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6(3); 2018 > Article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제안: 가족생활교육으로서의 내용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bstract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 households. The incidence of the MERS, epidemic in 2015, and the subsequent cases of child abuse have been major shocks 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household debt, that is in danger of causing a serious crisis in the stability of our society and the family. The current demand for increased accountability in the democratic process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There is also an increased awareness of natural disaster preparation due to local earthquakes that have caused concern. At this point,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in Korea is in line with the changes and crises of various societies. Problems related to family life that have happened in the real life of learners stand in the place of the study with preventive character. It should provide the best alternative for family, home, and society, and help to overcome the problems of life. In order for lifelong education to respond to these social changes vis-à-vis Home Economic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forma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conomic activation education’, and other topics of lifelong education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required. Consequently, various related program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disseminated.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래 학자들에 의하면, 급속한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현대사회의 제영역에서 체감되는 변화의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는데, 각종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관심 영역의 지식과 아이디어에 이르기까지 총망라되어 급속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은 수많은 정보가 유통되고 요구되는 생활환경으로 변화된 사회에서 예전보다 더 많은 선택을 날마다 강요받고 있다고 한다(Anderson et al., 2006).
이와 같은 시대의 흐름 가운데 현재 한국 사회는 산업화와 탈산업화 사회의 특성이 함께 혼재되어 있고, 정보화 사회의 특성 또한 함께 공존하는 사회의 모습을 가지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빠른 사회변화는 소득의 양극화, 가치관의 양극화 현상의 결과를 초래하면서 미래 사회로 갈수록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의 모습은 다양해지고 삶에 대한 가치관도 더욱 다양화 되어 가고 있다(Park, 2006).
한편, 최근 한국 사회에서 나타난 메르스(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중동호흡기 증후군)(Daum Encyclopedia, 2018)와 같은 전염병이나 지진의 발생과 같은 문제들은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에게 예방과 대처, 안전에 관한 숙지사항 등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 주고 있는 현상들이며, 이 외에도 2016년 하반기부터 정치·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민주주의 회복’에 관한 한국 사회 시민들의 요구 등의 상황을 통해서 볼 때에,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각각의 전문 학문 분야에서도 이러한 다양한 사회의 현상과 변화의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교육내용의 제시를 위한 연구가 과제로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 놓인 각각의 개인들과 그들의 가정을 위하여 가정과교육 분야는 어떻게 그들과, 그들이 속한 가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Brown & Paolucci (1978)에 의하면, 가정학의 사명은 개인적 단위로서, 일반적 사회적 기관으로서의 가족이 개인의 자아를 성숙 시키고 계몽되어지도록 이끌며,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사회적 목표와 수단의 형성과 비판에 협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기술적 체계와 의사소통적 체계, 해방적 행동 체계의 세 가지 행동 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때 가정학은 가족들의 실천적인 문제들을 실질적인 문제로서 대면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이 미래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는데, 가정학의 서비스는 개인의 생각과 느낌, 그리고 행동 방식의 변화 또는 그들의 신념과 동기의 사회적 기원들에서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가정학 분야의 전문 종사자들은 사람들이 자기결정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며, 단지 그 사람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님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고 하였다(Brown & Paolucci, 1978).
가정과교육의 평생교육 내용은 위에서 언급된 모학문인 가정학의 사명과 같이 충실하여 개인과 그들이 속한 가정생활의 실천적인 문제들을 성숙한 자아의식 속에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로서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바람직한 사회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할 것이다.
Chae 등(2010)은 가정과교육학의 사회적 기여와 미래방향에 대한 연구에서 미래 가정 교과는 사회적 차원에서 정직과 도덕성을 겸비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전인교육을 강화하여야 할 것을 강조하였고, 가정생활이 정치, 경제, 사회, 행정 시스템과 어느 정도로 연계 되는지 그 맥락을 종합적으로 파악한 뒤, 비판하며 참여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평생교육에 관한 논의가 급증하였는데, Kim (2003)은 평생교육이 누구에게나, 어느 때에나, 어느 장소에서든 학습할 수 있는 기회와 장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자아실현을 하는 데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급격한 사회변동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사회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회의 교육역량 증대를 위해서 평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평생교육은 일생동안 지속되는 과정으로서 개인의 전 생애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특별히 평생교육에서 가정교육은 중요시 되는데, 그 이유는 가정이 평생학습과정을 시작하고 지속하는 가장 민감하고 결정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곳이기 때문이라고 한다(Choi & Park, 2000). 이러한 근거를 통해 가정교육은 평생교육의 차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되는,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이 사회의 상황과 변화에 발맞추어 어떠한 교육내용의 주제를 설정하고 교육적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인지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가정과교육을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연구된 선행연구에는, 가정과교육에서의 평생 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Ban, 2003), 학교를 이용한 평생교육관점에서의 가정생활교육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연구(J. P. Lee, 2003; Lee, 2003), 가정과교사가 인식한 학교 평생교육을 위한 가정과 자원의 활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Kim & Chae, 2006), 평생교육을 고찰하고 가정교육을 분석한 연구(Kim, 2003) 등이 있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의 내용들은 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정과교육에서의 평생교육 현황이나 실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Ban, 2003; Kim & Chae, 2006; J. P. Lee, 2003; Lee, 2003)가 주를 이루었고, 평생교육에 있어서 가정교육이 중요한 이유와 관련성을 고찰한 연구(Kim, 2003)가 소수 있었는데, 위의 선행연구의 내용들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가정과교육 분야에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평생교육의 내용을 제안하는 것에 관한 독자적인 연구는 것은 거의 찾아 볼 수 가 없었다.
가정과교육 분야는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의 모든 영역과 관계하는 범위의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이러한 학문적 범위의 특성을 잘 활용하여 사회의 실제적인 상황을 연계하고 미래사회의 변화를 고려하여 활용될 수 있는 가정과교육 분야만의 평생교육 내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과 가정과교육의 개념적 특성과 관련성을 고찰해 본 뒤,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사회 환경 변화의 내용들을 살펴보고, 한국 가정과교육 분야에서 앞으로 다루어져야 할 평생교육 내용 선정에 반영되는 추가적 사회 변화 요인들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난 뒤, 가정과교육의 성격적 측면과 궁극적 목표 개념의 맥락 안에서 새롭게 제시되어야 할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은 어떠한 주제를 설정하고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평생교육의 의미 이해와 현황 검토를 토대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정과교육에서의 평생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과 평생교육의 학문적 특성과 관련성은 무엇인가?
둘째, 최근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가정과교육 관련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한국 사회 환경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넷째,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과 가정과교육과 연관된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로 사용된 문헌에는, 평생교육과 가정과교육의 기초 이론과 관련된 문헌, 평생교육의 전체적인 최근 현황 자료와 학교 평생교육 관련 문헌, 그리고 선행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최근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회현상과 사회문제, 사회변화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하는 문헌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 고찰

1.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은 학자별로 여러 가지로 정의되고 있으나, 종합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Kim, 2001; 2003).
첫째, 랭그랑(LENGRAND)은 “개인의 출생부터 죽을 때까지 전 생애에 걸친 교육(수직적 차원)과 학교 및 사회전체 교육(수평적 차원)의 통합”이라고 하며 교육의 통합성과 종합체계를 강조하였다. 둘째, 다베(DAVE)는 “개인적 및 사회적 삶의 질을 계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평생에 걸쳐 연장되고 실시되는 모든 형태의 형식적, 비형식적 학습활동”이라고 하고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함께 관련시켰다. 셋째, 정진호는 “개인이 전 생애를 통하여 능동적으로 계속 학습의 기회를 포착함으로 인간성의 조화적 발달을 꾀하며 변화하는 현대적 생활에 슬기롭게 대처하고 창조적으로 개척해 갈 수 있는 지식과 기능을 익히며 다른 사람과 더불어 공동체의 복지를 증진시켜 나가는 인간화 교육을 의미한다.”고 함으로써, 평생교육의 내용과 실질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피교육자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교육의 궁극적 이념을 인간 교육에 두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법」 총칙에서는 평생교육을 ‘학교 정규교육과정을 제외한 학력보완교육, 성인기초·문해자해득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 등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평생교육은 학교교육과 학교 외의 모든 교육, 즉, 요람에서 무덤까지 수직적으로 통합한 교육과 가정교육, 사회교육, 학교교육을 수평적으로 통합한 교육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과 학교가 주체가 되어 수행하는 비정규 교과를 포함한 정규 학교교육에 대비되는 학교 외의 교육을 협의의 평생교육으로 의미한다(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4).
한편, 평생교육은 인구가 증가하고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하며 수많은 지식과 정보가 양산되는 세계화 사회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지식을 습득할 뿐만이 아니라, 새롭게 떠오르는 사회 가치를 창조적이고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주장되고 있으며(Kim, 2003), 평생교육의 핵심적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세 가지 구성요소에는 생(Life), 평생(Lifelong), 교육(Education)이고, 학교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일생동안 지속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인 평생교육은 개인의 전 생애를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다(Choi & Park, 2000).

2. 가정과교육의 개념과 관련 학문 개념과의 관계

가정과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이야기 할 때에 가정학을 거론하게 되는데, 가정학은 가정과교육학의 모학문이 되는 기초과학이며, 가정과교육학은 모학문인 가정학을 포함하는 실천적이고 실용적 성격의 교과교육론적 교육관점을 가진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Wang, 2003).
가정과교육학의 모학문인 가정학은 실천과학으로서 서비스의 실천을 위해 혼합 과학으로서 위치하고 있는데, 역사적으로 가정학은 실천적인 문제들에 관심을 가져 온 학문 분야였으며, 가정학이 궁극적으로 의미하는 바는, 가정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대 과학의 모든 자원들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때, 가정의 삶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의미는 손상시키거나, 파괴하는 것, 또는 가치중립과는 다른, 어떤 가치를 중시하는 위치에서의 향상의 의미를 내포하며, 가정학은 개인과 가족으로 하여금 사회적 목표와 수단을 형성하고, 비판에 협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기술적 체계와 의사소통적 체계, 해방적 행동 체계의 세 가지 행동 체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것에 그 사명을 두고 있다(Brown & Paolucci, 1978).
가정학과 가정과교육학의 학문적 차이점은, 가정학이 의, 식, 주, 소비자, 가정관리, 아동 및 가족 등의 ‘가정생활’ 분야를 연구 대상으로 보고 있다면, 가정과교육학은 이와 같은 분야를 초, 중등학교의 교과 교육내용으로서 설정하고 있다(Yoo & Lee, 1994).
한편, 평생교육에 있어서 가정교육은 인간의 신체발달과 사회적 발달의 기초적 틀을 제공하는 교육형태로서 가장 중요한 개념의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Kim, 2003), 사전적인 의미에서의 가정교육은 가정의 일상생활을 통해 행해지는 자연발생적인 교육을 의미한다(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8). 가정교육은 비형식적이고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이지만, 그 교육적 효과는 전인격적인 범위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고, 한 가지 분야나 특수 기능 교육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목표와 방법에 있어서도 가정에 따른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고 한다(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8). 가정교육은 주로 예의범절과 정서, 품위, 도덕 등과 같이 인격 형성에 초점을 두는 교육내용을 가정에서 가르치는 것으로서 인식되어 있고(Wikipedia, 2018), 보통 성인이 되지 않은 자녀들에게 부모가 가정에서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Chunjae E-learning Encyclopedia, 2018).
평생교육의 열 가지 주요 교육내용 중 한 가지 유형에 속하는 가족생활교육은 대통령령 평생교육법 시행령(11230호)에서 제시되고 있는 교육에 해당하며, 가족생활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과 가족의 복지를 강화시키고 풍요롭게 하고, 가족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며, 가족의 잠재적 능력을 개발하여 건강한 가정을 기르는 것에 있다(Kim & Chung, 2007). 가족생활교육의 교육내용은 가족의 가치관과 윤리, 인간관계, 의, 식, 주, 소비생활, 가정자원 관리 영역 등을 포함하여 가정과 가정이 접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양상을 주제로 다루는데(Lee, 2003), 가족생활교육은 ‘가족’ 연구가 아닌, ‘가정생활’ 교육을 연구하고 교육한다는 점에서 가정과교육과 공통의 교육 목적과 교육내용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Jeon & Jang, 2003).

3. 가정과교육과 평생교육의 교육적 특성

평생교육의 가장 중요한 교육 형태는 가정교육(家庭敎育)이라고 할 수 있는데(Kim, 2003), 평생교육에서 가정교육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가정이 평생학습과정을 시작하고 지속하는 가장 민감하고 결정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곳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평생교육은 성장단계별 교육과정의 상호연속성과 연계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생의 각 단계별로 교육의 수평적, 심층적인 통합을 도모하고자 하는데(Choi & Park, 2000), 이는 전 생애에 걸친 통합적 교육내용의 범위를 교육내용으로 설정하고 있는 가정과교육 분야의 교육내용 범위와도 그 특징이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의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본 평생교육과 가정과교육의 개념 정의와 성격을 토대로 평생교육과 가정과교육의 연관된 교육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개인의 전 생애를 대상으로 하여 일생동안 지속되는 과정 동안 개인을 교육하고자 한다는 관점을 가진다는 것에 두 교육 분야의 특성은 일치한다.
둘째,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표는 가정과교육의 모학문인 가정학의 궁극적인 목표와도 일치한다.
셋째, 평생교육과 가정과교육은 교육의 형식적인 측면에서 모든 형태의 형식적, 비형식적 학습활동이 가능하고, 학교교육과 가정교육, 사회교육의 모든 형태의 학습의 장에서 학습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넷째, 평생교육과 가정과교육은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하기 위한 수단 형성의 습득교육뿐만이 아니라, 사회가치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교육을 추구한다.
또한, 이 글에서 논하는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가정과교육의 의미는 초, 중등학교 교과 교육을 넘어선 학교 평생교육과 학교 밖의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가정생활’을 교육하는 가족생활교육의 의미로서 생각해 보겠다.

4.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현황과 가정과교육 관련 평생교육 프로그램

최근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가정과교육 관련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이에 관한 문헌 자료를 살펴보았다.
평생교육의 전체적인 현황과 전국에 공급된 평생교육으로서 어떠한 성격의 프로그램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1년도부터 2015년도까지의 평생교육통계조사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의 지형을 분석한 자료(Hong, Lee & Park, 2016)를 분석해 보았고, 시·도별 평생교육 시범학교의 평생교육 운영 프로그램 현황에 관한 자료(Jeon & Jang, 2003)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조사한 자료(Han & Park, 2015)를 살펴보았다.
한편, 가정과교육 관련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파악 자료에는, 평생교육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주제 영역 중, 가정과교육 관련의 프로그램 구성이 가능한 주제 영역을 파악해 보기 위해 2013년도 기준의 평생교육 백서(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4)를 분석해 보았고, 학교평생교육 현장에서의 가정과교육 관련 평생교육의 현황과 교육요구 내용에 대하여 보고된 자료(Jeon & Jang, 2003; Kim & Chae, 2006)를 살펴보았다.
먼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별 공급변화 추이에 대한 자료를 살펴보면, 서울을 제외한 전국에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공급빈도수가 가장 높았고, 전체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에 있어서는, 직업능력향상 프로그램이 2011년도부터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 2015년도에는 우리나라에 공급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가운데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특별히 원격교육기관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직업능력향상교육이 가장 높은 공급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러한 이유는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는 사회 변화와 아울러 직업획득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성인들의 교육적 요구가 부합하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파악할 수 있다(Hong, Lee & Park, 2016).
교육인적자원부 지원을 받는 시·도별 평생교육 시범학교의 평생교육 운영 프로그램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가정과교육 해당 강좌에는 요리, 퀼트, 수예, 십자수 등 조리나 바느질과 같은 기능 교육이 실시되었고, 가정생활의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교육 내용 주제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으며, 단순한 기술을 배우거나 취미생활의 성격에서 프로그램 내용이 정해져 운영되고 있었음이 보고되었다(Jeon & Jang, 2003).
또한, 학교평생교육 현장에서 가정과교사들은 학교 평생교육 업무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편이었고, 대부분의 가정과 교사들은 학습자를 가르치는 강사로서의 업무를 담당하길 원하고 있었지만, 학교 평생교육 운영에 관한 많은 업무를 함께 감당해야 하므로 역할 과중으로 인한 현실적 어려움이 많다고 하며,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학부모 및 지역주민들의 요구도에 맞지 않아 그들의 가족생활 강화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Kim & Chae, 2006).
이와 같은 점들을 개선하고 가정과교육 관련의 평생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의 하나로써 학교만의 특성화된 가정과 관련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인데, 특별히 교육적 혜택으로부터 소외되기 쉬운 지역사회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가정생활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선정이 요구된다고 한다(Kim & Chae, 2006). 그런데, 학교 시설을 이용한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의 문제점은 교육체제와 시설설비, 학교경영, 교사 등의 측면에서 성인 학습자들의 교육 요구를 수용하고 반영하기 어려운 점들이 많다고 한다.
한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상대적인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해 본 결과, 평생교육기관과 평생교육사가 중점을 두고 실시해야 할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은 첫 번째가 ‘기초문해교육’, 두 번째가 ‘직업능력교육’, 세 번째가 ‘시민참여교육’, 네 번째가 ‘학력보완교육’, 다섯 번째가 ‘문화예술교육’, 여섯 번째가 ‘인문교양교육’으로 조사되었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 조사 결과는 문자해득, 기초생활기술, 현직직무역량, 시민참여활동, 시민리더역량, 초등학력보완, 문화예술향상, 생활문화예술, 자격인증역량, 중등학력보완, 건강심성, 문해학습계좌, 고등학력보완, 직업준비, 기능직소양, 레저생활스포츠, 시민책무성, 인문학적교양과 같은 순서로 중요하다는 결과를 보였다(Han & Park, 2015).
가정과교육 관련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주제는 ‘기초문해교육’을 제외한 모든 영역 안에서, 그리고 ‘문자해득’이나 ‘문해학습계좌’를 제외한 모든 요소 안에서 프로그램 구성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데, 2013년도 평생교육 백서 자료에 의하면(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4), 학력보완을 위해 요구되는 초·중·고 학력별 검정고시 연계 과목의 총 학습 1,126개의 과정 중, 기술·가정 과목은 153개, 가정과학 과목은 125개로서 전체 학습과정 수의 약 25%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작지 않은 비중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위의 분석을 간단히 정리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원격-직업능력향상교육이 공급된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교육부 지원의 시·도별 평생교육 시범학교의 평생교육 운영 프로그램에서 가정과교육 해당 강좌는 주로 기능 교육이 중심이었으며, 학교평생교육 현장에서 가정과교사들은 학교교육과 학교 평생교육 운영으로 인해 역할 과중을 겪고 있다고 한다. 또한,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학부모와 지역주민들의 요구도에 맞지 않아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으며, 가정과교육 관련 평생교육 프로그램 주제는 ‘기초문해교육’을 제외한 모든 영역과 ‘문자해득’과 ‘문해학습계좌’를 제외한 모든 요소 안에서 프로그램 구성이 가능한데, 학력보완을 위한 초·중·고 학력별 검정고시 연계 과목의 전체 학습과정 수에서 약 25%의 비중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Han (2009)은 평생교육의 최종목표는 학교사회를 대체하는 평생학습사회의 장에서 새로운 교육과 학습현상을 탐색하는 일이라고 언급하였고, 평생교육연구는 학교를 넘어서는 대안적 교육현상과 제도를 탐색하고, 궁극적인 목표로서 평생학습사회의 구체적인 모형을 설계해 가는 작업을 병행해 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연구와 학습의 수행은 학교를 넘어서는 대안적 형태로서 설계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인데, 평생학습을 위한 장소 선정에 관한 측면을 고려해 볼 때에, 평생교육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다양한 평생교육시설, 예를 들어 백화점, 문화센터 등의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시설이나 시민단체, 대학, 언론기관 부설의 평생교육시설 등과 같은 교육의 장에서 현재보다 더 많은 가정과교육 관련 주제의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교육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행 가정과 교사뿐만이 아니라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학습을 위한 전문 인력들이 더 많이 양성되어 가정과교육의 전문지식이 평생교육의 내용으로서 다양하고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교육적 역할의 수행과 파급효과를 통해 사회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J. P. Lee, 2003).
또한, 가정과교육의 모학문인 가정학은 전문분야로서 이론적인 학문이라기보다는 프락시스, 즉 실천적 행동에 관심을 갖는 학문이며 실천의 향상에 관심을 가지므로, 가정학의 지식은 이론과 실천에 밀접한 연관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는데(Brown & Paolucci, 1978), 평생교육의 장에서도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의 교육을 통하여 개인과 가족들에게 이와 같은 가정학의 역할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5. 미래사회의 변화와 현대 한국 사회 환경 변화의 주요 원인

1) 미래사회의 변화

Anderson 등의 미래학자들은 10대 메가트렌드를 제시하였다(Anderson. et al., 2006). 그 내용은 관습적이고, 경제적인, 신자유주의적이며, 기업이 이끄는,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성을 특징으로 하는 세계화에 제한적으로 기초를 두고 있으며, 고령화와 세계화, 과학기술의 발달, 번영(GNP: 국민 총생산), 개별화, 상업화(부족의 심리), 건강과 환경의 연결, 가속화, 네트워크조직, 도시화가 그 구체적인 내용에 해당되는데, 이들 10대 메가트렌드는 항상 가족 중심적인 관점에서 해석되지 않았다고 한다.
가정학 연구자들은 세계적인 메가트렌드에 내재하고 있는 소멸하는 우주관을 비판하면서, 삶 중심적인 관점을 가지고 미래를 위한 경쟁력을 가져야 함을 주장하였다(Sue, 2012). 그들은 21세기 메가트렌드에 대한 해석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가족으로부터의 영감을 가지고 해석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미래의 경쟁력 있는 전문분야로서 수용할 수 있는 삶 중심적인 관점에서 논의된 10가지의 대안적인 반대트렌드를 확인하였다. 이에 해당하는 내용은 구체적으로 고령화의 기회 없음(에이즈의 발생), 아래에서 위로의 세계화, 가족에의 초점, 진보의 재정의, 공동의 것, 풍요의 심리, 인간의 욕구에 초점을 두는 것, 슬로우 운동, 친족 네트워크의 감소 그리고 역도시화가 제시되었고, 가정학자들은 이를 확인하여 가족이 생각해야 할 대안적인 길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사회 환경과 윤리적 기준들에 대하여 유기적이고, 이성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개인과 가정을 길러내는 일에 힘써야 할 것이며, 개인과 가족의 안녕 뿐만 아니라 사회의 이상에 기여하고, 나아가 인류의 선을 이루기 위해 가족의 행동체계를 고려하는 연구에 매진하여야 할 것임을 함의하는 내용들이었다.
한편, 미래학자들이 미래의 모습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과 구체적인 미래 사회의 구상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 기술, 경제, 환경과 자원, 정치의 다섯 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설정된, STEEP이라고 하는 환경스캐닝(environmental scanning) 틀을 주로 사용한다고 한다(Jang, 2014). 가정과교육 학자 Wang (2016), Lee 등(2013)Jang (2014), 그리고 Kwak (2014) 등의 선행연구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한 설명들을 환경스캐닝의 방법으로 재구조화하고 가정과교육의 미래 방향성 논의를 위한 토대로서 ‘환경 스캔을 통한 미래사회의 변화’를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의 첫 번째로서 사회 분야의 미래사회 메가트랜드로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제시하였고, 그 원인은 저출산, 고령화, 가족구조의 변화, 다문화 가족 증가로 설명하였고, 두 번째, 경제 분야의 메가트랜드는 경제 환경의 변화로서, 저성장시대와 시장 확대, 직업의 변화를 원인으로 설명하였다. 세 번째, 정치 분야의 메가트랜드는 국제 정치 환경 변화로서, 다원화사회와 지구촌사회, 북한의 변화를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네 번째, 기술 분야의 메가트랜드는 과학,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설정하였고, 기술혁신과 유비쿼터스 사회를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 다섯 번째, 생태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과 자원문제를 메가트랜드로 설정하였는데, 그 주요 원인은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 자원부족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자는 위에서 언급한 사회, 경제, 정치, 기술, 생태 환경 분야별 원인 이외에도 최근 한국 사회 환경에서 제기되고 있는 변화의 추가적 원인들을 Table 1과 같이 제시하여 보았다. 이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2) 현대 한국 사회 환경 변화의 주요 원인

위의 Table 1에서 최근 한국 사회 환경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의 주요 원인들을 다섯 가지 분야별로 제시하여 보았다.
최근 한국에서 일어나는 사회 환경 변화의 첫 번째 추가 원인으로서 사회 분야에는 ‘각종 전염병의 위협’과 ‘1인 가구 증가’, ‘아동학대 문제 증가’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 경제 분야의 변화의 추가 원인에는 ‘가계부채의 심각한 증가’를 설정하였으며, 세 번째, 정치 분야의 변화의 추가 원인에는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요구’, 네 번째, 기술 분야의 변화의 추가 원인으로는 ‘윤리적 기술’, ‘인간관계를 위한 기술 요구’, 다섯 번째, 생태 환경 분야의 사회변화의 추가 원인으로는 ‘잦은 지진 발생’을 원인으로 꼽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회 영역에서 거론되고 있는 한국의 주요한 변화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가족의 유형 변화로는 다문화 가족이 증가하였다. 특별히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가구의 형태(27.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Statistics Korea, 2015), 지난 2015년도에는 메르스와 같이 명확한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은(Ministry of Health, Disease Management Headquarters site, 2018) 전염병이 유행하여 갑자기 사회의 모든 시민들은 건강에 관한 큰 위협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아동 학대의 문제들은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둘째, 경제성장은 가속화되어 세계적인 양상으로 생산체계와 소비자들이 연결되는 형태가 점점 더 증가하였다. 우리나라가 세계 각국들과 맺은 FTA 협상은 우리 사회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투자 유지 확대 기회의 증진, 고관세 철폐, 자국 GDP(국내 총생산) 증가 등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견해가 이야기되고 있지만, 이는 농·축·수산물 생산 기반이 붕괴되는 문제를 장기적으로 일으키게 된다고 주장되고 있다(Kang, 2015). 한편, 2016년도 상반기의 가계부채가 54조원 이상으로 급증하여 가계부채 총액이 1천250조원을 돌파하였는데, 이러한 추세는 2016년도 연말 시점에 이르러 1천300조원까지 돌파하게 되고, 머지않아 가계부채의 재앙이 도래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보고되고 있다(Park, 2016).
셋째, 현대 사회는 다원화사회, 지구촌사회라고 불리면서 세계 각국과 국내의 사회, 정치적인상황들이 원인이 되어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특별히, 10대 반대트랜드의 항목 중, ‘아래에서 위로의 세계화’, ‘공동의 것’에 대한 의미의 중요성은 지난 2016년도 하반기에 우리나라에서 부각된 ‘민주주의의 본질 회복’에 대한 대국민적인 개혁의 목소리에서도 나타나, 현대 한국의 정치·사회적인 시대적 요구로서 맞물리면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교육 분야에서도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비판적 사고 훈련이 요구되며, 이와 함께 공동을 위한 ‘최고의 선’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의사소통과 의견일치 과정학습에 대한 요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과학과 정보통신기술 발전은 세계의 수많은 정보들을 빠르고 가깝게 연결시키고 있으며, 인간 생활에 편리함을 가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에게 더 윤리적인 측면을 강화한 과학으로서, 그리고 인간관계를 향상을 위한 기술로서 요구되고 있으며, 10대 반대트랜드가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현 시대에는 더욱더 가족의 의미와 관계에 초점을 두는 친족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가 부각되고 있고, 지역주의, 유심(마음에 담아둠), 지속가능성,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것에 가치를 중요시 여기는 감속, 즉 느림의 철학이 요구되고 있다(McGregor, 2012).
다섯째, 환경의 영역에서는 계속적으로 환경오염, 지구온난화, 자원부족의 문제가 거론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적으로 경주나 울산과 같은 지역에서 잦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은 우리 국민들에게 지진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보다는 의연하고 충실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며, 지진의 위험성에 대한 주의 환기와, 이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는 계기가 시작 되어야 할 것임에 대하여 우려의 목소리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Lee, 2016).
이와 같은 근거로 연구자는 Table 1과 같이, 한국 사회 환경 변화의 분야별 추가 원인으로서 사회 분야에는 ‘각종 전염병의 위협’과 ‘1인 가구 증가’, ‘아동 학대 문제의 증가’를, 경제 분야의 변화 추가 원인에는 ‘가계부채의 심각한 증가’, 정치 분야의 변화 추가 원인은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요구’, 기술 분야의 변화 추가 원인으로 ‘윤리적 기술’과 ‘인간관계를 위한 기술 요구’, ‘생태 환경 분야의 사회 분야 추가 원인에는 ‘잦은 지진 발생’을 그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를 고려한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1. 생활과 연계된 ‘문제 해결’ 중심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의 지능은 단편적 정보처리 중심의 구성적 지능보다는 경험과 상황대처를 통한 실용적 지능을 요구한다고 주장되고 있으며, 생활교과인 가정교과는 이러한 실용적 지능을 길러 주기에 가장 적합한 교과라고 한다(Wang, 2016).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은 학습자에게 이러한 실용적 지능을 가장 잘 계발해 갈 수 있도록 평생교육을 위한 내용의 주제를 선정하고 조력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또한, Kim (2005)은 가정 과학 교과의 운영 실태와 인식을 조사한 연구에서 가정과교육의 교과 내용 조직은 생활을 바탕으로 하여 통합적인 시각에서의 접근방법이 요구됨을 주장하였는데,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평생교육의 내용은 이러한 생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가정생활 영역의 각 분야에 관한 이론 지식과 가족생활주기, 그리고 일상생활의 삶과 연계된 문제 해결 중심의 교육내용으로 재구성되어 학습자들이 실제의 가정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2. ‘비판 과학’적 성격으로서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비판 과학은, 경험분석과 해석학 두 개의 과학적 관심을 포함한 지식의 포괄적 이론으로부터 도출되며, 이론과 실천, 사실과 가치, 과학과 철학의 통합에서 자아 반성을 회복하려는 노력과 인간이 의식적이고 활발하게 그의 삶의 방식을 결정하고 인간의 존재를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갖는 특징을 가진다(Brown & Paolucci, 1978). Habermas의 이론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지식을 인도하는 세 가지 관심이 있는데, 첫째, 기술적 관심은 자기 보존과 생존을 위해 환경을 통제하는 것에 관한 관심으로서, 경험분석 과학의 기초가 되며, 둘째, 의사소통적 관심은 사회적 규범에 대한 합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위한 상호작용에 관한 관심으로서, 해석 과학의 기초가 되고, 셋째, 해방적 관심은 자아 형성 과정이 그 자주성과 책임을 발전시키는 데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것에 관한 관심이며, 맹목적인 충동과 잘못된 자기이해, 숨겨진 이데올로기, 왜곡된 의사소통, 불필요한 사회적 제약들을 끄집어내어 자아 성찰을 통해 반성적으로 의식하게 하는 관심으로서 비판 과학의 기초가 된다. 가정학자 Brown은 Habermas의 이론을 가정과교육 패러다임의 기초로서 도입하였고, 이는 비판과학 가정 패러다임으로서 가정학의 토대가 되는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Chae, Lee, & Yoo, 2010). Habermas이론에 관한 구체적인 개념을 정리하면 다음 Table 2와 같다.
가정학은 비판 과학으로서 경험분석 과학, 해석 과학, 비판 과학 모두를 받아들이는 포괄적인 지식의 관점을 지지하고 있으며, 실천적 문제는 비판 과학 하나로만 해결되지 않으므로 실천가는 경험분석 연구와 해석 과학으로부터 관련된 지식을 비판적으로 선택하고 조직해야 한다고 한다(Brown & Paolucci, 1978). 또한, 가정학은 전문분야로서 가족을 자유롭게 하고 자주성과 책임을 갖도록 하는데 관심이 있으므로 세 가지 행동 체계, 즉,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을 형성하고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에 깨어 협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조력해야 할 것이다(Brown & Paolucci, 1978).
한편, Kim (2003)은 오늘날 우리 사회는 기술의 발달과 직업구조의 변화로 새로운 기술과 기능이 필요하며, 현대 사회 구조가 보다 전문화되고, 특수화, 조직화 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사회 구조에 개인이 기능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평생교육은, 개인이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사회 가치를 창조적이고 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고, 궁극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적응적 기능과 개혁적 기능을 함께 계속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평생교육이 기대하는 바라고 진술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가정학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Harbermas의 이론과 세 행동체계는 평생교육이 추구하는 학문적 입장과도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학문적 관련성이 있는 두 학문은 모두 급격한 사회 변동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역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 학문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주장되고 있기에(Chae, Lee & Yoo, 2010; Kim, 2003), 본 논문의 주제에 대하여도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 Table 3의 내용은 비판 과학적 관점을 활용한 세 가지 행동체계 중심에서의 가정과교육 내용의 질문으로서, 본 연구자가 세 행동체계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한 질문 사례이다.

3. 현대 한국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미래의 생활세계는 비판이론이 처음 등장하였던 시대보다 더욱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구분이 없어지게 되어 사람들은 더욱 많은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므로, 가정과교육 전공자는 타 분야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실생활의 실천적 활동에 도움을 주는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교육내용을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라고 한다(Yoo, 2001).
한편, Han (2009)은 사회적 관계로서의 학습이라는 인터페이스는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정치학, 사회학, 경제학 등이 이해하지 못했던 조직공동체의 형성과 유지, 발전, 쇠퇴에 관한 독특한 접근법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하고, 이것은 사회현상으로서의 학습현상이 가지는 교육학적 독특성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인간의 학습은 가르침과 배움이라는 생명줄로 맺어진 특별한 유형의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가는 관계적 특성을 가지는데, 인간은 그 생명줄을 사용하여 자기 자신과 조직공동체를 연결하는 거미줄 망(web)을 만들어 감으로써 생존과 발전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로서의 학습 현상을 평생교육에 있어서의 중요한 의미로서 설정하고, 가정과교육 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할 미래사회의 평생교육 내용에 대하여 제안해 보겠다.
앞서 Table 1에서 제시된 한국 사회 환경 변화의 분야별 추가 원인을 고려한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가구의 증가는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상황에서는 특별히 가족관계 내에서의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이 중요한 교육내용의 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Wang, 2016), 각종 전염병의 위협과 아동 학대 문제의 증가는 위기관리 능력에 대한 예방교육과 안전에 관한 요구를 떠오르는 교육내용의 주제가 되게 하고 있다. 특별히, Kim (2016)의 ‘가정과 안전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안전은 인간으로서 반드시 직면하는 실천적 문제이며, 안전에 관한 주제는 항구적인 과제로서 가정교과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내용 요소임이 주장되고 있다.
둘째, 성장의 가속화와 세계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경제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가정과교육에서 학습자에게 경제적인 지식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경제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연구를 통하여서도 확인할 수 있다(Kim, 2005). 또한, 지역경제는 지역의 경제, 교육, 안전, 도덕적 전통, 문화적 가치 등의 총체적인 조화가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을 때 활성화되고 성장하게 된다고 하는데(Lim, 2006), 가정과교육 분야에서도 지역경제의 성장을 위한 가정차원의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이 필요하며, 이는 소비자 문화 교육의 내용의 주제로서 평생교육의 형태로서 실시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가계부채의 심각한 증가는 정부 관련의 시책이 요구될 뿐만이 아니라, 모든 가정에서 이를 대비하고 대처하는 가계운영교육이 절실하다고 본다. 이에 관하여 가정과교육 분야에서는 가정경제운영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경제교육 내용을 주제로 설정한 평생교육 내용이 향후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Kim, 2005).
넷째, Lee 등(Rhee, J. W. Lee, Lee, Yoo, Jang & Kim, 2007)은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통하여 공중의 토론 능력을 향상시킴으로 말미암아 잘 토론하며 적절히 행동하는 시민 능력을 갖춘 공중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고, 커뮤니케이션 교육은 ‘동기화되고 숙의적인 공중’을 기를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고시된 ‘가정생활’ 분야의 성격 부분을 살펴보면, 가정과교육을 통해 “자신과 가족, 지역사회, 자원, 환경과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여 전 생애에 걸쳐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반성적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는데(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5), 이처럼 의사소통적 행동에 관련된 교육은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비판적 사고 훈련으로서 가정과교육에서도 중요한 자리에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과학과 정보통신기술 발전은 사람들에게 더 윤리적인 측면을 강화한 과학으로서, 그리고 인간관계를 향상을 위한 기술로서 요구되고 있는데, 가정과교육 분야의 교육내용 주제에서도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Wang, 2016)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에서의 윤리교육의 전망에 관한 연구(Kim, 2007)를 살펴보면, 모든 교육과정은 지적으로 총명하고, 도덕적으로 선한 사람을 기른다는 목적을 추구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윤리교육학의 분과는 실천철학의 학문분과이며, 문제 지향적 윤리학으로서의 특성을 지닌 응용 윤리학의 교육 영역으로 확대될 것임이 주장되고 있는데, 가정과교육의 성격은 실천철학과 문제 지향적 성격을 가진 학문으로서(Brown & Paolucci, 1978) 윤리교육의 특성과도 부합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주제의 윤리교육 내용은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을 통해서도 바람직하게 학습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자연 환경의 문제들은 사회적이고 지역적인 불안의 요소가 되고 있으므로 재난에 대한 예방과 안전 대책, 국가 위기관리 능력이 필요함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Kwon, 2016).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여, 환경과 자원에 관한 윤리교육을 실시하고, 지속가능발전 교육, 안전교육, 위기대처능력 배양을 위한 학습내용을 앞으로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의 주제로서 다루어야 할 것이다.
Table 4의 내용은 한국 사회 환경 변화의 분야별 추가 원인을 고려하고 이러한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여 적합한 제안이 될 수 있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제안’이다. Table 4의 내용은 특별히 가족생활교육을 중심으로 설정한 평생교육 내용주제와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위의 Table 4에서는 ‘가족관계 유대감 형성 및 향상 교육’, ‘위기예방 및 관리 대처 능력 훈련 학습’, ‘가계운영 교육’. ‘안전 교육’, ‘의사소통 및 의견일치 과정학습’, ‘소비자 문화 교육’, ‘환경과 자원에 관한 윤리교육’, ‘지속가능성 교육’,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과 같이 가정과교육 분야에서 제시할 수 있는 평생교육 내용의 주제 아래,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1인 가구 운영 교육(재무, 가사, 주택 마련·유지 관련)’, ‘질병예방 및 대처 가정생활교육’, ‘재난 대응 관련 교육(의, 식, 주, 소비자, 가족생활 관련)’, ‘가정폭력 예방 교육’, ‘신변안전 교육’, ‘명절시 역할분담 교육’, ‘밥상머리 교육’, ‘세대 문화 이해 교육’, ‘가계 부채 예방을 위한 재무관리 교육’, ‘소비자시민 교육(권리와 의무)’, ‘나눔 및 재활용 교육’, ‘지역사회 창업 교육(진로 교육)’, ‘지역 생산물 소비 장려 교육’, ‘가족 대상별 이해와 소통 교육’, ‘대화법 및 의사소통 예절 교육’, ‘가족관계 향상을 고려한 ICT(정보통신기술교육)’, ‘ICT 소비자윤리 교육’, ‘환경윤리 교육’, ‘친환경 에너지 소비 교육’, ‘재난 시 구호에 관한 정보 교육’, ‘재난 대응 매뉴얼 교육(신체적, 정신적)’과 같은 프로그램들을 제시하여 보았다. 이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 주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 중, ‘시민참여교육’, ‘문화예술교육’, ‘인문교양교육’ 영역에서 ‘기초생활기술’, ‘시민참여활동’, ‘시민리더역량’, ‘생활문화예술’, ‘건강심성’, ‘시민책무성’, ‘인문학적교양’과 같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소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위에서 열거한 평생교육 차원에서의 가정과교육 주제의 프로그램들은 앞으로 더욱 많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가들은 이러한 학습내용들을 먼저 배우고 교육함으로써, 변화하는 사회의 상황과 미래에 발생하게 될 문제들에 대하여 지혜롭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학습자를 길러내는 사회적 사명을 충실히 담당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은 사회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인을 책임성을 가진 한 사람으로서 훈련시키고, 합리적인 가계경제운영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하며,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 증진과 함께 가정과 사회에 대한 책임성 있는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가계부채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지식을 터득하게 하며, 건전한 소비자로 양성되어 사회의 바람직한 경제 문화의식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므로 매우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정교육 분야와 연계된 평생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볼 수 있다.
현재 한국 사회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을 보이고 있고, 다문화 가족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2015년도에 발생한 전염병인 메르스의 발생, 속출하는 아동 학대의 문제들은 큰 충격이 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계부채의 심각한 증가는 우리사회와 가정의 안정에 심각한 위기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민주주의의 본질 회복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으며, 지역적으로 산발하고 있는 지진은 사회적 불안의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의 가정과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평생교육은 여러 가지 사회의 변화와 위기에 발맞추어 학습자들의 실제 삶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가정생활의 문제와 연관되어 예방적인 학문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개인과 가정, 우리 사회에 최선의 대안을 제시하여 삶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조력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평생교육 현장에의 현실은 가정과교육 관련 교육내용이 학문적 성격인 ‘실천과학’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가정과교육 분야에서의 평생교육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선정 작업에 있어서 사회적 상황과 미래사회의 변화를 충분히 반영한, 가정생활 영역 각 분야의 이론 지식과 가족생활주기, 그리고 일상생활의 삶과 연계된 문제 해결 중심의 교육내용이 종합적으로 재구성되어 평생교육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배운 학습자들이 그들의 실제의 생활에서 교육받은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정학은 비판 과학으로서, 경험분석 과학, 해석 과학, 비판 과학 모두를 받아들이는 포괄적인 지식의 관점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가정학의 세 가지 행동 체계를 유지하고 형성하여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에 깨어 협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가정과교육 분야에서의 평생교육 내용은 생활과 연관된 비판 과학적 관점에서 사회적 상황에 대응하는 교육내용으로서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과교육의 평생교육 내용은 사회를 이루는 각 개인이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할 수 있기에 더욱 중요한 교육내용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가정과교육과 연계한 평생교육은 다양한 평생교육시설과 연계하여 교육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며, 각 지역에 속한 모든 시민들을 교육대상으로 설정하고 가정과교육 관련 주제의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방안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행 가정과 교사뿐만이 아니라 가정과교육 분야에 관련된 전문 인력들을 더 많이 양성하고 활용하여 가정과교육의 전문지식을 평생교육의 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장려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가정과교육 내용은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수용하는 내용을 포함하여야 할 것인데(Park, 2006), 가족관계 유대감 형성 및 향상 교육, 위기예방 및 관리·대처 능력 훈련 학습, 안전교육, 가계운영 교육, 의사소통 및 의견일치 과정학습, 환경과 자원에 관한 윤리교육, 지속가능성 교육, 지역경제 활성화 교육과 소비자 문화 교육 등은 앞으로 수행되어야 할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의 내용의 주제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1인 가구 운영 교육(재무, 가사, 주택 마련·유지 관련)’, ‘질병예방 및 대처 가정생활교육’, ‘재난 대응 관련 교육(의, 식, 주, 소비자, 가족생활 관련)’, ‘가정폭력 예방 교육’, ‘신변안전 교육’, ‘명절시 역할분담 교육’, ‘밥상머리 교육’, ‘세대 문화 이해 교육’, ‘가계 부채 예방을 위한 재무관리 교육’, ‘소비자시민 교육(권리와 의무)’, ‘나눔 및 재활용 교육’, ‘지역사회 창업 교육(진로 교육)’, ‘지역 생산물 소비 장려 교육’, ‘가족 대상별 이해와 소통 교육’, ‘대화법 및 의사소통 예절 교육’, ‘가족관계 향상을 고려한 ICT(정보통신기술교육)’, ‘ICT 소비자윤리 교육’, ‘환경윤리 교육’, ‘친환경 에너지 소비 교육’, ‘재난 시 구호에 관한 정보 교육’, ‘재난 대응 매뉴얼 교육(신체적, 정신적)’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은 사회를 구성하는 각 개인들에게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고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비판적인 사고를 통한 합리적인 지식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증진시켜, 그들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와 국가를 건전하게 유지해 나가도록 조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평생교육 내용을 배운 학습자들은 의식적으로 환경을 보호하며, 나아가 미래에 발생할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하여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실용적 지능을 가진 인간으로서 계발되어 지속적으로 사회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Table 1.
Additional Causes of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of Korea
Field Additional causes
Society Threats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crease of one person household, Increase of child abuse problem
Economy Significant increases in household debt
Politics Demand for democratic accountability
Technology Ethical technology, Technical requirements for human relations
Ecological environment Frequent earthquakes
Table 2.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ree concerns that guide knowledge
Technical interest Interest in controlling the environment for self-preservation and survival Experience analysis Science
Communication concerns Agreements on social norms, Interactions for smooth communication Interpretive science
Emancipatory interest (critical interest) Interest in freeing the self-formation process from constraints in developing its independence and accountability Critical science
Reflect on blind impulses, false self-understanding, hidden ideology, distorted communication, unnecessary social constraints, and reflection through self-reflection

Source: Brown & Paolucci (1978): Definition

Table 3.
Question Examples in Home and Education Contents Centered on Three Behavior Systems
Content subject Behavior system
Technical behavior Communicative behavior Emancipatory action
Time How do you allocate time when you look at the things you need to do today as a priority measure? How does my one-day schedule with time as a priority affect me in relationships with me, family, and others? How should I prioritize my time, if it rais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family members and causes discomfort in other personal relationships?
Money What is the total amount of my future education expenses to graduate from college? How does it help my family to calculate the total cost of my education? If my total tuition is at risk of generating household debt in the future of our family and how should we prepare for this?
Energy resource Practice to keep proper cooling and heating temperature (summer: 26-28℃, winter: 18-20℃). How can the proper air-conditioning temperature setting help me and my family and our society? Thinking about why the failure of 'proper temperature setting practice' occurs, what solutions should we build at the level of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Table 4.
Proposal of Lifelong Education Contents & Program as a Family Life Education in Futur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Reflecting Social Needs
Field Additional causes of social change in Korea lifelong education contents & program in futur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Society Threat of infectious diseases, Increases in one person households, Increases in child abuse problems - Household operation education: 'One-person households operational training(Finance, housework, housing arrangement & maintenance)
-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 coping ability training: 'Disease prevention and coping family life education'
- safety education: 'Disaster response training (Related to life, food, state, consumer, family lif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Personal safety education'
- Forma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Role-sharing education during holidays' 'Bapsangmeori education,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generation culture'
Economy Significant increases in household debt - Household operation education: 'Debt prevention financial management education'
- Consumer culture education: 'Consumer citizenship education (rights and obligations)'
-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aring and recycling education'
- Local economic activation education: 'Commun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reer Education)' 'Encouraging local product consumption Education'
Politics Demand for democratic accountability - Forma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Family target-specific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training'
-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Dialogue and communication etiquette education'
Technology Ethical technology, Technical requirements for human relationships - Forma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education considering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
- Consumer culture education: 'ICT consumer ethics education'
-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Eco-friendly energy consumption edu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Frequent earthquakes -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 coping ability training learning: 'Information on disaster relief education'
- Safety education: 'Disaster response manual training (physical and mental)'

References

Anderson, K., Kruse, M., Persson, H., Mogensen, K., & Eriksen, T. (2006). 10 megatrends toward 2020. Copenhagen, Denmark: Copenhagen Institute of Future Studies.

Ban, S. U. (2003, July). Discussions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mo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Brown, M.Paolucci, B. (1978).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Chae, J. H., Lee, S. H., & Yoo, T. M. (2010). Social contribution and futur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4), 139-154.

Chunjae E-learning Encyclopedia. (2018). Rertrieved March 5, 2018, fro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43481

Choi, J. S., & Park, Y. H. (2000). Educational Sociology.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Daum Encyclopedia. (2018). Retrieved March 5, 2018, fro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XXj8.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8). Retrieved March 5, 2018, fro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00333

Han, S. H. (2009). Lifelong education. Seoul: Hakjisa publisher.

Han, S. H., & Park, M. S. (2015). An analysis of the AHP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six classification sche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995-1005. http://dx.doi.org/10.5762/KAIS.2015.16.2.995
crossref
Hong, A. J., Lee, J. H., & Park, G. M. (3). Provision pattern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 Analysis of 2011-2015 lifelong education statistics dat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4(3), 249-281.

Jang, J. H. (2014, November). 2030 Change of future society and occupational life and educational approach.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Jeon, S. G., & Jang, M. H. (2003). Lifelo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activation Plan.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Kang, J. W. (2015). FTA economic territory powerful country Korea. effect of concluding FTA return to the people? Kang Jin Won column. Retrieved March 5, 2018, from http://blog.naver.com/kjw5310k/220507980652.

Kwak, B. S. (2014). Future society’s talent and direction of new curriculum.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pp. 13-30.

Kim, B. M., & Chung, H. S. (2007). An analysis on the current features of family life education in Seoul area.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2(3), 285-312.

Kim, H. S. (2007). A prospect on the ethics education in Korea in view of futurology. Ethics Education Research, 12, 157-178.

Kim, J. H. (2001). Socia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eoul: Haein Publishing Company.

Kim, J. H. (2003).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9), 121-135.

Kim, N. E. (2016).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safety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47-63. http://dx.doi.org/10.19031/jkheea.2016.09.28.3.47
crossref
Kim, S. H. (2005).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2), 61-77.

Kim, S. H., & Chae, J. H. (2006).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them and the moves to strengthen home economics resources for school lifelo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teachers’ view.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4), 127-141.

Kwon, H. Y. (2016). International discussion on disaster management and implications for Korea’s disaster response. Dong-a Law Review, 71, 115-146.

Lee, C. W. (2016). Gyeongju and Ulsan earthquakes: For strengthening earthquake preparednes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4(11), 58-59.

Lee, J. P. (2003, July). Discussion on “The role and tasks of family lif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using school”.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Lee, K. W., Baek, K. S., & Lee, S. M. (2013). Direction of national curriculum of future society: The direction and tasks of Korea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evaluation of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eoul: Academician.

Lee, Y. S. (2003, July). The role and tasks of home lif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lifelong education using school.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Seoul, Korea.

Lim, K. S. (2006). Measures for 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and regional innovation through territorial assets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Economics, 4(2), 3-3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Separate volume (10).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5).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Separate volume (10).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Disease Management Headquarters site. (2018). Retrieved March 5, 2018, from http://www.mers.go.kr/mers/html/jsp/Menu_A/content_A5_1.jsp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4). Lifelong education white paper. Seoul: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ark, M. H. (2006). A study on the content innov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a reflected in social change & need.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1), 77-93.

Park, T. T. (2016, August 25). Household debt surpasses 1,250 trillion ... Now, let‘s go to the next regime’ disaster ‘. Views and News Retrieved March 5, 2018, from Retrieved March 5, 2018, from link href=”static/noscript.css?17” rel=”stylesheet”

Rhee, J. W., Lee, S. C., Lee, G. H., Yoo, J. A., Jang, Y. J., & Kim, H. S. (2007). Learning ‘public speaking and debate’ and its impact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efficacy and civility: A filed experimen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1), 144-171.

Statistics Korea. (201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Based on complete enumeration: Result of registration census method aggregation. Daejeon: Statistics Korea.

Sue, L. T McGregor (2012). Creating home economics future: The next 100 years. chapter 3. Australia: Australian Academic Press.

Yoo, T. M (2001, October). The role of home economics and education in building and maintaining future women, families, and social support systems.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Seoul, Korea.

Yoo, Y. J., & Lee, J. Y. (1994). Principles of home economics. Seoul: Shin Kwang Publishing Co.

Wang, S. S. (2003). Document research to identify the goal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5(2), 79-99.

Wang, S. S. (2016).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ed with the future social change : Focusing on the new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 as the subjects for life and happines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17-32. http://dx.doi.org/10.19031/jkheea.2016.09.28.3.17
crossref
Wikipedia. (2018). Retrieved March 5, 2018,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A0%95%EA%B5%90%EC%9C%A1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upplement  Supplement
  Print
Share:      
METRICS
1
Crossref
4,914
View
66
Download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