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2(2); 2014 > Article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이 아동의 창의적 성향과 의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improvement in clothing educ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creative crochet activities for children. A total of 111 students of 4th grade classes from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during 16 classes of creative activities from April to May 2013. The content of the creative crochet activities was organized into orientation (making rings etc.), making work I (counting stitches, rows, etc.), making work II (set up a pillar by chains etc.), and completing and sharing the work (making a string by chain and single crochet stitches etc.).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their attitudes toward clothing were investigated. The study also analyze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sample t-test for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creative crochet activities were analyzed to be helpful and useful in developing a child’s creative personality, which includes elements such as sensitivity and curiosity. Further, these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girls than in the case of boys with respect to fostering a creative personality. Second, the creative crochet activities were analyzed as being helpful and useful in developing attitudes toward clothing, which include elements such as clothing satisfaction, clothing management, and clothing independence. Further, these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boys than in the case of girls with respect to fostering attitudes toward clothing. Third, clothing education is an appropriate topic for creative activit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서 론

새 정부는 교육 분야 국정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2013년 3월‘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을 비전으로 한 실천 계획을 수립하였다[18]. 그리고 최근 청년 실업문제와 고졸 취업의 확산 정책은 학벌과 스펙보다는 창의성과 인성이 더 중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있는데, 이는 학생 각자의 꿈과 끼를 키우고 잠재력을 계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새 정부의 교육 비전으로 제시한 창의성은 ‘문제 상황에 접하여 인지적 능력 요인과 정의적 성향 요인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다양한 수준의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나 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을 말하는데[21], 학자들의 철학적, 심리학적 관점에 따라 여러 가지 정의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교과별로 그 방법들이 연구 및 실천 되고 있으며, 특히 영재교육 분야에서 창의성 함양을 더 강조하고 있다. 한 예로, 대구광역시교육청은 교육의 방향을 창의성 교육으로 설정하고, 창의성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인성교육과 설치, 그리고 글로벌 창의모델학교 지정과 같이 10년 이상 창의성 교육을 강조했다.
중앙 정부 차원에서도 창의성 함양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특히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출발점을 창의·인성 교육으로 설정하고 교과 외에도 창의성 함양에 중점을 둔 창의적 체험활동을 도입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개개인의 소질과 잠재력을 개발·신장하고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자질을 함양시키고자, 초등학교에서는 주당 3시간 정도가 이루어진다[11].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은 체험과 단체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점에서 실과교과와 가정과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주제나 영역에서 연계할 부분이 많은데, 이에 관한 연구와 실천이 이루어져 왔다.
아동의 창의성 함양에 적합하고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해 지도할 수 있는 주제로 실과·가정과에서 다루고 있는 영역은 크게 의생활과 식생활이 있다. 그중 의생활 영역에서 다루는 바느질, 코바늘뜨기와 같은 수공노작학습은 어린 아동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재료비가 크게 들지 않고, 개인 학습과 협동 학습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 4, 9]. 또한 코바늘뜨기, 바느질, 스킬자수와 같은 수공노작학습, 그리고 의생활문화, 의복관리, 의복구성, 옷차림과 같은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 5, 22]. 특히 코바늘뜨기는 남녀 아동 모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흥미가 높으며, 이 외에도 바느질과 자수 등을 통한 생활용품 만들기와 같은 의생활 영역은 교과 시간 내에서 실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데,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다면 충분한 실습과 학습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실습 시간의 부족으로 초등학교 내에서의 의생활 교육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국가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질수록 실과 교과의 이수 학년과 시간, 그리고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을 줄이고 있다. 게다가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 교육과정에서조차도 그 비중이 크지 않고 점차 줄어들고 있다[17]. 2011년 실과 교육과정에서 의생활 영역은 나의 자립적인 의생활(건강하고 안전한 옷차림, 스스로 하는 옷 관리)과 창의적인 의생활의 실천(생활 속 헝겊용품 만들기, 환경과 나눔의 생활용품 만들기)이 있다[19]. 이 두 단원에서는 의생활에 대한 이해와 생활용품을 만들어 보는 활동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생활용품 만들기는 교과 시간 내에 완성하기가 어렵다.
교과 활동의 부족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과 그 전신인 재량활동을 활용해 의생활 교육을 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의생활 영역 전반에 대한 충분한 학습[2, 9]과 뜨개질, 바느질, 스킬자수 등을 활용해 용품 만들기 등[5, 8, 20, 22]의 연구와 실천이 이루어져 왔고, 이들의 교육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들 프로그램은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창의성 및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였고 의생활 교육의 목적이 충분히 도달되었는지 검증하기 위해 의생활태도를 측정하였다.
의생활 교육의 창의성 함양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여러 연구에서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여 왔다[20, 22]. 인지적 능력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측정 시간과 채점 전문가가 필요한데, 창의적 성향은 창의성 조사 도구 중에서 조사 대상이 많을 때 측정 시간과 채점의 타당성 확보에 유리하다. 창의적 성향은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관심, 흥미, 창의적인 태도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성격 특성(creative personality)을 말하는 것으로, 창의적인 사고력이 최종적으로 창의적인 산출을 위해 작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인내심, 동기, 호기심, 모험심, 자신감 등의 성격 특성으로 정의한다[21].
의생활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많이 활용되는 의생활태도는 의복에 관한 선택, 착용, 습관 등과 관련한 태도와 행동을 말하는데[15], 하위 요소에는 의복 흥미성, 의복 만족성, 의복 관리성, 의복 자립성 등이 있다[8]. 의복 흥미성은 의복에 대한 관심, 습관, 선택 및 의복 착용에 관한 흥미로 의복에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적극적이 관심 및 행동이다. 의복 만족성은 의복의 모양, 적절한 크기, 품질과 용도, 색깔, 질감 등에 관한 만족도를 말하며, 의복 관리성은 의복의 정리 정돈 및 세탁의 필요성 등을 인식하여 의복을 관리하고자 하는 태도를 말한다. 의복 자립성은 의복 행동 전반에 걸쳐 자기 스스로 행동하는 것으로 등교 시의 의복 선택 또는 기온에 따른 속옷 착용 등에서 자주성이 있음을 말한다[15]. 이러한 의생활태도는 아동의 의생활 교육과 함께 이루어진 코바늘뜨기 실기 학습의 내용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데 효과적이다.
즉, 수공노작활동이 창의성 함양에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고찰[7]과 코바늘뜨기가 창의성 함양에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연구[3], 손바느질과 같은 의생활 교육이 창의적 성향의 함양에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연구[5, 20, 22], 바느질하기를 포함한 의생활교육이 의생활태도 함양에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연구[2, 8] 결과에 따라 수공예 노작활동은 아동의 창의적 성향과 의생활태도 함양에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의생활 교육은 초등학교 5, 6학년에 편제되어 있는 실과교과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그 이전 단계에서는 아동의 교육요구와 창의성 함양에도 효과적인 의생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남녀 아동의 특성과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2009년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도입된 창의적 체험활동의 창의성 함양과 체험, 단체 활동 등의 성격을 고려할 때, 의생활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주제로 적합하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 이전 실과 교과가 5학년 이전 학년에도 이루어졌고,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사의 실천 의지만 있으면 학교 교육과정 수립할 때 의생활 영역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중학년인 4학년을 대상으로 의생활 교육의 실천과 그 효과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 5학년 이전 아동의 의생활 교육의 타당성과 교육적 효과를 밝히고 의생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이 아동의 창의적 성향과 의생활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의생활태도 점수는 참여 전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인가?
연구문제 2.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창의적 성향 점수는 참여 전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인가?
연구문제 3.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의생활태도와 창의적 성향 점수 변화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서울 서초구에 있는 E 초등학교 4학년 전체 4개 학급(1반 28명, 2반 28명, 3반 28명, 4반 27명 총 111명)이다. 이 학교는 아파트 단지 조성과 함께 2012년 신설된 학교로 2013년도에는 학생과 교직원이 2배 이상 늘었고, 1년의 준비 과정을 거쳐 교육과정이 정착되어 운영되는 시기이다. 그리고 정책학교로 지정되어 일반 학교보다 일정 부분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받고, 실습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을 지원받고 있다. 이와 함께 실과실이 있어 의생활 등의 실과(가정과)교육이 이루어질 환경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다.

2. 연구설계

이 연구는 동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로 설계하였으며 도식화한 연구 설계는 다음과 같다(Figure 1).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을 적용하고, 적용 전·후에 창의적 성향과 의생활태도를 측정하여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3. 실험처치

E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1학기 중 4, 5월의 2개월 간 16시간을 동아리활동(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하여 실험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주제는 연구의 대상이 5, 6학년에 편성된 실과 의생활 영역을 학습하기 이전으로 바느질에 대한 기초적인 기능을 학습하지 않은 점, 4학년 아동이 2개월 이내 완성 가능성, 부담 없는 재료비(코바늘 5호, 면실 18합), 학교 및 실생활에서의 필요성(음악 리코더 학습 진행 중)을 고려하여 ‘코바늘뜨기(리코더집 만들기)로 선정하였다.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재료에 대한 이해와 준비, 도구의 바른 사용과 코와 단 세기, 작품 만들기, 공유하기로 구성되며 충분한 실습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은 실습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프로그램 중간마다 수공예를 위한 노래와 시, 그리고 면과 관련한 동화를 활용하고 학생들의 의생활과 관련한 이야기를 통해 학습 흥미를 높였다(Table 1).

4. 조사도구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Song과 Lee [22]가 개발한 창의적 성향 조사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사고 성향과 창의적 인성 검사[12-14], 창의적 성향 검사[1, 6, 21]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3학년에게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조사도구이다. 창의적 성향 조사도구는 민감성(5문항), 호기심(4문항), 집착성(4문항)의 3개 영역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 과정에서 자발성, 독자성, 개방성의 하위 영역과 문항들은 신뢰도가 낮아 제외되었다. 구체적인 문항의 내용은 ‘나는 주변의 작은 변화도 금방 알아챈다(민감성),’ ‘나는 새로운 것을 접하면 그냥 지나치지 못한다(호기심),’ ‘나는 궁금한 것은 꼭 해보는 편이다(집착성)’ 등이다. 모든 문항은 5점 Likert척도로 긍정하는 정도에 따라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로 배점하였으며, 신뢰도는 .892이었다.
의생활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Jang과 Lee [8]의 초등학생 의생활태도 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Lee [15]가 개발한 의복 행동 조사도구를 기반으로 의생활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정·보완되어 왔던 도구를 최근의 초등학생에게 적절하게 수정한 것이다[10, 16]. 의생활태도 조사도구는 의복 흥미성(6문항), 의복 만족성(6문항), 의복 관리성(7문항), 의복 자립성(6문항)의 4개 영역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문항의 내용은 ‘신문이나 잡지, 인터넷 상품 광고 등에 나오는 옷에 관한 내용에 관심이 많다(의복 흥미성),’ ‘나는 평소에 학교에 올 때 입고 오는 옷이 마음에 든다(의복 만족성),’ ‘나는 떨어진 단추나 뜯어진 바짓단을 스스로 꿰매서 입기도 한다(의복 관리성),’ ‘나는 옷을 입을 때 옷의 색깔, 모양을 고려하여 어울리게 입는다(의복 자립성)’ 등이다. 모든 문항은 5점 Likert척도로 긍정하는 정도에 따라 ‘전혀 그렇지 않다(1점)~매우 그렇다(5점)’로 배점하였으며, 신뢰도는 .838이었다.

5. 자료수집 및 분석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에게 프로그램 시작 1주일 전 학급 담임 교사와 협의한 후 조사 가능한 시간에 방문하여 사전 검사를 하였고, 사전 검사 방법과 동일하게 프로그램이 끝난 후 그 다음 주 협의한 시간에 사후 검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전 조사에서 111명, 사후 조사에서 109명이 참여해 총 220부의 질문지가 회수되었다. 응답한 질문지 중에서 학년, 반, 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빠뜨리고, 허구문항에 잘못 응답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 프로그램 시작 후 전학 온 학생의 사후 질문지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그리고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조사가 이루어진 만큼 사전·사후 검사 모두 성실하게 응답한 93명의 질문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ver. 20.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사전·사후 검사 비교를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이 연구의 최종 분석에 활용된 참여자는 총 93명으로 남자 아동 48명, 여자 아동 45명의 남녀 성비는 비슷하다. 그리고 참여한 4개 학급은 20명에서 25명의 분포를 보인다(Table 2).

2. 창의적 성향 사전·사후 검증 결과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참여한 아동의 창의적 성향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후 전체 창의적 성향은 평균 45.69점에서 47.81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1). 그리고 창의적 성향의 하위 영역에서 집착성을 제외한 민감성(p<.001), 호기심(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Table 3). 즉, ‘리코더집 만들기’ 주제의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아동의 창의적 성향을 함양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민감성과 호기심의 함양에 효과적이다.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창의적 성향 변화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후 남자 아동의 창의적 성향은 평균 46.55점에서 48.77점으로 다소 향상 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창의적 성향의 하위 영역 중에서 남자 아동의 호기심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p<.05). 여자 아동의 창의적 성향은 평균 44.73점에서 47.0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창의적 성향의 하위 영역 중에서 여자 아동의 민감성(p<.05)과 열정(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Table 4). 즉,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남자 아동보다는 여자 아동의 창의적 성향을 함양하는 데 효과가 있는데, 특히 남자 아동에게는 호기심, 여자 아동에게는 민감성과 열정의 함양에 효과적이다.

3. 의생활태도 사전·사후 검증 결과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참여한 아동의 의생활태도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후 전체 의생활태도가 평균 83.91점에서 86.9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의생활태도의 하위 영역에서 의복 흥미성을 제외한 의복 만족성(p<.01), 의복 관리성(p<.001), 의복 자립성(p<.05)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Table 5). 즉, ‘리코더집 만들기’ 주제의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아동의 의생활태도를 함양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의복 만족성, 의복 관리성, 의복 자립성의 함양에 효과적이다.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의생활태도 변화의 차이를 검증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후 남자 아동의 의생활태도는 평균 77.16점에서 81.2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1). 의생활태도의 하위 영역 중에서 남자 아동의 의복 만족성(p<.01), 의복 관리성(p<.05), 의복 자립성(p<.05)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여자 아동의 의생활태도는 평균 91.43점에서 93.39점으로 다소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며 하위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Table 6). 즉,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여자 아동보다는 남자 아동의 의생활태도를 함양하는 데 효과가 있는데, 특히 남자 아동에게는 의복 만족성, 의복 관리성, 의복 자립성의 함양에 효과적이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리코더집 만들기’ 주제의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을 적용하였고, 창의적 성향과 의생활태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창의적 성향과 의생활태도는 창의적 체험활동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4학년 전체 4개의 학급의 교육과정으로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을 편성하였고, 두 달간 실습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었다는 점에서 의생활 교육의 확장성과 교육 가능성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실과교과와 의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이 그렇게 높지 않지만,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기존의 실과와 의생활 프로그램이 그 교육적 효과와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실험 집단으로 한 학급을 선정한 사례가 많다. 무엇보다 연구 대상자 본인의 학급이나 협조를 구할 수 있는 친분이 있는 교사의 학급 정도가 그 대상이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학교장의 허락 없이 실제 학교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실험 대상 학교는 의생활 교육을 위해 실과교과가 편성되어 있지 않은 4학년을 대상으로 충분한 시간을 학교 교육과정에 편성하고, 재료비를 확보하는 등 의생활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교사의 의지와 협력으로 인하여 학년 전체의 의생활 교육 기회를 확대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예측했던 바대로 ‘리코더집 만들기’ 주제의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의생활 교육이 창의성[3]과 창의적 성향 함양[5, 20, 22]에 효과적이라는 기존 연구들과 같이 이 연구에서도 창의적 성향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수공노작활동이 창의성 함양에 효과적이다는 이론[7]에 근거해 실습 중심으로 운영하였다. 그리고 음악 시간에 실제 리코더 학습을 하는 4학년 아동들에게 리코더집은 필요한 용품이었으며, 학습 흥미와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리코더집을 완성한 후에는 리코더 수업이 있는 날 이 용품을 사용하고 있다. 실생활과의 관련성을 강조하는 실과와 가정과교육에서 그 대상에게 적절한 주제를 선정한다면 초등학교 5, 6학년 이전에도 의생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창의성 함양에 좋은 주제가 된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았을 때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 보다 평균적으로 창의적 성향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여자 아동에 비하여 남자 아동은 그렇지 않았다. 하위 영역에서도 여자 아동은 민감성과 열정에서, 남자 아동은 호기심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는데,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이 성별에 따라 창의적 성향의 하위 영역의 함양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아동의 창의적 성향 외에 의생활태도의 함양에도 효과적이었다. 코바늘뜨기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의생활 영역에서 지도되는데, 의생활 교육은 의복에 대한 내용과 함께 수선과 및 필요한 용품을 만들어 보는 내용들로 구성된다. 이 연구 결과는 바느질을 포함한 의생활 교육이 의생활태도의 함양에 효과적이다는 연구 결과[2, 8]를 지지하는데, 학생의 수준과 실생활의 필요성을 고려해 코바늘뜨기로 ‘리코더집 만들기’를 주제로 하였다. 그리고 주제 선정 과정과 실습 과정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용품을 만들고 의생활과 연계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그러한 점에서 의생활태도의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하위 요소 중 의복 흥미성에는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차이가 없었는데, 주제가 학생들이 직접 입는 옷과 관련된 것이 아닌 리코더집인 점을 감안하면, 의복 흥미성 측정 문항들과의 관련성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았을 때 여자 아동이 평균적으로 남자 아동보다 의생활태도 점수가 10점 이상 차이를 보인 점에서 남녀 아동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여자 아동이 의생활태도와 그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남자 아동은 의생활태도와 그 하위 영역인 의복 만족성, 의복 관리성, 의복 자립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코바늘뜨기가 남자 아동들에게 특히 필요한 주제임을 말한다. 반면에 여자 아동은 사전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함으로 변화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도 해석된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노작, 체험, 실습과 같은 가정과교과의 성격과 상당 부분 유사한 점이 많고, 학교와 지역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들은 가정과교과에서 다루고 있는 의생활, 식생활, 환경, 진로와 같은 내용 영역들이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도입이 가정과교과를 위축시킬 우려도 있지만, 가정과교과의 중요성을 알리고 실과 관련 지역 사회 교육기관과 산업이 발달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학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이 연구에서의 실험학교 사례를 통해 의생활뿐만 아니라 가정과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이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해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해 실습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초점을 둠으로 코바늘뜨기 또는 의생활교육과 관련해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하지 않은 점과 비교 집단이 없는 동일집단 사전사후 실험 설계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저학년 아동의 의생활교육과 관련한 효과적인 운영방법 외에도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와 중간 평가 및 참여 관찰, 인터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의생활교육의 효과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고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연구도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창의적 체험활동이 활발해지고 창의성 교육이 학교 교육 전반에서 충분히 이루어질 때 새 정부가 추구하는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행복교육이 실천될 수 있다. 의생활 교육은 아동의 창의성 함양에 효과적이고, 생활에 필요한 용품을 만든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몰입도가 높다. 의생활 교육이 실과교과가 편성되어 있는 5, 6학년 외에도 초등학교 전 학년에서 폭넓게 창의적 체험활동의 주제로 다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아동의 창의적 성향 함양에 효과적이다. 특히 창의적 성향의 하위 요소 중에서 민감성과 호기심의 함양, 그리고 남자 아동보다는 여자 아동의 창의적 성향 함양에 효과적이다. 둘째, 코바늘뜨기 창의적 체험활동은 아동의 의생활태도 함양에 효과적이다. 특히 의생활태도의 하위 요소 중에서 의복 만족성, 의복 관리성, 의복 자립성의 함양, 그리고 여자 아동보다는 남자 아동의 의생활태도 함양에 효과적이다. 셋째, 의생활은 아동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주제로 적합하다. 아동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제로 선정하고 이를 창의성 교육과 연계해 학교 교육과정에 의생활 교육을 편성하면 학년 전체가 의생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 declared that he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his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Acknowledgments

I wish to thank the teachers of Seoul Elementary School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is research and their enthusiasm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Figure 1.
Experiment design.
fer-52-2-103-1f1.gif
Table 1.
Programs of Creative Activities Related to Clothing
Class Content Class subject
1, 2 Orientation Material explanation
Proper use of tools
Ring makings
5 and 10 single crochet stitches
3-6 Making work I Counting stitches and rows
Making bottom of the circle by using single crochet stitches
Making a row by using single crochet and slip stitches
7-12 Making work II Setting up a pillar by chains
Using double crochet stitches
Finishing ends and rows to form the shape of a flower
13-16 Completing and sharing a work Making a string by using chain and single crochet stitches
Embroidery of initials
Completing the work
Sharing the work with friends
Table 2.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Variable n (%)
Gender Male 48 (51.6)
Female 45 (48.3)
Class 1 25 (26.8)
2 23 (24.7)
3 20 (21.5)
4 25 (26.8)
Total 93 (100.0)
Table 3.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ing with Respect to Creative Personality (N=93)
Category Pre-test
Post-test
t p
M SD M SD
Creative personality 45.69 9.791 47.81 9.639 -3.161** .002
 Sensitivity 16.57 4 437 17.51 4.358 -2.686** .009
 Curiosity 14 40 3.204 15.09 3.249 -2.714*** .008
 Passion 14.72 3.450 15.22 3.400 -1.974 .051

** p<.01

*** p<.001.

Table 4.
Differences by Gender between Pre- and Post-testing with Respect to Creative Personality
Category Gender Pre-test
Post-test
t p
M SD M SD
Creative personality M 46.55 7.995 48.47 7.237 -1.954 .057
F 44.73 11.488 47.07 11.801 -2.570* .014
 Sensitivity M 16.53 4.032 17.51 3.726 -1.760 .085
F 16.61 4.895 17.50 5.014 -2.195 .034
 Curiosity M 14.98 2.883 15.73 2.628 -2.275* .027
F 13.75 3.445 14.36 3.724 -1.566 .125
 Passion M 15.04 2.821 15.22 2.801 -.518 .607
F 14.36 4.041 15.20 3.998 -2.402* .021

Number of boys=49, number of girls=44.

* p<.05.

Table 5.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ing with Respect to Attitudes toward Clothing (N=93)
Category Pre-test
Post-test
t p
M SD M SD
Attitudes toward clothing 83.91 15.011 86.97 14.055 -3.739*** .000
 Clothing interest 14.76 7.559 15.04 7.893 -.702 .485
 Clothing satisfaction 24.59 3.487 25.42 3.150 -2.744** .007
 Clothing management 25.39 5.017 26.45 4.913 -3.081** .003
 Clothing independence 19.17 5.122 20.05 4.785 -2.289* .024

* p<.05,

** p<.01,

*** p<.001.

Table 6.
Differences by Gender between Pre- and Post-testing with Respect to Attitudes toward Clothing
Category Gender Pre-test
Post-test
t p
M SD M SD
Attitudes toward clothing M 77.16 12.521 81.20 11.495 -3.606** .001
F 91.43 14.049 93.39 13.969 -1.651 .106
 Clothing interest M 10.71 5.820 11.22 6.229 -1.059 .295
F 19.27 6.704 19.30 7.407 -.035 .972
 Clothing satisfaction M 24.94 3.132 26.33 3.071 -3.093** .003
F 24.20 3.843 24.41 2.952 -.538 .593
 Clothing management M 24.43 4.668 25.53 4.809 -2.541* .014
F 26.45 5.227 27.48 4.878 -1.849 .071
 Clothing independence M 17.08 4.286 18.12 4.352 -2.024* .049
F 21.50 5.009 22.20 4.343 -1.207 .234

Number of boys=49, number of girls=44.

* p<.05,

** p<.01,

References

Bak, B. G., & Kang, H. S.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form of integrative creativ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 155-177.

Cheon, J. H., & Jo, Y. J. (2010).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clothing management program for affirmative clothing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3), 101-121.

Choi, M. S., Jung, J. Y., & Hwang, Y. S.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ning materials in crochet lac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8(4), 73-97.

Chung, M. K. (2001).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clothing uni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3), 107-125.

Chung, M. K. (2004). The effects of handwork oriented learning on the brain function and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6(4), 57-79.

Hah, J. H. (2000).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Scale.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14(2), 187-210.

Hwang, H. K., & Chung, M. K. (2003). Educational value of the handworks for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ing hand func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6(3), 55-73.

Jang, B. O., & Lee, Y. J. (2009). The effects of clothing education program during discretional activity class on the cloth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5(1), 87-108.

Kim, B. H., & Lee, Y. J. (2009). Development of finger knitting program for laborious work experience of elementary student.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5(2), 135-156.

Kim, K. J. (2006). A study on cloth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Kim, Y., Oh, Y. H., & Kim, M. (2012). A study on the management for the creative activity edu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2), 285-304.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89). Development of thinking power program (III).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0). Development of thinking power program (IV).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Development of KEDI creative character scale.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Lee, M. H. (1987).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1(2), 1-11.

Lee, S. N. (2003). A study on clothing attitudes and teaching model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e, Y. J., Chung, M. K., & Choi, K. E. (2012). Analysis of the instruction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standard syllabus for the specialty course of clothing and textile area of practical arts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8(4), 137-158.

Ministry of Education. (2013). Happy education, creative human resources edu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National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 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 E. B., & Lee, S. S. (2013).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needlework with analysis of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2), 41-58.

Shin, M. S. (2010).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3), 267-291.

Song, H. J., & Lee, Y. J. (2013). The effects of a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with related to the clothing & textiles area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reativit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1), 63-82.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