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2(2); 2014 > Article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유아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의 효과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 integrative art program that incorporates both emotional and pro-social components for young children (age, 4-5 years). Furthermore, the effectiveness of this integrative program was examined with 39 young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is study.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tegrative art program of interest in this study was provided over 8 weeks.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were provided a similar program during the same period. To measure the level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ose of their pro-social behavior were assessed by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questionnaire and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ssessment scale to collect the data. The analysis of covariance by SPSS 18.0 indicated that the young children from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higher total scores f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grative art program of interest in this study improve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pro-social behaviors. Along with main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서 론

최근 급변하는 사회에서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 및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은 최신의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성공의 요소로서[4] 간주되고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우리나라 학계를 비롯한 사회 전반에서 글로벌한 인재가 갖추어야할 덕목으로 지능지수보다는 감성지수가 우위를 차지해야 관점이 지지를 받게 되면서 감성지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그 어느 시기보다 높다.
학자들마다 감성지능에 대해 다양하게 정의를 내리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감성지능은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의 한 부분으로 간주되어 오고 있다[18]. 사회적 지능이란 자신과 다른 사람의 내적 상태, 동기, 행동을 지각하고 그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가장 적합하게 행동하는 능력을 의미한다[28]. 정서지능이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되는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은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꼭 필요한 능력으로서,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정확히 지각하고, 지각된 정서와 감성과 관련된 지식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능력과 상황에 따른 정서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하여 나와 타인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31]. 이에 감성지능은 개인을 둘러싼 타인과 사회적 환경 전반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상호관계를 형성해 나가기 위한 기반으로서 사회성과의 높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정서와 인지와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는 관점에서 사회성과는 개념적 차별성을 둘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성지능을 구성하는 하위요소를 4가지 즉, 정서지각, 정서 사고촉진, 정서이해, 정서조절로 구분한 Mayer 등[23]의 개념에 기초하여 감성지능을 유아가 나와 타인의 정서를 정확히 지각하고 이를 이해하며 나아가 평가·조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감성지능 또는 정서지능 관련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3가지 차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우선, 유아의 정서 또는 감성지능은 동시기에 이들의 사회성 발달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일관성 있게 보고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Jung [8]은 유아의 정서지능이 이들의 마음과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였으며, Lee와 Lee [19]는 유아의 감성지능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련성을 보고하면서 유아의 감성지능을 발달시키면 사회적 유능감 또한 함께 향상시킬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감성지능과 사회성과는 어느 정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발달 연속선상에서 유아기 시기 감성지능은 이후 발달에도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Katz와 McCellan [9]은 1970-1990년대까지 연구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유아가 6살까지 정서·사회적 영역과 관련하여 최소한의 발달수준을 이루지 못한다면 전 생애를 통해 부정적인 경향, 부적응과 같은 위험을 가질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나아가 발달초기에 정서지능이 낮은 유아는 이후 사회관계, 학업성취도, 심리적 적응 등에서 문제를 겪게 되어 비행 청소년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으며, 반면 유아기 감성지능이 높은 유아는 또래에게 인기가 많고 우호적인 또래관계를 형성하며 나아가 스스로의 삶에 대해 만족스럽게 느끼면서 성장한다[7]. 이에 Chi 등[1]은 유아기는 끊임없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성 개발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임으로 자신에 대한 이해 및 수용,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 등 바람직한 인간관계 형성의 기본조건들을 바르게 발달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유아기에 성립된 친사회성이 성인이 되었을 때의 사회적 관계 및 행동의 근간이 되어 개인의 행복한 삶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함을 입증하며 더불어 유아기 감성·사회성 발달 수행을 더욱 강조하고 있어, 유아기 감성지능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의 제공은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유사한 맥락에서 유아의 체육 관련 활동이 정서,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12, 13], 유리드믹스 활동[3], 협동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5, 6, 15, 29] 등과 같은 관련 선행연구들은 유아기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발달이 근간이 되어 이후 학령기에 이루어지는 체육, 음악, 미술 등 교과와의 통합 교육에 의하여 보다 높은 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 접근법 차원에서 미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어 오고 있다. 언어와 문자발달이 미숙한 유아기 발달적 특성상 유아에게 미술은 의사소통의 매개로써[17],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표현매체로 작용한다[25]. 또한, 미술활동은 단순한 표현활동이 아닌 감각적으로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의 만남을 통해 의미를 구성하므로 내면적인 정화와 심미적 가치관을 형성하고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의 기회를 주는 과정을 통해 유아의 학습과 지식체계를 구축하도록 하는 점에서 매우 가치 있는 활동이다[1]. 유아기 교육의 매체로써 미술의 효율적 가치는 이미 일반화된 인식으로 특히, Mayesky [24]는 도식기의 만 4-5세 유아들은 그림을 통해 자신의 내면 및 경험 세계를 표현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근거로 이루어진 유아의 미술적 접근을 통해 이들의 감성지능을 향상시킨 선행연구들[17, 24, 25]은 공통적으로 유아가 또래와 함께 미술적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감정, 정서를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자신과 타인의 독특성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감정들을 자연스럽게 수용함을 보고하고 있다.
Shirrmacher [27]는 유아의 미술활동의 목적은 예술가 양성이 아니라 유아가 주변 세계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갖도록 격려하고 전인적 발달을 이루기 위함을 주장하였으며, Lowenfeld와 Brittain [22]은 유아는 자신이 경험하고 생각하고 있는 바를 그림으로 표현하면서 사회 규칙과 책임을 학습하고 궁극적인 사회적 성장과 발달을 이룬다고 하였다. 이에 Yoo [30]는 현재 유아미술 교육과정의 교사 중심적 표현활동에 치중한 주지적인 미술교육을 비판한 바 있다. 이는 유아기 바람직한 미술교육활동은 교사 주도적 차원에서 교사가 제시하는 미술적 기법을 모방하여 이를 그대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탈피하여, 유아 주도적으로 자신과 타인의 다양한 정서가 투영되는 자연스러운 미술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유아의 일상적 경험이 반영된 흥미롭고 의미있는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예술적 자료와 매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나와 또래, 나아가 인간이 공유하는 다양한 감성, 정서, 가치 등을 탐색함으로써 나와 타인을 존중 및 배려하는 태도를 함양하도록 지원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유아의 미술활동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유아 자신의 심적인 내면의 표출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나아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 매개체임은 입증하고 있으나 유아기 발달적 특성을 반영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하는데 있어 교수-방법차원과 관련하여 여전히 제한점들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유아기 감성과 사회성의 발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유아기의 감성지능과 사회성이 통합되어 교육현장에서 실천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유아를 대상으로 이를 어떻게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탐색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신과 타인의 감정의 수용 및 이해, 사회적 관계 등의 요소를 바탕으로 개발되어 효과검증이 이루어진 Vernon [29]의 유아 사회, 정서 발달 프로그램 Thinking, Feeling, Behavior (TFB) curriculum, Mayer 등[23]이 Four Brunch Model에서 제시하고 있는 감성지능의 4개 하위영역 및 2013년 개정된 영·유아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요소들을 토대로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을 연계하여 증진할 수 있는 유아통합미술교육의 이론적 탐색 근거를 지원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유아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은 유아의 감성지능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유아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가?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G구에 소재의 국·공립 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만 4-5세 통 합반 유아 37명이다. 실험집단은 C어린이집 유아 18명(남아 11명, 여아 7명), 비교집단은 H 어린이집 유아 19명(남아 11명, 여아 8명)으로, 이들은 서울시 같은 구에 위치하며 살고 있는 지역여건과 사회·경제적 수준 및 가정환경이 비슷한 유아로 구성되어 있었다. 연구대상의 집단별 구성과 평균연령은 다음의 Table 1과 같다.

2. 연구도구

1) 유아 감성지능 검사도구

본 연구에서는 유아 감성지능 검사를 위하여 Mayer 등[23]의 Four Brunch Model에 기초하여 유아 특성에 맞추어 측정될 수 있도록 개발한 Lee와 Lee [19]의 ‘유아용 감성지능 척도(Emotional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 EITC)’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EITC는 총 43문항으로 정서지각(11문항), 정서의 사고촉진(10문항), 정서이해(12문항), 정서조절(9문항)의 하위 4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신뢰도는 Cronbach’s a .83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 Cronbach’s a는 정서지각 .82, 정서의 사고촉진 .82, 정서이해 .83, 정서소절 .89이다.
감성지능 검사는 일대일 개별검사로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각 문항은 검사자가 제공해주는 사진, 혹은 들려주는 짧은 이야기를 듣고, 그중에서 가장 알맞다고 생각하는 것을 유아가 직접 3개 혹은 4개의 보기 중에서 고르게 하고, 유아가 반응하는 대로 바로 채점용지에 기록하였다. 검사에 소요된 시간은 1인당 25-30분 정도이다.
본 연구의 감성지능 척도의 채점은 Mayer-Salovey-Caruso Emotional Intelligence Test (MSCEIT)의 방식을 바탕으로 유아의 감성지능에 맞추어 개발한 Lee와 Lee [19]의 유아용 감성지능척도 EITC에서 사용한 방식의 전문가 준거(expert criterion)에 의해 전문가 집단이 문항별로 하나의 정답을 정하고 피험자의 응답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채점하는 방식을 택하여 정답이면 1점, 오답이면 0점으로 평정하여 이를 합하여 4개의 하위영역에 대한 점수와 총점을 구하였다. 따라서 유아가 받을 수 있는 최고점은 요인별로 정서지각 11점, 정서의 사고촉진 10점, 정서이해 12점, 정서조절 9점으로 전체 감성지능의 최고점수는 35점이다. 총점이 높을수록 유아의 감성지능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2) 유아 친사회적 행동 검사도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Kim [16]의 유아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PBSYC)를 사용하였다. PBSYC는 총 42문항으로 지도성(8문항), 도움주기(9문항), 의사소통(7문항), 주도적 배려(6문항), 접근 시도하기(5문항), 나누기(3문항), 감정이입 및 조절(4문항)의 7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신뢰도는 Cronbach’s a=.85이며 하위요인별 신뢰도 Cronbach’s a는 지도성 .85, 도움주기 .82, 의사소통 .80, 주도적 배려 .80, 접근 시도하기 .80, 나누기 .80, 감정이입 및 조절 .70이다.
친사회적 행동 검사는 담임교사의 평정을 통해 측정되었다. 실험집단의 담임교사와 비교집단의 담임교사는 검사도구를 이해한 후 유아의 자유로운 놀이상황을 포함한 어린이집에서 유아의 전반적인 생활을 관찰하고 그것을 토대로 각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점수화하여 평정법에 의하여 검사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로 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채점방법을 통해 가능한 점수의 분포는 최하 42점, 최고점 210점이다.

3. 연구절차

1) 예비연구

본 연구의 수행에 앞서 2013년 3월 5-9일에 걸쳐 연구에 참여하지 않는 C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 8명(남아 5명, 여아 3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 및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 감성지능검사 실시과정에서 유아들이 그림판별에 모호함을 느꼈던 ‘정서지각’의 1문항을 삭제하였고 친사회적 행동 검사는 검사방법 및 절차상 무리가 없음을 확인하여 수정 없이 사용하였다.
또한, 2013년 3월 18-22일까지 총 3회의 예비검사 실시 유아들을 대상으로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및 학습 방법과 교수·전략의 적절성을 확인하고 실험처치 소요시간의 적절성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 프로그램의 실험처치 과정이 자연스럽고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어린이집 원장 2인, 아동교육 및 보육 전문가(관련 분야 박사학위 및 현장 유경험자) 3인의 내용과 진행과정 전반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본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2) 사전검사

사전검사는 2013년 3월 18-22일의 총 5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감성지능 검사는 어린이집 내 조용한 공간에서 1:1 개별 면담 형식으로 본 연구자에 의하여 직접 이루어졌다.
친사회적 검사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담임교사가 유아 37명(실험/통제)을 대상으로 직접 실시 및 평가하였다.

3) 실험처치

본 연구의 실험은 2013년 4월 2일-5월 20일 총 8주에 걸쳐 일주일에 2회씩, 총 15회에 걸쳐 대집단 활동 시간대인 오전 10시부터 총 45분 동안 본 연구자에 의하여 통합미술활동이 실시되었다. 비교집단 유아들은 담임교사의 일과운형 계획에 의하여 미술 매체에 따른 표현 중심적 일반미술활동이 이루어졌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각 집단의 보육시설 일과 운영은 Table 2, 활동명 및 진행일정은 다음 Table 3에 제시한 내용과 같다.

(1) 교육내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통합적 접근의 교육과정을 기본원칙으로 한다. 통합적 접근에 의한 교육과정이란 유아를 전인적 인격체로 보고 발달영역별, 흥미영역별로 통합하여 경험 속에서 학습이 되도록 도와주는 교육과정이다. 즉, 학문이나 경험 또는 활동의 모든 부분들을 전체와 관련시켜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궁극적으로 학습자 경험, 인격의 통합이며 전인적 발달을 목적에 두고 있다[11].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을 위한 유아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으로, 본 연구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유아들에게 스스로에 대한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어지는 생각 나누기, 미술활동 등의 과정을 경험하면서 유아들이 나와 타인의 생각과 감성을 공유하는 법을 알아가 함께 하는 것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주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한 목적의 구현을 위하여 먼저, 2013년 만 4-5세 누리과정을 살펴보고 감성 및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하여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의사소통 영역 및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분석 및 추출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은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하고자 함에 그 목표가 있으며, 유아의 미술표현능력, 감상능력과 같은 미술과 관련한 인지 측면의 목표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미술활동은 유아의 자유로운 표현, 생각의 교환과 협동을 위한 매개체로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누리과정에서 유아의 미술표현과 관련하여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그리기, 꾸미기, 만들기, 구성하기의 기본활동을 본 연구의 미술활동 내용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유아 그림 표현 발달 단계의 4-6세에 보편적으로 해당되는 전도식기 특징에 해당하는 협동 의식 출현, 표현 의도에 따른 색상 표상 욕구[10, 22]를 반영하여 크레파스, 사인펜, 색연필, 마카, 파스텔, 물감과 같은 다양한 질감과 색상의 표현자료를 모든 활동에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Mayer 등[23]의 Four Brunch Model에 근거하여 TFB curriculum [29]의 교육내용을 함께 분석하여 정리함으로써 본 연구의 유아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는 다음 Table 4의 내용과 같다.
또한, 본 연구의 활동이 어린이집 일과 내에 이루어지고 참여 유아들의 발달과 흥미·적극적인 참여를 고려하여 2013년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주제(4월, 봄; 5월, 나와 주변인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상의 모든 내용에 의거하여 개발한 본 연구의 프로그램 총 15회기의 구체적인 활동명과 목표 및 주 교육내용은 다음 Table 5와 같다.

(2) 프로그램의 계획안 예시

본 연구의 만 4-5세를 위한 유아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 계획안의 구체적 예시는 다음의 Tables 67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3) 유아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단계 및 교사 역할

본 연구 프로그램 목적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하여 구성한 교수·학습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의 Table 8과 같다. 각 단계는 활동내용 및 유아의 흥미에 따라 순서가 다르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프로그램의 주제에 적합하고 효율적인 전개를 위하여 유아용 감성교육 프로그램[19, 20]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교사 역할을 설정하였다.
첫째, 상호작용·참여자의 역할이다. 교사도 집단의 일원으로 모든 활동에 적극 참여한다. 또한 자신의 감정을 개방적으로 표현하고 정확한 정서단어, 얼굴 표정을 통하여 상호작용 하도록 한다.
둘째, 지원자의 역할이다. 유아의 질문에 개방적으로 반응하며 정확하게 피드백을 주어 유아가 자아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반응하여 확신을 준다. 또한 유아들의 아이디어를 반영·확인시켜 되돌려주는 과정을 통하여 유아들이 활동을 보다 의미 있게 구성하며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셋째, 사회자의 역할이다. 일방적으로 유아들에게 가르치고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유아, 유아-유아 간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 지속적인 토론이 일어날 수 있도록 격려하도록 한다.
넷째, 평가자의 역할이다. 유아가 활동을 통해 얼마나 목표에 도달하였는가, 활동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했는가의 평가를 위해 유아 활동 결과물, 교사 관찰, 일과기록 자료들을 수집하여 유아의 이해정도를 알아보고 유아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4) 사후검사

프로그램 종료 후 2013년 5월 20-24일에 걸쳐, 사전검사에서 사용하였던 동일한 도구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값을 통제하고 사후검사 시 그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1.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에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본 연구에서는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먼저, 각 집단의 감성지능에 대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Table 9의 내용과 같다. 본 연구의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는 평균 23.89점(SD=3.99), 사후검사 점수는 평균 28.72점(SD=4.72)으로 4.83점 향상 되었 고, 비교집단은 사전평균 23.89점(SD=4.20), 사후평균 21.26점(SD=3.55)으로 2.63점 감소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사전검사에 대한 점수를 공변량으로 처리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Table 10과 같다. 감성지능 하위 변인 중, 정서의 이해(F=13.68, p<.01), 정서조절(F=12.44, p<.001)에 대한 집단 간 평균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 전체 총점의 주효과 역시 검증되었으며(F=3.83, p<.0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감성지능에 대한 전체 총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32.05,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유아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의 활동이 유아들의 감성지능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만 4-5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전·사후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산출 결과는 다음 Table 11의 내용과 같다.
실험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는 평균 2.73점(SD=.44), 사후검사는 평균 3.18점(SD=.44)으로 .45점이 향상되었으며, 비교집단은 사전점수 평균 3.45점(SD=.84), 사후검사 평균 3.54점(SD=.74)으로 .09점 증가하여 두 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처리한 공변량 분석 결과, 다음 Table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지도성(F=8.13, p<.01), 의사소통(F=12.65, p<.001), 주도적 배려(F=12.47, p<.001), 접근 시도하기(F=12.55, p<.001), 감정이입 및 조절(F=4.48, p<.05)에 대한 집단 간 평균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체 총점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고(F=18.89, p<.001), 그 주효과가 검증되었다(F=455.05, p<.001). 이는 본 연구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논의 및 제언

1. 논의

본 연구는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을 위한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관련 현장에 적용한 후,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을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증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이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전체 총점과 하위요인 중 정서이해, 정서조절에 대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이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하며, 미술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 발달에 효과적 교육 매체이자 의미 있는 활동임을 제안하며 그 효과를 보고하였던 선행연구들[1, 5, 9, 26]과 맥락을 같이 한다.
본 연구의 통합미술활동 진행과정은 유아들에게 친숙한 상황, 이야기와 함께 예술표현 작품에 내재된 감성적 상황을 제시하여 유아들이 감성을 탐색하고 생각을 나누면서 내적동기에 의하여 표현 욕구를 자극하여 유아주도적인 구체적 표현 설계가 이루어졌다. 또한, 미술이 자신과 타인의 다양한 정서가 반영되는 창조를 위한 시도의 과정임을 인식하도록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개발 및 적용되었다. 본 프로그램에서 교사는 각 단계마다 일반적 질문이 아니라 탐구적, 탐색적 발문을 제시함으로써 유아들은 적극적으로 여러 상황에 대한 감정의 원인 추론, 문제·해결점 모색 활동에 참여하였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 초기 단계에서는 감정을 묻는 교사의 질문에 “좋아요,” “나빠요”와 같이 단순한 반응만이 나타났으며 교사가의”왜?,”“ 어떠한 것들이 너희들의 기분을 좋게 혹은 나쁘게 만들었는데?,”“ 기분이 나빠서 어떻게 행동하고 싶은데?,”“ 그럼 다른 사람들도 너희같이 생각했을까?”와 같은 질문에도 반응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회기가 진행될수록 유아들은 자발적으로 “아침에 엄마가 일찍 깨워서 화가 나서 기분이 나빠요. 그치만 어린이집에 와야 해서 엄마가 깨운 거니까 괜찮아요,”“ 오늘은 아빠가 외국출장 가셔서 슬퍼요. 그래도 공항에 가서 재미있었어요!” 등등 교사의 발문에 따른 정서가 투영된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또한 각자 무서워하는 것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 후 종이의 찢어지는 느낌과 소리로 표상하기, 성장에 따른 호불호의 변화 느끼기 등과 같은 활동 속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상황에 따른 나와 타인의 정서의 변화, 혼합, 양가감정과 같은 정서를 발견하며 조절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부분이 실험집단 유아들의 감성지능의 ‘정서이해’, ‘정서조절’ 점수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둘째, 친사회적 행동의 전체 총점과 하위요소의 지도성,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감정이입 조절의 능력에 대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유아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이 실험집단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하며 미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기존의 연구들[11, 31]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는 유아가 생각하는대로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면서 스스로가 생각하고 있는 바와 느낌을 나누고, 표현결과를 서로 공유하는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또래 간 의사소통이 증가하고 생각이 공유될 수 있도록 돕는다. Cohen과 Rudolph [2]는 미술활동을 통하여 긍정적 의사소통, 의견 나누기, 공감 등을 습득하여 타인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교사와 유아는 서로 약속한 내용에 근거하여 매회기 리더를 선출하고 수업의 전반적인 흐름 및 정리를 주도하게 하였으며, 또래교수, 유아-유아 간 평가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주었다. 이러한 요소들이 실험집단 유아들의 ‘의사소통,’ ‘지도성’ 점수 증진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유아통합미술 프로그램 활동에는 각자의 장점 찾기, 서로 칭찬하기, 서로 공통점 찾기와 같은 내용들이 포함되어 이를 유아는 미술활동에 반영하여 표현하였다. 나아가 교사는 프로그램의 진행의 매 회기 활동 과정 중 수시로 교사-유아, 유아-유아 간의 서로 긍정적인 부분들을 찾아주고 공유·칭찬하였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타인의 장점에 익숙하지 않고, 칭찬에 시기하는 모습들이 자주 발견되었지만 회기가 더해지면서 유아들은 “A야, 내가 B가 멋지게 그려서 예쁘다고 한건데, A 너가 그렇게 말하면 B기분이 좋아?,”“ 친구한테 나쁜 이야기 들으면 속상한거야,”“ 우아! 얘들아 이것 봐. C가 진짜 기차 잘 그렸어. 우리꺼도 도와달라고 하자”와 같이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활동 속에 유아들이 발견한 상대방의 장점과 공통점을 통하여 또래에게 친밀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어, 타인에게 긍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태도인 ‘접근 시도하기’의 점수와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타인 배려태도와 상호간 예의를 지키는 ‘주도적 배려’에 해당되는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유추되어 진다. Kim 등[14]은 유아가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게 되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을 통하여 유아는 자발적으로 타인을 배려하는 행동을 터득해 나간다고 하였다. 나아가 기존의 여러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긍정적인 발달 측면과 관련하여 유아들이 공동의 소유물을 서로 나누어 쓰고 도우며 협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사회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였듯이 본 프로그램의 교사는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함께 자료를 나누고, 타인을 배려할 수 있도록 활동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격려하였다. 이는 유아들이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차례를 기다려 이야기하고 타인의 의견을 귀기울여 듣고, 같은 공간 및 자료를 나누어 쓰면서 미술표현을 즐겁게 시도하면서 자연스럽게 타인을 인정하고 배려하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Leeper 등[21]은 또래와 함께하는 미술활동을 통하여 유아는 감정과 생각을 나눔으로써 타인의 생각에 공감, 공유하는 법을 알아가며 사회적 성장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활동내용에는 다양한 감성요소들이 담겨있는 그림, 영상, 사진들 및 유아들에게 친숙한 여러 문제 상황들을 제시하여, 그림 속에 내포되어 있는 감성과 느낌, 생각을 분석하도록 하였으며, 상황 속 인물들을 모델링 해보거나 이들을 대신해서 감정을 이입해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 속에서 유아들은 타인의 관점을 조망하고 이들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을 이입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한 방식으로 조절해 볼 수 있던 경험들이 실험집단 유아들의‘ 감정이입 및 조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본 연구의 만 4-5세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유아통합미술활동프로그램은 감성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감성지능과 사회성이 갖는 상호적인 효율성 및 만 4-5세 유아의 발달적 적합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고 활동들을 체계화 하였다. 또한, 치료적 차원의 접근이 아니라 예방적 차원의‘ 교육’의 가치에 중점을 두고 국가 수준의 누리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요소들을 반영하여 실제 유아교육현장과 연계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유아의 감성과 사회성 영역을 통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구성 및 교수·학습 전달 체제에 있어 기존 프로그램과는 차별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미술표현 매체를 활용하여 유아의 감성지능과 친사회성 증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의 기초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2.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충분한 표본수를 확보하지 못함에 아쉬움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어 추가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따른다.
둘째, 본 연구는 만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개발되어 교육활동의 난이도, 활용 매체의 측면을 고려하여 모든 연령에게 일반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유아 연령에 따른 감성지능, 친사회적 행동 및 미술표현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유아들의 감성지능, 친사회적 행동의 모든 하위변인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이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아의 감성 및 친사회적 행동의 과정적 변화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Table 1.
Distribution of Subjects (N=37)
Group Total Gender
Mean age (yr)
Boy Girl
Experimental group 18 11 7 4.5
Control group 19 11 8 4.7
Total 37 22 15 4.6
Table 2.
Daily Routines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ime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9:00-9:30 Attendance Attendance
9:30-10:00 Morning snack and free play Morning snack and free play
10:00-10:45 Integrative art program Teacher-directed play
10:50-11:30 Teacher-directed play/free play Teacher-directed activity
11:30-12:40 Lunch Lunch
13:00-14:30 Nap Nap
14:30-15:00 Teacher-directed activity Teacher-directed activity
15:00-15:30 Afternoon snack Afternoon snack
15:30-16:00 Daily evaluation and go home Daily evaluation and go home
Table 3.
Integrative Art Program Schedule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ate Experimental group: Title of integrative art activity Date Control group: Title of art activity
4/2 Seasonal song and poem 4/1 Spring color
4/4 Picturing each other 4/2 Making spring flowers
4/9 Hope 4/4 Poster for preventing yellow sand
4/11 Change 4/9 Making our flower
4/15 Making our emotion news 4/10 A frame for the flowers
4/18 Animals visit the night's sky 4/16 Draw a grass and insect
4/22 Be a gardener 4/17 Our feeling of the nature
4/25 Installation art 4/23 We are all different
4/29 My symbols 4/29 My fingers
5/2 Me in the cup 5/2 Famous painting
5/6 Mind map 5/6 Face's collage
5/8 A wall filled with faces 5/8 Favorite things of my family
5/13 The ocean of our thoughts 5/13 A pot of my family
5/16 Our plan for picnic 5/14 Reconfiguration of the painting
5/20 Happy/unhappy robot 5/16 Folding colored paper
5/20 Reconfiguration of painting 2
Table 4.
Foundation for the Integrative Art Program's Contents of This Study
2013's Nuri curriculum □ Self-expression skill
□ Listening attitude, understanding skill
□ Self-esteem
□ Autonomy
□ Recognition of me, other's emotions
□ Expression, management of emotions
□ Live in harmony with family
□ Help each other
□ Social values (etiquette and rules)
Four brunch model □ Perceive, express emotions, accept, freely explore and respect emotions
□ Understanding, managing emotions, empathy, other's understanding, respect each other
□ Facilitating thoughts, emotional problem-solving, decision-making
□ Social skills, helping, sharing, cooperation, consideration, commitment, concession
Thinking, feeling, behaving curriculum □ Social skills
□ Problem-solving skills
□ Communication skills
□ Get your own value system
□ Self-esteem
□ Decision-making strategy
□ Flexibility, positive mind
Contents of the integrative art program of this study □ Perceive and express emotions: Explore and accept various own emotions; Try to freely express own emotions and respect other's expression through arts
□ Understand and manage emotions: Listen to a story, problem situation, peer's talk and lead empathy; Improve comprehensive attitudes through art activities and discussion
□ Facilitate emotions and thoughts: Solve their emotional problems by discussion (decision-making strategy)
□ Positive self-awareness: Improve self-esteem by free art expression and peer's approval; Behave in trust
□ Social skills (communication): Improve social skills (helping, sharing, concession, cooperating, considerati on, commitment, attempt to approach) through art activity
Table 5.
Main Activities, Areas, and Contents of the Integrative Art Program (All Large Group Activity)
Title of activity Main area Contents
1 Seasonal song and poem □ Perceive and express emotions □ Explore and accept various emotions
□ Communication □ Try to freely express emotions through arts
□ Respect other's expression
2 Picturing each other's motion □ Empathy □ Show empathy for music, draw, freely express emotions through arts
□ Leadership □ Respect other's expression
3 Hope □ Explore and accept emotions □ Show empathy for story
□ Sharing, attempt to approach □ Understand and respect peers
□ Share space and tools
4 Change □ Solve and decide their emotional problems □ Explore various emotions
□ Freely express and respect my and peer's emotions
5 Making our emotion news □ Explore, perceive emotions □ Solve and decide their emotional problems in indirect experience
□ Concession, help □ Understand mixed emotions
6 Animals visit the night's sky □ Discriminate, understand emotion □ Understand and discriminate changing emotions by flow of time
□ Empathy □ Share space and tools
□ Help
7 Be a gardener □ Perceive, express emotions □ Talk about strong and weak points
□ Communication □ Understand and respect others
□ Leadership □ Behave in trust
8 Installation art □ Understand and manage emotions □ Awareness differences between real threat and imaginary fear
□ Facilitate emotion and thought □ Solve and decide their emotional problems
□ Participation in cooperative work
9 My symbol □ Perceive and express emotions □ Improve self-esteem by free art expression and peer's approval
□ Positive self-awareness □ Communication with respectful understanding attitude
□ Communication
10 “Me” in the cup □ Positive self-awareness □ Positively aware of and express my and other's emotions
□ Sharing, consideration □ Respect my and peer's expressions
11 Mind map □ Positive self-awareness □ Find, praise strong points
□ Concession, help □ Make and follow rules
12 A wall filled with faces □ Perceive and express emotions □ Perceive emotions depending on situations
□ Facilitate emotions and thoughts □ Awareness results about reacting according to own emotions
□ Share
13 The ocean of our thought □ Facilitate emotions and thoughts □ Awareness and positive influence of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concession
□ Empathy, manage emotions □ Show empathy for story
□ Discuss open-ended topics
14 Our plan for picnic □ Facilitate emotions and thoughts □ Think about various options, figure out solutions
□ Solve and decide their emotional problems □ Choice; think about results
□ Concession, cooperation □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15 Happy/unhappy robot □ Understand and manage emotions □ Understand that many kinds of behaviors are chosen oneself
□ Cooperation, attempt to approach □ Discern positive from negative behaviors
□ Think about their influences
Table 6.
Example of the Integrative Art Program's Plan
Session 4 Title: Change Date: 4/11/2013 Number of children: 18
Goal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 perception about what you will be when you grow up: Think about the many changes you have in your mind when you grow over time.
Changing from one to another is not negative. It could be a good thing. Changes can be made on purpose or by nature.
Try to express the people/objects' thoughts and feelings that you may feel by looking at the masterpieces or paintings from famous artists.
Pro-social Notice that there are valuable masterpieces in human beings, and feel empathy.
Try to speak up your own thoughts, and pay attention to your peers' thoughts Share space, chances, and tools with others.
Materials Painting of Giuseppe Arcimboldo; pictures of sprouts and seasonal trees; various pictures that show that children can develop and change
as other living things do; several types of vegetables, fruits, and foods; images from newspapers and magazines; drawing papers; pencils;
crayons; color pencils; etc.
Introduce 1) Try to recognize and talk about today's emotions (moods and conditions) and show empathy to others: Teachers should encourage children to ask about their feelings in turn.
2) Elect a leader for today's class.
Develop and extend 1) After attaching a picture of a big tree to a board, the teacher asks questions to children: Do you think this tree was sufficiently tall from the beginning? Did this tree have a lot of leaves? (After that, show a picture of sprouts.)
2) The teacher and children have a conversation: How about you, when you were born? Were you tall as you are now? Were you able to run around?
3) Attach pictures of things that show children's growth and changes (milk bottle, chopsticks, stroller, diaper, and so on) to a board: You have changed thus far. In the near future, you will be an older brother or sister. Which one do you still use among those pictures on the board? Why don't you use it (bottle or stroller) anymore? Do you think it is bad? You are all different from the past; how do you feel? Make children think that they have changed naturally over time.
4) After appreciating a lot of works of Giuseppe Arcimboldo, listen to stories portrayed in the titles, and share feelings and impressions with one other. (A picture that Boldo gave the King who felt sad about getting older. The lesson from this picture is that the life span of humans can be compared with the changes featured by other living things in nature.) The changes over time are natural.
<Art activity>
1) Introduce a teacher's work to the children and tell that it expresses the changes in human life. Let the children talk about both their likes and their dislikes with respect to the changes of themselves over time.
2) (Showing images of various vegetables and food) Ask the children: Which one do you like and dislike among these? Then, did you like or dislike it even in the past? Did you like or dislike it from the time when you were a baby? Now, you like some food that you didn't eat and like in the past. The changes in food preference over time
3) Try to make a self-portrai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conversation: The teacher should encourage the children to find out what they like(d)/dislike(d) about foods, objects, colors, etc.
4) Write down how they feel, and what they want to express. Let them think about a title of their own artwork.
Wrap up 1) Presentation of the children's own final artwork to others in the class.
2) Let the children express their feedback on others' art works in more appropriate ways.
3) Clean up together.
Table 7.
Example of the Integrative Art Program's Lesson Plan
Session 5 Title: Making our emotion news Date: 4/15/2013 Number of children: 18
Goal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are many emotions that I can have in a variety of situations.
Try to understand mixed emotions.
Accept feelings and thoughts of other people, recognizing that they might have similar feelings or different ones.
Pro-social Children can hear what their friends say with the right attitude till the end of the activity.
Children can share common interests, or solve conflicts and problems through discussions with others.
Become interested in the society to which we belong.
Materials Newspapers, colored paper, color pencils, markers, pencils, erasers, hardboards, pictures of the seasons, feeling cards
crayons; color pencils; etc.
Introduce 1) Try to recognize and talk about today's emotions (moods and conditions) of the children and show empathy to their emotions: The teacher should encourage the children to elaborate or express their feelings.
2) Elect a leader for today's class.
Develop and extend 3) A teacher show a newspaper and introduced what appeared in it: Talk about experiences by reading the newspapers. During this process, let children talk about the story they liked and how they felt about it.
4) Read a news article that you(children) choose, to a friend; talk about what it is about: the mood and the situation of a person related to the article and the relevant solutions.
5) Talk about the many sections of a newspaper (advertisements, incident reports, editorial, and others).
6) Talk about the events that happened recently in the class during the spring and the stories about spring that you talked about last time. Further, discuss their emotions and situations, and think about your emotions to express in the newsletter.
<Art activity>
1) After dividing the selected stories into a happy event, a sad event, a boring event, an unpleasant event, and a scary event, display them along with expression cards.
2) The teacher chooses one story with an expression card, and talks about the related experiences and emotions with the children.
3) After choosing colored paper that matches that (several feeling in the expression cards) draw things that come into their mind. (Express all the stories and emotions in teacher’s order.)
4) Draw up a newsletter on the board using all the pictures that you drew.
Wrap up 1) Take a moment to share the children's work with others. Let them think about the title for each work together.
2) Presentation of their completed art works (meaning, thinking, and feeling).
3) Clean up together and bid farewell.
Table 8.
Teaching-Learning Stages for the Integrative Art Program
Teaching-learning stages
Introduce □ Try to recognize and talk about today's emotion and meditation.
□ Stimulate the child's curiosity and interest.
Develop □ Conduct discussion, storytelling, and game.
□ Share the experiences and emotions.
□ Discuss about the cause of emotions and situations.
□ Solve their emotional problems by discussion.
□ Explore and conceptualize emotions.
Extend □ Try to freely express own emotions through arts according to the levels of commitment.
□ Apply re-conceptualized emotions and thinking to the drawings or the art works.
* Can go back to the develop stage when a new matter or subject arises.
Wrap up □ Share the final art work with others: Talk about the title and the meaning to the children.
□ Share feelings with others.
Table 9.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test and Post-test Values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Variable Experimental group (n=18)
Control group (n=19)
M SD M SD
Pre-test 23.88 3.99 23.89 4.20
Post-test 28.72 4.72 21.26 3.55
Table 10.
Effects of the Integrative Programs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reas SS df MS F
Perceive emotions Covariate .97 1 .97 1.99
Group .33 1 .33 .69
Error 16.47 34 .48
Total 1,056.00 37
Facilitating emotion Covariate 8.87 1 8.87 2.23
Group 51.92 1 51.92 13.06***
Error 135.16 34 3.97
Total 1,056.00 37
Understanding emotion Covariate 47.93 1 47.93 8.73**
Group 75.09 1 75.09 13.68***
Error 186.60 34 5.49
Total 1,126.00 37
Managing emotion Covariate 13.80 1 13.80 3.83*
Group 44.76 1 44.76 12.44***
Error 122.33 34 3.59
Total 1,126.00 37
Total Covariate 61.42 1 61.42 3.83*
Group 514.53 1 514.53 32.05***
Error 545.88 34 16.06
Total 24,047.00 37

* p <.05,

** p <.01,

*** p <.001.

Table 11.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test and Post-test Values on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Variable Experimental group (n=18)
Control group (n=19)
M SD M SD
Pre-test 2.73 .44 3.45 .84
Post-test 3.18 .44 3.54 .74
Table 12.
Effects of the Integrative Programs on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reas SS df MS F
Leadership Covariate 20.29 1 20.29 386.69***
Group .43 1 .43 8.13**
Error 1.79 34 .052
Total 435.03 37
Helping Covariate 19.21 1 19.21 30.30***
Group .11 1 .11 1.71
Error 2.15 34 .63
Total 424.22 37
Communication Covariate 13.97 1 13.97 275.65***
Group .64 1 .64 12.65***
Error 1.72 34 .51
Total 462.67 37
Consideration Covariate 15.21 1 15.21 225.88***
Group .84 1 .84 12.47***
Error 2.29 34 .67
Total 396.28 37
Proximity Covariate 12.92 1 12.92 180.20***
Group .90 1 .90 12.55***
Error 2.47 34 .72
Total 495.56 37
Sharing Covariate 17.50 1 17.50 121.59***
Group .21 1 .21 1.46
Error 4.89 34 .72
Total 470.33 37
Empathy Covariate 11.67 1 11.67 85.67***
Group .61 1 .61 4.48*
Error 4.63 34 1.36
Total 409.13 37
Total Covariate 12.32 1 12.31 455.05***
Group .51 1 .51 18.89***
Error .92 34 .03
Total 435.22 37

* p <.05,

** p <.01,

*** p <.001.

References

Chi, S. A., Kim, N. H., Yoo, E. Y., Moon, G. Y., Son, J. H., & Chai, W. P. (2010). The effects of emotion-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emotion quoti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4(1), 447-466.

Cohen, D. H., & Rudolph, M. (1977). Kindergarten and early school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Go, J. S. (2010). Eurhythmics activities effect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Total Arts and Music, 4(1), 23-41.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ntam Books.
pmid
Han, Y. K. (2007). The effect of the art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s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effectiveness emotional quotient, social competence.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3), 295-316.

Hong, S. O., & Jung, S. K. (2003).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2, 1-16.

Jung, O. B., Kim, M. J., No, S. H., Park, Y. J., Jung, S. H., & Lim, J. H.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program for nurtur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7(4), 191-209.

Jung, Y. S. (2003). The effect of art activity on the infant’s emotions and psychology. Ewha Education Collection of Treatises, 13, 415-425.

Katz, L. G., & McC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Kellogg, R. (1969). Analyzing Children's art. Palo Alto, CA: National Press Books.

Kim, H. S., & Cho, S. H. (2012). The effects of the arts-centered integrat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ociability in preschoolers.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6), 145-173.

Kim, M. H., Kim, S. R., & Park, E. Y. (2012). The effects of nature exploration art activity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Korean Education Inquiry, 30(3), 205-226.

Kim, S. K., Lee, K. U., & Han, Y. C. (2003). Effects of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on the sociality and emotional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5), 213-219.
crossref
Kim, Y. H., Lee, S. J., & Lee, S. O. (2008). Improving EQ for healthy life. Seoul: Hakjisa.

Kim, Y. J., & Ann, H. S. (2004). The effect of small-group cooperative art activity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Human Ecology, 6(1), 27-41.

Kim, Y. O.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5), 105-118.

Koster, J. B. (2001). Growing artists: Teaching art to young children. (2nd ed). Albany, NY: Delmar Thomson Learning.

Lee, B. R. (1997).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s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Lee, S. E., & Lee, Y. S. (2004).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test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42(3), 519-551.

Lee, S. E., & Lee, Y. S. (2004). Development an emotion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171-189.

Leeper, S. H., Skipper, D. S., & Witherspoom, R. L. (1979). Good schools for young children. (4th ed. New York, NY: Macmillan.

Lowenfeld, V., & Brittain, W. L. (1995). Creative and mental growth (6th ed.) (Seoul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of Art Education Association, Trans.). Seoul: Miji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75).

Mayer, J. D., Salovey, P., & Caruso, D. (2002). MSCEIT: User's manual. Toronto, Canada: Multi-Health System.

Mayesky, M. (2006).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8th ed). Clifton Park, NY: Delmar/Thomson.

Salovey, P., & Sluyter, D. J. (1997).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New York, NY: Basic Books.

Shirrmacher, R. (1986). Talking with young children about their art. Young Children, 41(5), 3-7.

Schirrmacher, R. (1993).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2nd ed). Albany, NY: Delmar Publishers.

Thorndike, E. L. (1920, January).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227-235. from http://harpers.org

Vernon, A. (2005). Thinking, feeling, and behaving: An emo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 (K. E. Park, J. W. Ha, J. H. Yoon, & E. M. Lee, Trans.). Seoul: Sigma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89).

Yoo, Y. O. (2008). Ethnographic inquir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art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Yoon, J. E., & Kim, C. G. (2012). The effects of small group paperfold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patial perception, social and language ability. Korean Education Inquiry, 30(1), 173-203.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