척도는 대부분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매우 그렇다’(5점), ‘그렇다’(4점), ‘보통이다’(3점), ‘그렇지 않다’(2점), ‘전혀 그렇지 않다’(1점)이다.

가.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

Hall은 전문 조직의 활용, 공공에 대한 서비스 신념, 자기 규제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을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5가지 요소로 제시하였고, Park (1994)은 Hall의 연구에 기초하여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는 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Choi와 Oh의 연구에서도 사용되었으며(Choi, 2003; Oh, 2013), 본 연구에서도 이 척도를 가정과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 도구는 Table 3과 같으며, Oh (2013)의 특수교사의 직업 정체성과 심리적, 사회적, 직업적 적응의 관계 측정을 위한 설문지 문항, 교사와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Choi, 2003)에서 개발한 조사 도구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가정과 수업 방법과 수업 실연(Chae, Park, Kim, Yu, Han, & Heo, 2015), 가정과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교사들의 수업문화(Kwon, Lee, & Lee, 2011)와 교사학습기회와 교사 전문성의 관계(Hwang, 2016), 교사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Seo, 2013),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들의 교수·학습지도에 관한 직무만족도 연구(Koh, 2008), 대구·경북지역 「기술·가정」 담당 교사의 수업 운영 실태와 개선 방향(Kang, 2004)에서 각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도구를 종합하여 수정하였다(Table 3).

나. 가정과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 방식

가정과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 방식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 도구는 Chae, Yoo와 Park (2007)의 가정과수업방법과 수업 실연, 가정과교사 자격기준(Wang & Kim, 2008), Nam과 Chae (2008)의 중학교 가정교사의 교과 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수행 실태, Hwang (2016)의 교사학습기회와 교사전문성의 관계, 그리고 Ki와 Chae (1998)의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육에 대한 견해와 역할 수행 및 전문성 수행에 관한 연구에서 각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도구를 종합하고 수정하였다(Table 4).
예비 조사 도구를 10명의 현직 가정과교사들을 통해 예비 조사 한 후 최종 요인 분석을 한 결과 51개의 문항이 9가지 요인들로 묶였다. 각 요인에 속한 문항의 성격과 내용에 따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에 해당하는 요인(요인 1~요인 5)과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에 해당하는 요인(요인 6~요인 9)으로 분류하고 각 요인의 명칭을 붙였다. 요인 1은 ‘학생 이해, 요인 2은 ‘학생 생활지도’, 요인 3은 ‘수업 수행 방식’, 요인 4는 ‘학습 수행 방식’, 요인 5는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요인 6은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요인 7은 ‘가정교과연구회에 대한 의식’, 요인 8은 ‘탐구공동체문화에 대한 의식’, 요인 9는 ‘가정과 기술 병합 교과에 대한 의식’으로 명명하였다.

다. 조사 도구 신뢰도 검사

요인분석을 통해 묶인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을 기초로 하는 조사 도구들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수행 활동 방식을 탐색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7월 15일 전북 전주에 위치한 우석중학교에서 개최된 전북 가정교과연구회에 참가한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였으며, 8월 말까지 진행되었다. 그러나 경북 가정교과연구회에 가입한 가정과교사들은 설문조사 기간 동안 연구회 모임이 다른 지역에서 워크숍 형태로 진행되어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30명의 가정과교사에게 이메일을 발송하였고, 이중 18부가 회수되었으나, 그중 3부는 모든 설문 통계 처리 기간이 끝난 후 송부 받아 분석 자료로 활용되지 못하였다. 총 228부가 배부되었고 그중 153부가 회수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설문 결과를 엑셀 파일로 저장한 후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작업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은 연구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신뢰도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Table 6).

연구 결과 및 해석

1.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

가정과교사의 문화를 구성하는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은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가정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 가정과 기술 병합 교과에 대한 의식 4가지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1)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사라는 직업에 대하여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의 전체 평균은 4.50이며, 그에 따른 하위 요소인 사회 헌신에 대한 신념은 4.47, 가정과교육에 대한 신념은 4.52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자세히 보면 사회적 헌신에 대한 신념은 가정과교사에 대한 평가 기준이 “학생들을 얼마나 잘 도울 수 있는가” 라고 생각하며(4.59), 만약 가정교과가 없어진다면 우리 사회는 더 불행해질 것으로 생각하였고(4.57), 가정과교사로서 우리나라 가정의 행복을 위해 꼭 필요한 존재(4.25)라고 여겼다.
가정과교육에 대한 신념 면에서는 가정과교육이 현재의 가족과 사회를 이상적인 가족과 사회로 변화시킬 수 있고(4.67), 청소년들이 사회에 만연해 있는 거짓된 믿음을 비판하여 자유로운 삶(4.65), 주도적이고 자율적인 삶(4.63)을 살게 한다고 믿고 있었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희망을 갖고 의욕적으로 생활하게 한다고 믿었다(4.14) (Table 7).
이와 같은 결과는 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가정교과의 이미지에 대해서 설문조사한 Park (200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교과에 대한 이미지를 실생활과 미래 생활에 도움이 되며, 사회에 기여하고, 사회 변화를 주도하는 매우 중요한 교과로 인식하였으며, 앞으로 가정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이 가정과교육을 축으로 하여 가족 문제와 사회 문제가 해결되고 범죄가 줄어들어 삶에 꼭 필요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사의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의 평균은 4.42로 높은 편이었다(Table 8).
직업을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찾은 사람은 삶을 더욱 의미있게 만드는 자기실현의 장으로서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갖는다고 하였으며(Joung & Son, 2016), 가정과교사들의 사명의식이 높다는 이와 같은 결과는 가정과교사로서의 정체성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된다.

3) 가정교과연구회 문화

가정교과연구회에 가입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의 가정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의 전체 평균은 4.15로 비교적 높게 의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하위 요소로서 교과연구회 목표와 방향에 대해서는 4.14, 교과연구회 교사의 관계는 4.27, 전문성 개발은 4.26, 탐구공동체에 관해서는 4.3으로 나타났다(Table 9).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교과연구회 방향과 목표에 대한 항목에서는 가정과교사들은 연구회를 통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4.17)와 연구회에서 추구해야 하는 목표 등에 관해(4.15) 자주 논의하고 있으며, 서로가 가정과연구회의 비전과 방향에 관하여 건설적으로 비판하고 해결점을 모색하고 있었다(4.10). 교과연구회 교사들과의 관계 면에서는 좋은 가정과수업을 위해 함께 협의하고(4.51), 소통이 활발한 편이며(4.15), 어려운 일이 생기면 자발적으로 함께 협력하였다(4.14).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해 우수한 수업 지도안을 공유하고 있으며(4.32), 가정교과연구회가 자신의 전문성 개발에 도움이 된다(4.19)고 응답하였다.
탐구공동체로서의 교과연구회 문화와 관련된 문항들에서는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사들의 실천적 노력을 통해 민주적이고 정의로운 사회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고(4.34), 지금까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인습과 전통, 이데올로기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4.05). 그리고 교육정책과 학교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정치, 경제, 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관심을 갖고 깊이 생각하였고(4.01), 교육과 관련된 지식이나 교육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3.98), 학교 교육, 교육정책, 사회구조의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이를 비판하고 있었다(3.79).
위의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가정교과연구회의 목표와 방향 그리고 특징은 선행연구(Lee, 2011; Lee & Yoo, 2016; Oh, 2013; Seo, 2008)에서 밝힌 교사학습공동체의 목적과 특징과 일치하였다. 가정교과연구회의 교사들의 목표와 방향은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의 학습증진(Lee, 2011; Nam & Chae, 2008)과 전문성 신장(Oh, 2014), 수업 개선 (Lee & Yoo, 2016)을 목적으로 하는 점과 일치하였다. 또한, 가정교과연구회 구성원들의 관계는 교사학습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가치와 생각, 정서, 규범을 공유(Lee, 2011; Lee & Yoo, 2016; Seo, 2008)하고, 지식을 서로 공유하고(Lee, 2011), 연구회 구성원들끼리 지속해서 상호작용하며 협력하는 특징을 갖는다는 점(Oh, 2014)과도 일치함을 볼 수 있었다.

4)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에 대한 의식

7차 교육과정 이후부터 가정과 기술은 교과의 성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이유로 병합 교과로 묶이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현장에서 가정교사들의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으로 인한 정체성 혼란을 묻는 질문에서는 기술과 수업을 한 경험이 있는 교사가 84.7%나 되었고 이중 절반이 넘는 63%의 교사가 가정과교사로서 기술을 가르치며 자괴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대답하였다(Table 10).
가정과교사로서 겪었던 기술과교사와의 갈등에 대한 응답 세부 내용으로 교수 학습 방법, 팀티칭, 가정과 기술 교사 간 소통의 어려움, 예산 사용 문제, 시수, 수업의 질 저하 등이 있었다.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에 대한 의식을 측정하는 설문에서는 현재와 같이 가정과 기술 두 교과가 병합된 상황에서는 각 영역별로 가정과교사와 기술과교사가 분리해서 가르쳐야 한다는 인식(4.36)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가정과 기술을 분책해야 한다는 인식(4.34), 가정교고와 기술교과를 분래해야 한다는 인식(4.23) 순이었다(Table 11).
본 연구에서의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에 대한 문제점은 여러 선행 연구 (Choi & Jang, 2006; Kim, 2003; Kwak & Cho, 2002)에서 제시한 문제점과 일치하고 있었다. Kwak과 Cho (2002)는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교과 운영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가정과교사와 기술과교사 상호 간의 의견 대립으로 교과 운영이 원활하지 못하고 담당 교사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교과 교육의 질을 낮게 한다고 하였다. Choi와 Jang (2006)은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비전공 영역의 기능 부족, 비전공 영역의 지식 부족, 학생들의 학습 흥미 저하, 수업 자료 부족, 평가에 대한 부담을 꼽았다. Kim (2003)은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으로 인해 교육현장에서는 부전공 연수의 강요와 연수 거부 사태, 교사의 전문성 약화, 교사 수급 혼란, 교과 전공 및 연계성 미흡, 소규모 학교에서 교과 운영의 파행, 교과 경시 풍조 확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고 우려하였다. 이렇게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으로 발생한 문제점은 10여 년이 지난 후에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가정교과와 기술교과의 병합으로 인한 문제를 지금이라도 해결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촉구된다고 볼 수 있다.

나. 가정과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 방식

가정과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 방식은 학생 이해 및 생활지도 능력, 수업 수행 방식, 학습 수행 방식,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으로 알아보았다.

1) 학생 이해 및 생활지도 능력

가정과교사들의 학생 이해 및 생활지도 능력의 전체 평균은 4.23이었으며, 그에 따른 하위요소인 학생 이해는 4.38, 생활지도는 4.0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Table 12). 이를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학생 이해 측면에서는 학생들을 존중하고(4.56),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들어주며(4.48), 학생들과 상호작용하고 있었다(4.38). 또한, 수업할 때 학생들끼리 상호작용할 기회를 주며(4.35), 학생들에게 잠재된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주고(4.34), 학생 개인의 독특성을 인정하고 있었다(4.14).
생활지도 면에서는 학생들이 친구들과 어떻게 지니고 있는지 알고 있으며(4.38), 학생들의 정서적 특성을 알고(4.29), 학생들의 이름을 외우고(4.19), 학생 개인별로 반응하였다(4.10). 그러나 학생들의 가정환경을 알고(3.76), 성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3.68)은 다른 문항들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 참여한 가정과교사들이 Chae 등(2015)이 언급한 교실친화적 가정과교사의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실친화적 교사란 교과가 추구하는 방향과 학생의 요구가 무엇인지 신중하게 파악하고 급격히 변화하는 복잡한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통합하여 교육적 가치와 신념을 갖추고 성숙한 태도로 학생을 교육시킬 수 있는 전문적 소양과 능력을 갖춘 교사를 의미한다(Choi, 2008).

2) 수업 수행 방식

가정과교사들의 수업 수행 방식에 관한 측정 결과 가정과교사들은 교과서를 분석하고 재구성(4.43)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가정과의 핵심 개념과 원리, 탐구 방식을 이해하였다(4.38). 또한, 교과의 최신 동향에 대해 잘 알고(4.35) 있었으며, 수업시간에 반성적으로 생각하고, 읽고 말하고 쓰는 활동을 하며(4.33), 적합한 교수학습 이론을 적용하였다(4.03). 교과 운영을 위해 지역사회 참여를 유도(3.95) 하거나 가정과수업 자료 개발을 위해 노력(3.93)은 다른 문항과 비교하여 낮은 수치를 보였다(Table 13).
Kim (2008)은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는 교과의 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는 것뿐 아니라 학생 개인의 특성을 파악한 후 학습 상황에 맞게 교과 내용 지식을 재구조화하여 수업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원리를 적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제작하여 적절히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위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보면, 가정과교사들은 효과적인 수업을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Kim, 2008).

3) 학습 수행 방식

가정과교사들의 학습 수행 방식에 대한 전체 평균은 4.12이며 하위요소인 전문직으로서의 학습 수행 방식은 4.13,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은 4.10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정과교사들은 전문직으로서의 학습 수행을 위해 정기적으로 가정교육 관련 학회지나 전문 서적을 읽고(4.38), 가정과교사들의 모임에 참석하며(3.88) 전문직으로서의 학습 수행 능력을 키웠다. 그리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가정과교사들과 협동하여 전문적 지식을 향상시키며(4.44), 교과관련 연수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고(4.35), 수업 후 자신의 교수활동을 반성하여(4.13) 더 나은 수업이 되도록 노력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교과 관련 학회나 연구에 직접 참여하여 학습하는(3.47) 경우는 보통 정도의 수치를 나타내었다(Table 14).
선행연구에서 보았듯 Go와 Chae (2010), Nam과 Chae (2008) 모두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자기장학이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높은 수준으로 자기장학을 실행하고 있었다. 특히 Nam과 Chae는 자기장학이 학습지도 기술의 향상과 교과 내용학적인 지식의 폭을 확장시키기 위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지만, 교사들의 선호하는 방식은 대중매체의 활용이나 문헌(서적)에 치중되어 있어, 교사들의 연수 참여나 연구회 모임 참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야 한다고 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학회지나 전문서적과 같은 문헌을 통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정기적으로 교과 연구회에 참여하거나 학회 및 연구회에 참여하는 것은 보통 정도의 수준을 나타내어 선행 연구(Nam & Chae, 2008)와 비슷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가정과교사 스스로 교과와 관련한 연구회 또는 학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4)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연구에 참여한 가정과교사들은 대체로 학생들에게 유익한 학습지도 방법을 터득(73.3%)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가정과교사로서 교과 관련 지식의 폭을 넓히기 위한 목적(25.3%), 미래의 승진(0.7%) 또는 고학력 시대 학력 대체 및 보완의 목적(0.7%) 순이었다. 그 밖의 기타의견으로 가정교과에 대한 자긍심과 자부심 향상을 위해, 학생과 가정의 건강을 위해, 그리고 가정과교사로서의 사명감으로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한다는 대답이 있었다(Table 15).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분야는 가정과 교수학습방법과 관련된 부분(78.0%)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가정교과 내용학과 관련된 부분(10.7%), 가정과교육의 철학과 관련된 부분(7.3%), 가정교과 평가와 관련된 부분(2.7%), 기타(1.3%)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수나 학회 참여 경험에 관해 묻는 질문에서는 대다수가 참여한 경험이 있고 자발적으로 참여(90%) 했다고 응답하였으며. 참여한 경험은 있으나 비자발적 참여는 2.0%, 참여한 경험이 없다는 8.0%의 응답률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가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 가입한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는 가정교과연구회에서는 해마다 또는 분기별로 세미나를 개최하며 연구회 회원들의 다양한 수업을 공개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업 공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운영하는 구체적인 방법, 운영 시의 어려움, 자신만의 노하우 등을 함께 나누고 공유하며 질의응답과정을 거쳐 탐구함으로써 교수학습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학습공동체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 차이

일반적 특성 중 담임 여부, 교육경력, 최종학력은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 급, 학교 설립 유형, 가정교과교육철학 수강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1) 학교 급에 따른 차이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 병합 교과에 대한 분리 의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직 활동 수행에서는 ‘학생 생활지도 방식’ 에서만 유의한 차이(t =3.28, p=0.001)가 있었다. 중학교에 근무하는 가정과교사(4.19)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가정과교사(3.90)에 비해서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인정하고 파악하는 등과 관련하여 학생 생활지도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6).

2) 학교설립 유형에 따른 차이

근무하는 학교의 설립 유형에 따른 교사의 의식 부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교직 활동 수행 방식 부분 중 ‘수업 수행 방식’ 부분에서는 유의한 차이(t =2.47, p=0.015)가 있었다. 국공립에 근무하는 가정과교사(4.19)가 사립에 근무하는 가정과교사(3.84)에 비해 교과의 핵심 개념과 원리 등을 파악하여 교과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그 내용을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수업 수행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7).

3) 가정교과교육철학 수강 경험에 따른 차이

① 가정교과교육철학 수강 경험에 따른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 차이

가정교과교육철학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은 가정과 기술 병합 교과의 분리의식을 제외하고 가정교과교육 철학 수강 경험이 없는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교과교육철학 수강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가정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 탐구공동체문화에 대한 의식,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Table 18).

② 가정교과교육철학 수강경험에 따른 교사의 교직 활동 수행 방식 차이

가정교과교육철학의 수강경험에 따라 교사의 교직 수행 관련 방식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교과교육 철학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수업 수행, 학생 이해, 학습 수행, 학생 생활지도 모두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9).
이러한 연구 결과는 Yu와 Chae (2009), Kim (2007)의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Yu와 Chae (2009)의 연구에서는 연구의 참여자들이 가정교육철학 수강을 통해 가정교과 목표를 미래지향적으로 정립하거나 가정교과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갖게 되었다고 대답하였다. 이에 비교해 Kim (2007)의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가정과교사로서의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교육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졸업 이후 중등학교 현장에 근무하는 가정과교사들에게 교과에 대한 신념과 교과교육철학을 형성해 주지 못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갈등과 혼란을 겪게 되었다고 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의 교직에 관한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가정과교사가 지닌 특징을 이해하여 가정과교사의 성장과 가정과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지역에 있는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과교육학회에 가입한 가정과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결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들의 교직 의식에 대해서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사라는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였으며, 직업에 대한 진정한 소명의식과 함께 사명감이 있었다. 그리고 가정과교사들 사이에 가정과교육의 사명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과연구회의 목표와 방향, 비전을 함께 공유하고 교과연구회 교사들과 교육 탐구를 하는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는 탐구공동체 성격을 지닌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둘째, 가정과교사들의 대부분이 기술과수업을 한 경험이 있었으며, 이 중 절반이 넘는 가정과교사들이 기술을 가르치며 자괴감을 느낀 적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와 같이 가정교과와 기술교과가 병합된 상황에서는 각 영역별로 가정과교사와 기술과교사가 분리해서 가르쳐야 한다는 인식이 매우 높았다.
셋째, 가정과교사들은 교직 활동 수행을 잘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지속으로 노력하는 문화를 형성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가정과교사들은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학생을 존중하고, 상호작용하며, 학생의 독특성을 인정하는 등 학생의 요구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갖추고 학생의 개인별 특성을 파악하고 있었다. 수업능력 면에서는 교과의 최신동향과 교육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교과서를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사용하는 등 수업자료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수업시간에는 적합한 교수·학습이론을 사용하였고, 학생들의 성찰 활동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과교육관련 학회지나 전문서적을 읽으며 전문직으로서의 학습 능력을 키워가고, 학생들에게 유익한 교수학습 지도 방법의 향상에 주력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있었다.
넷째, 가정교과교육철학의 수강 경험을 가진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가정교과연구회 문화에 대한 의식과 탐구공동체문화에 대한 의식,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 전문직으로서의 정체성 평균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가정과교사의 성장과 가정과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전국의 가정과교사들은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등에 가입하여 가정과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사명감을 갖고 가정과 교직 수행을 위한 노력을 확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가정과교사들은 가정교과연구회를 통해 함께 협력하여 전문성 뿐 아니라 업무 능력도 향상시키고, 정서적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선·후배 교사들의 자연스러운 교류를 통해 후배 교사들이 선배 교사의 노하우를 전수 받았다. 따라서 비교적 접근이 쉬운 각 지역의 교과연구회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더 많은 가정과교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가정과교사들이 발전할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다음으로 대학의 가정교육과 양성과정의 변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과교사들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정교과교육철학 수강 경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대학의 가정교육과는 가정과교육 전공 교수로부터 가정교과교육철학 강의를 필수로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사의 교직 의식과 교직 활동 수행 방식을 토대로 가정과교사 문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근무조건과 교직 지원 체계 등과 같은 사회적 조건들을 함께 고려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대상은 각 지역의 가정교과연구회 또는 한국가정교육학회에 가입한 가정과교사로 제한되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전국에 있는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가정과교사 문화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Table 1.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Criteria Teachers learning community Derivation base
Seo (2008) Lee (2011) Oh (2014) Lee & Yoo (2016)
Purpose Promote study by teachers
Increase teacher professionalism
Improve the lessons of teachers
Promote study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 Learn by cooperation and reflective practice
Share values, ideas, emotions and norms
Share personal practice
Key function of learning i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Create and share knowledge
Constant interaction between members
Grow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simultaneously
Share identity and bond
Table 2.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N=150)
Variable Category Number of people %
Area Gyeonggi 79 52.7
Gyeongnam 27 18
Kyungbuk 15 10
Jeonbuk 13 8.7
Chungbuk 16 10.7
A school grade Middle school 114 76
High school 32 21.3
Specialized high school 4 2.7
A place of business school Metropolitan city 9 6
Middle, small city 102 68
Eub, Myeon 39 26
Types of school establishment National, public schools 130 86.7
Private school 20 13.3
Subject Technical education 1 0.7
Home economics education 52 34.7
Technical & Home economics education 97 64.7
Undergraduate course Home economics education 108 72
Home economics 33 22
Other 9 6
Graduate school experience Has experience 79 52.7
None 71 47.3
Graduate course Home economics education 37 24.7
Department of education 23 15.3
Home economics 3 2
Other 16 20.3
Educational background Less than 5 years 47 31.3
6 to 10 years or less 16 10.7
11 to 15 years or less 23 15.3
16-20 years or less 13 8.7
21 to 25 years or less 15 10
26-30 years or less 30 20
More than 31 years 6 4
Final educatio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53 35.3
University 18 12
Graduate degree or diploma 71 47.4
Graduate degree or Ph.D. 8 5.3
Take a class of home economics philosophy No enrollment 45 30
Take at a university 45 30
Take courses at graduate school 19 12.7
Take a courses through training 26 17.3
Purpose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riendship 5 3.3
Study method or class operation study. Information sharing 141 94
Table 3.
Composition of Research Tools for Diagnosis of Teaching Consciousnes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Area Sub-element Survey tool
Identity as a profess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 (13) Performing as a profession Regularly read home economics educational association articles and professional books.
Regularly attends meetings for home economics teachers.
Belief in public service Home economic teachers are indispensable for the happiness of our families.
I think our society will become more unhappy i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disappears.
I think the assessment criteria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are ”how well can i help students?”
Belief about home economics education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transform the present family and society into an ideal family and society.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lead a youth to a self-sustaining life (autonomy).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lead a young people live hopefully and ambitiously (empowerment).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lead young people live a free life by criticizing false beliefs that are prevalent in society (enlightenment).
A sense of calling for a job I think my work is a virtue.
I feel a real sense of calling.
I have a sense of mission.
I am confident that i am subjectively involved in work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Consciousne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culture (13) Objective and direction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We frequently discuss how to solve the problems for korean youth through a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We discuss the goals that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hould pursue.
Constructively criticize the vision and direction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Relation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We work together for a good home economics class.
Communication is active.
When difficult things happen, we cooperate voluntarily.
Professional development Share good teaching plans with each other
It helps me develop my professionalism.
Home economics education study subject as inquiry community I believe that they home economics teacher can transform into a democratic and just society through practical efforts.
I think critically about conventions, traditions, ideologie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Think and pay attention to social policy, economy, and culture that affect education policy and school education.
Critically review knowledge related to education or the results of education researchers.
It criticizes and understands the fundamental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educational policy, and social structure.
Identity confusion caused by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merging curriculum (5) Experience in technology teaching I have experience in technology teaching.
I felt a sense of discomfort as a home economics teacher.
Separation consciousness for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merging curriculum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technology curriculum should be separate.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must be taught by the home economics teacher, and the technology curriculum must be taught by the technology teacher.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echnology textbooks should be separate.
Table 4.
Composition of Research Tools to Diagnose the Way the Home Economics Teacher Performs Teaching Activities
Area Sub-element Survey tool
Understanding students and ability of guidance (12) Understanding students Interact with students.
Respect students.
When teaching,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interact.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ir potential.
Students acknowledge the unique character of a student.
Life guidance I know how my students are doing with their friends.
I know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 can remember student names.
I respond individually.
I know the home environment of students
I identify student grade changes.
How to perform classes (7) Content knowledge Understand home economics core concepts, principles, and methods of inquiry.
I know the latest trends in academic subjects related to home economics.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Underst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bility to develop class materials Try to develop classroom teaching materials.
Ability to analyze and reconstruct textbooks Analyze and reconstruct home economics textbooks.
Ability to apply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Apply an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to home economics class.
Linguistic expressive ability Reflect, think, read, speak and write activities in home economics class.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and self-development efforts (7) Reflective reflection After class, reflect on teaching activity and try for better less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the subject.
Participate actively in curriculum-related societies and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Ability to collaborate Cooperate with home economics teachers and exchange professional knowledg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ization related to home economics curriculum Make efforts to improve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mprove professionalism.
Most efforts have been made to enhance professionalism.
I have participated in training and seminars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past year.
Table 5.
Name of Each Factor and Corresponding Question
Name each factor Corresponding question Cronbach’s α
Factor 1 Understanding students 1, 2, 3, 4, 5, 6 0.87
Factor 2 Life guidance 7, 8, 9, 10, 11, 12 0.83
Factor 3 How to perform classes 13, 14, 15, 16, 17, 18, 19 0.90
Factor 4 Learning performing as a profession 20, 21, 32, 33, 34, 35, 36 0.88
Factor 5 Identity as a profess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 22, 23, 24, 25, 26, 27, 28 0.87
Factor 6 A sense of calling for a job 29, 30 0.89
Factor 7 Consciousne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culture 40, 41, 42, 43, 44, 45, 46, 47, 0.91
Factor 8 Awareness about the culture of inquiry community 48, 49, 50, 51, 52 0.87
Factor 9 Separation consciousness for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merging curriculum 56, 57, 58 0.86
Table 6.
How to Collect Data
Date Place (Name of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Investigation method Recovered amount
July 8, 2017 Jeonju Woosuk middle School (Jeonbuk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Direct distribution 13 / 15
July 15, 2017 Cheongju Jusung high School (Chungbuk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Direct distribution 16 / 16
July 25, 2017 Anyang Boryim middle School (Gyeonggi-do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Direct distribution 79 / 140
August 11, 2017 Jinju Girls’ middle school (Gyeongnam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Direct distribution 8 / 8
August 26, 2017 Jinju Girls’ Middle School (Gyeongnam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Direct distribution 19 / 19
August 20 - September 2017 Kyungbuk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E-mail 18 / 30
Table 7.
Identity as a Profess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 (N=150)
Variables Question contents M SD
Belief in public service I think the assessment criteria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are ”How well can I help students?” 4.59 0.58
I think our society will become more unhappy i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disappears. 4.57 0.59
Home economic teachers are indispensable for the happiness of families. 4.25 0.79
Subtotal 4.47 0.65
Belief about Home Economics Education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transform the present family and society into an ideal family and society. 4.67 0.66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lead young people live a free life by criticizing false beliefs that are prevalent in society (enlightenment). 4.65 0.56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lead a youth to lead a self-sustaining life (autonomy). 4.63 0.73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can lead a young people live hopefully and ambitiously (empowerment). 4.14 0.87
Subtotal 4.52 0.71
Total 4.50 0.68
Table 8.
A Sense of Calling for a Job (N=150)
Question contents M SD
I have a sense of mission. 4.52 0.71
I think my work is a virtue. 4.39 0.73
I feel a real sense of calling. 4.34 0.78
Total 4.42 0.74
Table 9.
Consciousne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Culture (N=150)
Variables Question contents M SD
Objective and direction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We will frequently discuss how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youth through a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4.17 0.79
We discuss the goals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hould pursue. 4.15 0.84
Constructively criticize the vision and direc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4.10 0.86
Subtotal 4.14 0.83
Relation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We work together for good home economics class. 4.51 0.66
Communication is active. 4.15 0.80
When difficult things happen, we cooperate voluntarily. 4.14 0.75
Subtotal 4.27 0.74
Professional development Share good teaching plans with each other 4.32 0.79
It helps me develop my professionalism. 4.19 0.80
Subtotal 4.23 0.80
Inquiry community I believe that home economics Teacher can foster a democratic and just society through practical efforts. 4.34 0.74
I think critically about conventions, traditions, ideologie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so far. 4.05 0.74
Think and pay deep attention to social policy, economy, and culture that affect education policy and school education. 4.01 0.81
Critically review the knowledge related to education or the results of education researchers. 3.98 0.73
It criticizes and understands the fundamental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educational policy, and social structure. 3.79 0.87
Subtotal 4.03 0.78
Total 4.15 0.77
Table 10.
Identity Confusion Caused by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Merging Curriculum (N=150)
Question contents Answer contents N %
Experience in technology teaching I have experience in technology teaching. 127 84.7
I have not experience in technology teaching. 23 13.3
When I was in technology class I feel a sense of discomfort as a home economics teacher. 80 63.0
I feel not a sense of discomfort as a home economics teacher. 47 37.0
Table 11.
Separation Consciousness for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Merging Curriculum (N=150)
Question contents M SD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must be taught by the Home economics teacher, and the technology curriculum must be taught by the technology teacher. 4.36 1.11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echnology textbooks should be completely separated. 4.34 1.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technology curriculum should be completely separated. 4.23 1.10
Total 4.31 1.10
Table 12.
Understanding Students and Ability of Guidance (N=150)
Variables Question contents M SD
Understanding students Respect students. 4.56 0.57
Understand and promote needs of students. 4.48 0.75
Interact with students. 4.38 0.68
When teaching,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interact. 4.35 0.67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ir potential. 4.34 0.60
Students acknowledge the unique character of the student. 4.14 0.57
Subtotal 4.38 0.64
Life guidance I know how my students are doing with their friends. 4.38 0.77
I know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4.29 0.72
I remember the names of the students. 4.19 0.71
I respond individually. 4.10 0.69
I know the home environment of students 3.76 0.90
I identify student grade changes. 3.68 0.95
Subtotal 4.07 0.79
Total 4.23 0.72
Table 13.
How to Perform Classes (N=150)
Question contents M SD
Analyze and reconstruct home economics textbooks. 4.43 0.71
Understand home economics core concepts, principles, and methods of inquiry. 4.38 0.70
I know the latest trends in academic subjects related to home economics. 4.35 0.64
Reflect, think, read, speak and write activities in home economics class. 4.33 0.64
Apply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to home economics class. 4.03 0.78
I encourage parental and community involvement and cooperation in the operation for home economics curriculum. 3.95 0.79
We try to develop classroom teaching materials. 3.93 0.84
Total 4.20 0.73
Table 14.
Learning Performing as a Profession (N=150)
Variables Question contents M SD
Performing as a profession Regularly read home economics educational association and professional books. 4.38 0.69
Regularly attend meetings of home economics teachers. 3.88 1.07
Subtotal 4.13 0.88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operate with home economics teachers and exchange professional knowledge. 4.44 0.61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the subject. 4.35 0.67
After class, reflect on teaching activity and try for better lesson. 4.13 0.87
Participate actively in curriculum-related societies and home economics teacher’s study association 3.47 0.92
Subtotal 4.10 0.77
Total 4.12 0.83
Table 15.
Efforts to Foster Professionalism (N=150)
Question contents Answer contents N %
Reasons to strive for professional growth Learn how to teach useful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110 73.3
To broaden the knowledge of the subject as a home economics teacher 38 25.3
Future promotion 1 0.7
Replaced and supplemented education in the age of higher education 1 0.7
Field of expertise improvement Part of the home economics teaching method 117 78.0
Home economics-related contents 16 10.7
Philosophy-related par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11 7.3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4 2.7
Other 2 1.3
Experience in training programs or association participation Have participated in voluntary participation 135 90.0
No experience 12 8.0
There is an experience of participation, but involuntary involvement 3 2.0
Table 16.
Effects of School in the State on Teacher’s Teaching Activity (N=150)
Modes of teaching performance Working school N M SD t
How to perform classes Middle school 86 4.17 0.60 0.78
High school 64 4.09 0.60
Understanding students Middle school 86 4.40 0.52 0.65
High school 64 4.34 0.49
Learning method Middle school 86 4.17 0.69 1.82
High school 64 3.98 0.57
Student life guidance method Middle school 86 4.19 0.56 3.28*
High school 64 3.90 0.56

* p=0.001

Table 17.
Difference in Teac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ype of School Establishment (N=150)
Modes of teaching performance Type of establishment N M SD t
How to perform classes National public 130 4.19 0.58 2.47*
Private 20 3.84 0.69
Understanding students National public 130 4.40 0.49 1.59
Private 20 4.21 0.60
Learning method National public 130 4.09 0.57 1.03
Private 20 3.94 0.65
Student life guidance method National public 130 4.13 0.63 1.75
Private 20 3.86 0.73

* p< 0.05

Table 18.
Differences in Teacher’s Consciousne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ccording to Experien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hilosophy (N=150)
Teacher’s consciousne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Consciousness of association Consciousness of inquiry community culture Professional identity A sense of calling for a job Consciousness about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merging curriculum
Experienc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hilosophy Have None Have None Have None Have None Have None
N 78 72 78 72 78 72 78 72 78 72
M 4.38 4.02 4.17 3.86 4.58 4.41 4.56 4.27 4.26 4.37
SD 0.61 0.58 0.63 0.60 0.52 0.50 0.66 0.67 1.06 0.89
t 3.65*** 3.05* 2.05** 2.61** -0.71

* p< .05,

** p< .01,

*** p< .001

Table 19.
Differences in Teaching Activities between Home Econom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hilosophy (N=150)
Modes of teaching performance How to perform classes Understanding students Learning method Student life guidance method
Experi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philosophy Have None Have None Have None Have None
N 78 72 78 72 78 72 78 72
M 4.32 3.95 4.50 4.27 4.27 3.90 4.16 3.96
SD 0.50 0.65 0.44 0.55 0.61 0.63 0.54 0.62
t 3.98*** 2.81* 3.59** 2.09*

* p< .05,

** p< .01,

*** p< .001

References

Ahn, C. S., Nam, K. H., & Lee, U. B. (1999). Teaching theory. Seoul: Kyoyook Kwahaksa.

Chae, J. H., Lee, S. H., & Yoo, T. M. (2010). Social contribution and futur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4), 139-154.

Chae, J. H., Park, M. J., Kim, S. G., Yu, N. S., Han, J., & Heo, Y. S. (2015). ome Economics class methods and classroom demonstration. Paju: Gyomoonsa.

Chae, J. H., Yoo, T. M., & Park, M. J. (2007).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views of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1), 65-79.

Cho, M. O., & Chae, J. H. (2005).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teaching performance regarding the contents of morality of education in Home Economics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ion Association, 17(2), 257-272.

Cho, S. Y. (2016). Changes in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clothing attitud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via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hoi, D. H. (2008). The necessity and the task of classroom-friendly teacher educa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4(1), 1-4.

Choi, I. K. (2003).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and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Choi, J. H., & Jang, H. S. (2006). The problem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1), 17-29.

Dik, B. J., & Duffy, R. D. (2009).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7(3), 424-450. http://dx.doi.org/10.1177/0011000008316430
crossref
Hall, D. T., & Chandler, D. E. (2005).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2), 155-176. https://doi.org/10.1002/job.301
crossref
Go, M. Y., & Chae, J. H. (2010).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and actual performance of self-supervision at school related to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4), 91-107.

Go, M. Y., & Yu, N. S. (2011). A study on teacher perception and classroom practice of practical problem-focu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1), 159-176.

Han, Y. K., Park, S. W., Seo, K. H., & Jeon, J. S. (2008). Analysing the work of classroom teacher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6(3), 183-206.

Hwang, S. H.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Jang, J. Y., & Lee, J. Y. (2014). The relation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meaning, living a calling, life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6(1), 123-146.

Jeon, B. U., & Jeong, E. H. (2013). A study on effects of learning opportunity and soci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on educational belief.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2), 83-107.

Joung, S. K., & Son, W. K. (2016).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the elements and process of teacher identity building. Journal of Open Parent Education, 8(3), 181-202.

Ju, S. E., & Yoo, T. M. (2016). Core-concepts and three systems of action ba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2), 121-141.

Jung, H. J. (2013). A study on ident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Kang, C. W. (2004). The research and improving idea for the present state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teaching operation in Daegu·Gyeong-Buk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Ki, S. I., & Chae, J. H. (1998). Attitudes to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Home Economics Teacher in Middle School.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6(5), 187-201.

Kim, H. B. (2008). The competence of a classroom-friendly teacher.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4(3), 4-15.

Kim, H. S. (2003). Teacher expertise and quality : Exploration of concepts and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2), 93-114.

Kim, K. A. (2007). Research on the type or leadership recognized in members or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 research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im, S. C. (2007).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e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association of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Kim, S. G. (2007). Evaluation of TQM(Total Quality Manage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y teachers &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Kim, S. G., & Chae, J. H. (2003). Home Economic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affective morality through Home Economics instruction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10), 57-73.

Kim, Y. J. (2003). A study of the problem and improvement to the curriculum management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union): Centered on the seventh curricul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nam, Korea.

Kim, Y. K. (2002). A study on the effects of secretaries’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 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Koh, H. S. (2008).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Kyonggi, Korea.

Kwak, N. S., & Cho, J. S. (2002).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eachers, principal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o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7), 127-140.

Kwon, K. Y., Lee, K. Y., & Lee, S. H. (2011).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perspective and their instructional cultur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4), 125-141.

Lee, G. S., & Yoo, T. M. (2016). An action research for reflective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4), 365-384. https://doi.org/10.6115/fer.2016.028
crossref
Lee, H. Y., Ryu, B. R., & Yun, Y. K. (2001).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ir culture and everyday life Research report RR 2001-4, KEDI.

Lee, J. I., & Dokego, S. (1995). A study on the professional work ethic of soldiers in the profession.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31, 27-61.

Lee, J. S. (2000).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thropology of Education, 3(3), 51-87.

Lee, K. H. (2011). A search for the principal’s role in establishing an expert learning commun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3), 195-221.

Lee, W. J. (2007). A study on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university students in social welfare: With the focus of the sociology department in Daejeon and Chungn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Lee, Y. H. (2008). Work values and vocational ethics of Korean: Work values and vocational ethics of employers and Workers in Korean Firms Research report 2008-12-1.

Nam, Y, J., & Chae, J. H. (2008).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 45-62.

Oh, C. S. (2014). Case study on innovation diffusion process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Oh, C. T. (2013). Does person-organization increase the sense of personal effectiveness and sense of voc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7(4), 121-143.

Oh, S. J.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dentity and psychological, social, and professional adap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ak, E. H., & Lee, S. H. (2010). The exploration of emotion experiences which affect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identity.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14(1), 165-188.

Park, H. J. (2005). Teaching behavior, teaching confidence and teaching satisfac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Home Economics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ark, J. H., & Song, I. B. (2015). The impact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1), 63-83.
crossref
Park, K. H., Kim, S. G., & Chae, J. H. (2007). Home economics teachers’ altruistic attitudes and the levels of morality teaching performance in Ulsan Ci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77-89.

Park, M. J. (2006). A study on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fu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Park, S. J., & Kim, M. J. (2015). The analysis on recognition of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y in teachers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ffice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2(3), 163-186. http://doi.org/10.24211/tjkte.2015.32.3.163
crossref
Seo, K. H. (2006). Teacher learning an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4(2), 257-276.

Seo, K. H. (2008). A case study o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5(2), 53-80.

Seo, K. H. (2013). A community approach to teacher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3), 161-191.

Son, S. O., & Cho, J. S. (2003).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2), 21-33.

Song, K. O. (2015).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for school reform: Cases from innovation schools and free semester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3(4), 147-174.

Song, K. O., & Choi, J. Y. (2007). A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5(3), 223-244.

Song, K. O., & Hur, E. J. (2011). The influence of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on teachers’ beliefs and teaching skill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4), 89-116.
crossref
Song, M. K., Yang, N. M., & Lee, E. K. (2016). The relationship of perceiving calling, self-esteem and occupational identity with life satisfaction of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4), 197-218. https://doi.org/10.14333/KJTE.2016.32.4.197
crossref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1997). Retrieved July 11, 2017, from http://www.law.go.kr

Wang, S. S., & Kim, S. J. (2008). A study on the selection system of new appointment candidates for the 2009 school year design for the domestic educat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7, 31-90.

Yang, J. S., & Yoo, T. M. (2017).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1), 67-80. https://doi.org/10.6115/fer.2017.006
crossref
Yu, N. S., & Chae, J. H. (2009). Home Economics teachers’ reflection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HPC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83-107.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Supplement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5,416
View
44
Download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