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9(4); 2021 > Article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초등학교 1~3학년 아동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중심으로

Abstract

In this study, a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cusing on the values of each financial management area needed for children. According to 'quasi-experimental design -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formed for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a value-based child financial education program was executed, and then the program was applied to children's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The effect on the value propensity for each area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8 value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hildren of the control group, so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values of each of the 8 areas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needed for children. In addition,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cognitive, justice, and psychodynamic levels of values. It has also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various positive changes were found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dynamic dimensions about the values of each financial management area for children. From a positive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it plays a useful role in cultivating the values of each area of positive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아동기는 소비자로서 자신의 내면적 능력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장경제 구조 안에서의 소비자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소비자지식과 태도, 기능을 습득하는 초기 단계의 소비자 사회화과정 시기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아동기의 경험은 후기 성인 생애의 인지유형과 행동유형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Seo, 1999), 아동기 때부터 형성된 금전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바람직한 습관은 평생의 습관과 연결된다(Kang & Cheon, 2010; Sohn et al., 2017).
특히, 6세부터 11세까지의 아동기는 학동기에 해당하고(Jeong, 2019), 7세부터 아동들은 경제 개념 발달의 특징상 돈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게 되는 시기에 들어간다(Park, 2002). 이 시기는 아동의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해당되므로 이와 같은 발달상의 특징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에게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를 형성시켜 주고, 자신의 돈을 잘 사용하고 관리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일깨워 주어 이와 관련된 적합한 가치가 아동에게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아동을 위한 금융교육은 아동소비자에게 바람직한 재무적 의사결정능력과 금융생활과 관련된 생활습관을 형성시켜 주고, 금융생활에 필요한 합리적인 대처능력을 길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Lee, 2007). 특히 아동기에는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돈의 개념과 소유, 예산, 미래 계획, 용돈관리, 한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의 소비, 저축 등과 같은 소비자지식과 기술적 내용 이외에도 정직함이나 남을 고려함 등과 같은 내용을 배우는 도덕교육과 가치관 교육이 가능하므로, 돈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와 같은 돈에 대한 가치관에 대한 교육을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가장 먼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되고 있다(Seong et al., 2001).
한편, 아동이 돈과 관련된 올바른 가치관을 배우고, 용돈에 대한 올바른 습관을 기르는 것이 아동이 용돈을 보다 합리적으로 소비하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Kang & Cheon, 2010). 가치관이나 습관의 형성은 장시간이 필요하므로, 아동기에 장기적이고 정기적인 형식의 금융교육을 계획하고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시기에 소비행동의 형태가 결정되고, 이때 아동이 습득한 소비행동은 성인기의 소비행동에 그대로 연결되므로,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소비패턴 지도와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다. 또한, 아동기는 소비자사회화가 활발히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아동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소비자재무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돈과 관련된 가치교육을 중요시하는 내용을 근간으로, 경제와 사람 사이의 사랑이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가치관이 형성되도록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되고 있다(Yoon et al., 2001).
그러나 아동기에 초등학교 수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금융교육은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에 해당하는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체계 내의 일부 금융지식 관련 내용요소만을 교육하고 있는 실정이므로(Hahn, 2018),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돈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올바르지 못한 인식과 태도를 수정하고, 개인 재무관리에 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위한 학교 내외의 학습현장에서 금융교육이 더욱 많이 이루어져야 할 뿐 아니라, 기본적인 가치교육을 포함하여 지식교육 이상의 내용이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식 외의 측면에 초점을 두고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금융소비자로 행동하고 습관을 형성해 나가는 데에 가장 근원적인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가치에 기반을 둔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이 갖추어야 할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는 무엇인지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설계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2.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가치기반 금융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금융지식을 강화하고자 하는 차원을 넘어서, 다차원적 금융역량의 통합적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되는가?
1-1.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는 무엇인가?
1-2.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론적 배경

1. 아동의 금융역량과 금융교육

1) 금융교육의 개념

금융교육은 개인의 금융이해력을 증진시키고 금융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 이루어지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금융감독원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공동 개발한 「초·중·고 금융교육 표준안」 연구보고서(Fnancial Supervisory Service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에서는 금융교육을 개인과 가계의 재무 안정을 구축하고, 개인이 추구하는 생활양식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설명하고 있으며, Lee와 Kim (2012)은 금융교육, 즉 금융소비자교육 (Consumer Finance Education)을 빠르게 변화하는 미시·거시적 금융환경 속에서 소비자역할을 잘 수행하는 데에 요구되는 지식과 태도, 기능 등의 소비자역량을 갖추어 소비자결정을 현명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으로 정의하였다. 금융소비자교육은 금융교육, 신용교육, 화폐관리교육, 금융자산관리교육, 투자교육, 소비저축교육 등 여러 가지 용어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금융이해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Lee, 2007).
Choi와 Choe (2005)는 금융소비자교육을 개인재무관리교육(Education for Personal Finance 또는 Personal Financial Education)과 상통하는 의미로 보았는데, 금융소비자교육은 거시적이고 미시적인 경제 환경 가운데 있는 개인이 금융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교육 내용과 활동 및 경험들을 체계화하여 평생 동안의 경제 자원 관리와 연관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것으로서 정의하였다. 개인재무관리의 개념은 예산수립과 현금관리, 부채관리, 신용관리, 위험관리, 은퇴설계 등의 다양한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Choe, 2010; Kim & Roh, 2013), 개인재무의 대상은 개인으로서, 개인과 가족, 가계를 모두 통칭하며, 개인재무관리의 초점은 주로 가계의 경제활동결과에 보다 관심을 둔다(Choe, 2010). 경제교육이 경제에 관한 전반적인 개념과 원리를 교육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면, 금융교육은 경제에 관한 이해를 금융, 그 중에서도 특별히 개인재무관리에 두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Cho & Park, 2010).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금융교육의 의미를 종합해 보면, 금융 교육은 금융생활에 대한 건전한 인식, 선택,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식·기능·태도 및 가치를 포함한 다차원적 금융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2) 아동의 금융역량

(1) 아동의 금융이해력

금융이해력은 생애동안 효과적으로 금융생활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을 위해 금융자원을 유지하는 지식과 능력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Fnancial Supervisory Servi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 대다수의 금융교육에서는 금융이해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금융교육이 수행되고 난 뒤에는 대체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금융이해력 평가가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금융이해력 조사를 실시한 연구에는, Hahn (2018)이 미국 경제교육협의회(CEE; Council for Economic Education)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5~6학년용 BFT(Basic Financial Test)을 번역하여 국내 5~6학년 초등학생의 금융이해력을 측정한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 국내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에 66점으로 나타나 미국 초등학생의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 초등학생은 미국 초등학생보다 기회비용과 이자의 원리에 관한 이해력 부분이 매우 부족하고, 욕구 충족의 방법과 기회비용, 재화개념에 대한 이해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윤, 예산, 비용과 편익 비교에 대한 부분에서는 한국 초등학생의 이해도가 미국 초등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금융이해력 수준의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학업 성적과 사회 과목에 대한 선호도, 돈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생각과 돈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태도는 금융이해력 수준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6년에 Cheon & Kim (2016)이 측정한 초등학생의 금융이해력 측정에서는 평균 점수가 76.6점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평균 점수는 79.6점으로 나타나 남학생의 점수인 72.2점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남녀 학생들의 점수 간 격차는 신용과 부채, 위험관리와 보험 영역에서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올바른 돈 관리 습관을 가진 아동의 금융이해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yun (2017)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의 행동과 소비생활에 있어서 학생들의 도덕수준과 합리적 소비습관이 금융 이해력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금융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예절, 협동, 준법, 계획, 알뜰, 금전관리로 나타났으며, 과시, 환경 요인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이해력이 높은 지역에 속하는 초등학생은 예절, 협동, 준법, 과시에 대한 측면에 있어서도 더 바람직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는 앞으로 초등학교 학생 대상의 금융교육을 더 강화하여 금융이해력 향상을 도모하고, 도덕성 수준을 높이는데 노력해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아동의 돈에 대한 태도 및 인식, 돈 관리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금융생활에 필요한 가치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2) 아동의 금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아동의 경제개념 발달상의 특징과 금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해 살펴보면, 아동기는 돈에 대한 관심과 가치에 대한 이해가 시작되는 시기에 해당하는데, 이 시기에 경제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한 사고와 돈에 대해 올바르지 못한 인식과 태도를 가진 아동들은 소비행태에서도 부정적인 측면이 나타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Park (2002)의 연구를 살펴보면, 구체적 조작기인 7~11세 사이 아동들은 경제개념 발달 측면에서 다양한 특징을 나타낸다. 7부터 아동은 돈의 종류와 교환의 의미를 분명히 이해할 수 있고, 돈에 대한 가치를 인식할 줄 알게 되어 물건에 가격이 존재함을 알게 된다. 또한, 이때부터 소유욕이 커져 돈에 대한 흥미가 생겨 용돈 받기를 원하는데, 이 시기에는 특정 품목의 소유를 위해 짧은 기간 동안 저축할 수 있고, 부모의 소비습관을 모방하기 시작한다. 8세 아동은 간단한 산술능력과 함께 동전의 가치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므로 원하는 물건의 구매비용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부터 아동은 계획을 세워 돈을 모으기 시작하고, 물물교환에 능숙하며, 재산과 소유에 대한 관심이 커져 소유욕이 강해진다. 9세 아동은 계산과 기록이 가능하고, 큰돈을 소유하고자 하며, 개인과 사회적 차원의 돈을 구별하기 시작한다. 또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일을 해야 한다는 것과 고용주 및 고용인과의 관계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10세에서 11세의 아동은 모든 수에 대하여 계산이 능숙하고, 돈을 벌기 위해 집안일을 하거나 집밖에서 돈을 버는 것을 시작하기도 하고, 돈에 대한 소유 욕구가 예전보다 더 커지므로 용돈 조절 능력이 필요하며,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의 차이점과 돈의 제한성을 이해할 수 있고, 간단한 일주일 예산을 세우기도 한다.
Estess & Barocas (1994)도 5세부터 14세까지 아동들의 연령별 경제개념 발달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중에서도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7세 아동은 집안일을 통해 용돈을 벌기도 하며, 나중에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사기 위해 저축을 실천하기도 한다. 8세 아동은 물건 구입할 때 필요한 돈을 주지 않을 경우 돈을 그냥 가져가기도 하는 행동이 나타나기도 한다. 9세 아동은 많은 돈을 셀 수 있고 소유하기 바라며, 돈에 대한 이야기를 즐겨하고 구매하고 싶은 물건이 생기면 돈을 요구한다. 또한, 물건마다 가격이 다름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비싼 물건을 사기 위해 조금씩 저축을 실천한다. 초등학교 고학년기인 10∼11세의 아동은 큰 액수의 지출을 위해 계획을 세워 저축을 실천한다. 이 시기에는 돈을 벌고자 집안일을 하기도 하고 간혹 집밖에서 돈을 버는 것을 시작하기도 한다.
한편, 미국 Nevada 대학 Extension Center에서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교 저학년 및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돈에 대한 경제개념 발달상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파악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취학 전 아동은 직관적 사고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신이 직접 돈을 만지고 볼 수 있을 때 저축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며, 모든 돈의 가치를 같은 것으로 보고, 지폐보다 동전을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사람들이 돈을 받지 않더라도 일상적으로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며, 어른들이 하는 일을 모방하고,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상업과 TV프로그램에 나오는 환상의 차이를 구분할 수 없으며,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사물을 이해할 수 없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데, 돈에 대한 개념은 형성되어 있으나 동전과 지폐를 옳게 지명 할 수 없고, 부모의 소비습관을 모방한다. 또한, 가계에서 원하는 물건을 가져와야 할 때 지불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기도 하고, 주어진 돈으로 어느 정도의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지 질문하며, 충동 구매에 약하다. 그러나 이 시기의 아동들은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실제 수준보다 더 복잡한 주제로 돈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은 친구들 사이에서 선호되고 유행하는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며, 돈 소유에 대한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고, 1년 정도의 장기 저축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다. 또한, 돈의 가치를 알게 되며, 돈을 버는 방법을 발견하기 위해 노력하고,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으며, 돈의 제한성을 알고 물건 값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에 지침이 필요하며, 비용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산수를 활용할 수 있다(Park, 2002).
다음으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로서, Kang과 Cheon (2010)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돈에 대한 가치관(가치지향적, 물질지향적)이 용돈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가 있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초등학교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물질지향적 가치관(돈만 있으면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지 다 할 수 있다 등.) 보다는 가치지향적 가치관(돈을 조금 적게 벌더라도 풍요롭게 살 수 있다 등.)을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용돈관련 변수 중, 학년과 용돈액수에 대한 주관적 지각, 용돈기입장 기록정도에 따라서 돈에 관한 물질지향적 가치관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돈에 대한 가치지향적 가치관은 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의 용돈소비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돈에 대한 가치관과 용돈 기입장 기록 정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의 용돈 소비행동에는 돈에 대한 가치관과 용돈관련 변수가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금융지식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내용을 종합해 보면, 구체적 조작기에 속하는 7세부터 아동들은 경제개념 발달상 돈에 대한 가치에 관해 알기 시작하고, 이때부터 돈에 대한 소유욕과 저축에 대한 관심이 생기며, 부모의 소비습관을 모방하는 단계에 들어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용돈 소비행동에는 돈에 대한 가치관과 용돈관련 변수가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금융지식보다 더 중요한 영향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형성과 함께, 합리적인 돈 사용 및 관리 태도가 나타날 수 있는 방향으로 금융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가정생활과 실제 사회생활에 있어서 돈을 벌게 되는 경로와 올바른 소비 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이 요구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2. 아동금융교육 실태

1) 아동금융교육 현황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금융교육은 초등학교 사회과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는데, 이 두 교과목은 국민 공통 교육과정으로서 학생 모두에게 필수적으로 교육되고 있으나, 초등학교의 사회과 및 실과(기술·가정)교육 과정 내용체계 내에서는 금융교육을 위해 필요한 학습요소는 학습 단계별로 균형 있게 구성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Hahn, 2018).
구체적으로, 2009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의 사회 과목에는 소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 관련 정보 습득 및 소비자의 권리에 대한 내용을 포괄하는 성취 기준이 1개 제시되어 있었으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모두 제외되어 성취 기준이 하나도 존재하지 않으며, 초등학교 5, 6학년 사회 과목의 경우, 2009개정 및 2015개정 교육과정 모두에 금융교육 관련 성취 기준이 존재하지 않고, 두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는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단원이 제시되고 있으나, 주로 경제 성장과 무역 등에 관한 내용이 전개되고 있으며, 금융교육 관련 내용 요소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Ministry of Education, 2015a).
초등학교 실과 과목은 3, 4학년 군 교육과정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5학년 과정부터 개설되는 과목에 해당하고, 5, 6학년 실과 과목의 경우,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소득에 관한 내용에 초점을 두고 용돈 관리, 일과 직업의 의미와 중요성, 진로 탐색과 설계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었으나, 2015년 개정에 들어와 학교 가정과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초, 중, 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 과정에서는 초, 중등 학습의 연계성을 강화시키고자 위계적 연속성을 강조하여 ‘자원관리와 자립’이라는 대단원 아래 관리’와 ‘생애설계’라는 중단원을 공통 내용체계로서 선정하게 되었다. 이를 반영한 결과, 초등학교 5, 6학년 실과 교육과정에서는 금융교육과 관련하여 합리적인 용돈 관리에 관한 내용만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이전에 포함하고 있었던 내용 요소들을 모두 축소, 개편하여 모두 제외한 결과에 해당한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inistry of Education, 2015b; Hahn, 2018).
전체적으로 볼 때, 국민 공통 교육과정으로서 가정과에 해당하는 5, 6학년 실과 교과를 통해 생활의 실천적인 차원에서 아동의 용돈관리 및 합리적인 소비생활에 대한 내용을 가르치고 있고, 특히 초, 중등 학습의 위계적 연속성을 중요시 여기는 차원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구성한 점은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사회과 및 실과 교육과정 내에 구성되어 있는 금융교육 관련 내용체계에는 초등학교 아동에게 필요한 균형 있는 금융 교육 내용 지식이 고르게 편성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5, 6학년 실과 과목의 경우, 금융교육 관련 성취 기준이 2009개정 3개에서 2015개정 1개로 감소하게 됨에 따라 학교 금융교육 내용 비중이 크게 축소되었으며, 특히 사회 과목에서 금융교육 관련 성취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은 초등학교 교육 과정을 통한 금융교육이 전반적으로 후퇴하고 있는 것으로서 분석되고 있다(Hahn, 2018). 또한, 앞서 고찰한 내용과 같이 아동은 학동기가 시작되는 1학년 때부터 돈에 대한 가치를 알기 시작하며, 화폐의 종류와 교환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돈에 대한 흥미가 생기기 시작하여 저축을 하거나 부모의 소비습관을 모방하는 단계에 들어가는데, 현행 교육과정에는 이러한 아동의 경제개념 형성의 발달적 차원이 고려되지 않고 있어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 과정에 이르기까지 공식인 금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을 위해 기본적인 금융생활 관련 가치교육을 포함하여 지식교육 이상의 내용을 다루는 금융교육을 수행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2) 아동금융교육의 내용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금융교육 내용체계 및 금융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한 연구를 살펴보면, 금융감독원과 한국교육 과정평가원(Fnancial Supervisory Service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이 개발한 「초·중·고 금융교육 표준안」이 있다. 이는 초등학교 아동들을 위해 필요한 금융교육 내용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개발된 「초·중·고 금융 교육 표준안」 (Fnancial Supervisory Service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에는 금융지식에 대한 인식 및 이해,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성취기준들이 주를 이루어 구성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금융생활과 관련된 가치에 대한 내용을 학교교육에서 수행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금융감독원은 위에 제시된 「초·중·고 금융교육 표준안」 (Fnancial Supervisory Service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을 토대로,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금융」 (2012) 교과서를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금융」 교과서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금융 지식을 제공하고, 돈을 현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능력 및 태도를 기르는 것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만화와 삽화 등, 다양한 자료가 활용되어 금융관련 지식을 알기 쉽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교과서에는 금융 역량의 지식, 기능, 가치·태도와 같은 구성요인 중, 지식과 기능 측면의 금융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내용이 주로 제시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금융생활에 필요한 가치교육의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 외에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금융교육 관련 프로그램으로서 Moon (2013)에 의해 개발된 소비자역량 교육프로그램, Kang (2013)에 의해 구안된 초등학교 금융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게임수업 프로그램 등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금융교육 내용과 금융교육 관련 프로그램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주로 초등학생들에게 지식과 기능 측면의 금융역량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적합하나, 금융생활과 관련된 가치를 충분히 길러주기 위해서는 내용이 부족하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앞서 고찰하고 살펴본 바와 같이, 아동은 학동기가 시작되는 1학년 때부터 돈에 대한 가치를 알기 시작하며, 화폐의 종류와 교환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돈에 대한 흥미가 생기기 시작하여 저축을 하거나 부모의 소비습관을 모방하는 단계에 들어가는데, 현행 학교 교육과정의 금융교육 내용에는 이러한 아동의 경제개념 형성의 발달적 차원이 고려되지 않고 있어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 과정에 이르기까지 공식인 금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을 위해 기본적인 금융생활 관련 가치교육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금융교육을 수행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3. 가치기반 금융교육 방법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융생활 관련 가치교육 및 인성교육에서는 가치의 내면화 및 의지 변화를 통해 실천을 유도하는 단계적 교육방법으로서 가치 탐구학습 모형이 유용하고, 실생활의 주제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이해와 흥미를 높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끄는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으로서 스토리텔링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을 촉진하고 상상력 개발에 적절한 교육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치탐구학습 모형과 스토리텔링을 가치기반 금융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1) 가치탐구학습

가치탐구학습은 1950년대 후반 존 듀이(John Dewey)의 제자 레스(Raths)가 뉴욕 대학에서 강의 방법론 연구 중, 고안된 것으로서, 본래는 도덕과나 교육학에서 논의되는 가치 명료화 수업에서 유래되었다(Kim, 2014). 가치탐구학습은 가치를 올바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게 도와주는 학습이라 할 수 있는데, 가치탐구학습에서 자신의 가치를 명료하게 인식하는 과정, 자신과 타인의 가치를 비교분석하는 과정, 그리고 최적의 가치를 결정하여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다(Lee, 2013).
이와 같은 가치탐구학습 방법은 경험의 결과로서의 ‘가치'보다는 가치가 내면화 되어가는 '가치화 과정'을 중시하고, 가치판단을 위한 논리적 구성요소들에 대해 타당성 검증을 통해 정당한 가치 판단을 유도하는 전형적 가치분석방법을 적용함을 통해 가치갈등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가치문제를 명확히 하고 해결하는 데에 특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Kim, 2014).
이러한 특징을 가진 가치탐구학습은 연구자에 따라 대표적으로 세 가지의 모형이 있다. 첫째, 학습자가 가치문제 상황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개인이 선택한 가치를 소중히 여겨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조력하는 래스(Raths), 하민(Harmin), 사이몬(Simon)에 의해 개발된 가치명료화 모형, 둘째, 갈등을 중심문제로 인식하고, 이성을 가치논쟁의 중요한 중재자로 바라보면서 점차적인 단계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쿰즈(Coombs), 뮤크스(Meux), 카드위크(Chadwick)를 중심으로 고안된 가치분석 모형, 셋째, 가치와 가치체계, 가치탐구자의 본질, 가치탐구의 기술 및 촉진방법에 대한 이론 등을 바탕으로 계열성이 있는 일련의 활동들로 조직적으로 운영되는 시몬즈(Simmons)의 가치탐구 워크숍이 있다(Namgung, 1997).
이와 같이 외국에서 고안된 가치탐구학습 모형 외에 학습자의 내면화 과정을 중시하는 가치탐구학습 모형으로서, 국내 연구자인 Namgung (1997)이 개발한 가치탐구학습 모형이 있다. 이 모형은 문제상황인식, 선택하기, 긍지갖기, 행동하기, 내면화하기의 5단계로 구성되는데, 각 단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상황 인식 단계에서 학습자는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문제 상황을 인식한다. 둘째, 선택하기 단계에서 교육자는 구체적인 가치 갈등 상황을 제시해 주고, 학습자들은 가치 갈등 상황에서 드러난 사건들을 토대로 문제, 또는 토론의 주제를 찾아낸 뒤, 가치를 분석한 후 자유롭게 선택한다. 셋째, 긍지 갖기 단계에서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가치와 입장, 관점 등에 대해 근거를 찾아내고, 최대한의 합리적 주장을 마련한 뒤, 자신이 선택한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고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가치를 선언한다. 이 단계에서 학습자는 자신이 택한 가치와 입장, 관점을 확인하며 그 가치를 선택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를 예상한다. 넷째, 행동하기 단계에서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가치와 입장, 관점 등이 자신의 주변 일상에서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며, 그 가치를 따라서 행동한다. 다섯째, 내면화하기 단계에서 학습자는 선택한 가치의 일반화 가능성을 탐색하며, 실제 현실의 상황 속에서 습득, 또는 인식된 가치에 적응해야 하는 태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내용을 통해, 가치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가치탐구학습은 대체로 선택한 것을 소중히 여기고 행동으로 실천하는 방법, 사실의 확실성을 평가하여 타당성을 명료화하는 방법, 타인의 가치에 대해 친숙해지고, 가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확립하는 방법 등과 같이, 감정과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가치를 내면화하고, 의지를 통해 행동을 이끄는 접근방식이 적용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치탐구학습 방법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을 위해 적용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교육방법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경제교육에서는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한 사례가 있다. Lee (2013)은 세 가지 가치탐구 학습 모형, 즉 가치명료화 모형, 가치갈등 모형, 가치분석 모형을 토대로 유아경제교육에 적합한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자는 공유하는 삶을 실천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태도를 형성함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경제민주시민을 양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목적 아래, 유아들의 경제사고력 증진과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 공동체의식 형성, 합리적인 경제생활 실천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방법 중, 교수원리로서 생활중심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 통합의 원리, 탐구중심의 원리를 적용하였고, 교수학습과정으로서 경제문제 인식 단계, 경제문제해결안 모색 단계, 경제문제해결을 위한 가치판단 및 최선안 선택 단계, 경제문제해결을 위한 가치동기 내면화 단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교사의 역할을 환경구성자, 상황적용자, 개념지원자, 사고촉진자, 동기부여자로 설정하였으며, 교수학습자료로써 동영상과 그림자료, 견학자료, 활동지, 역할극 자료와 소품, 체험자료를 활용하였고, 프로그램 평가로써 유아평가 및 프로그램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치탐구모형을 적용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경제개념, 의사소통태도,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에게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함양시켜 주는 금융교육을 위해, 학습자에게 가치의 내면화 및 동기유발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돕는 학습자 중심의 단계별 교육방법으로서, Lee (2013)이 경제교육에서 적용한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활용하였다.

2) 스토리텔링

가치교육과 관련된 교육방법을 살펴보면, 교육대상과 교육주제에 따라 다양한 교육방법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가치교육 방법에는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학습방법과 모둠을 활용한 토의 및 토론 활동, 협동 학습, 스토리텔링 학습방법과 같이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는 데에 유용한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 중, 스토리텔링 학습방법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화폐관리교육이나 경제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들은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하고, 사회적 현상과 자연적 현상에 대한 호기심이 많아지는 특성이 있는데(Song et al., 2008; Kim, 2014).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구체적 조작을 통한 학습을 선호하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표현능력이 창의적이고, 주의집중 시간이 짧은 발달적 특성을 가지므로, 스토리텔링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을 촉진시켜 주고, 상상력을 개발시켜 주는 데에 가장 적절한 교육 방법으로서 제안되 고 있다(Kim, 2014).
또한, 스토리텔링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에게는 단계적 성찰이 가능하고,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는데(Kang, 2014), 스토리텔링 수업에서 사진이나 그림, 동영상 등의 디지털 매체를 활용할 경우, 이와 같은 매체들은 시각적 자료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특성을 가진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을 자극하고 흥미를 유발시켜 풍부한 상상을 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Kim, 2014). 이와 함께 스토리텔링은 강력한 이미지와 상징을 담고 있으므로, 지적이고 감정적인 의미의 전달을 통해 몇 년이 지난 후에도 영향을 미쳐 이야기를 들은 청자에게 이야기와 인물, 그리고 그들의 도덕적 덕이나 결핍 등을 기억하게 한다고 주장되고 있다(Kirchenbaum, 199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발달적 특성에 맞추어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를 돕고,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으로서 동화를 활용한 스토리 텔링을 학습기법으로서 적용하였다.
3)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조작적 개념 정의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이란 아동 자신뿐만 아니라, 아동이 속한 가정과 타인, 사회와의 관계를 고려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아동이 돈을 버는 것과 관련하여 성실한 근로태도를 형성하고, 돈을 버는 수고에 대해 감사하며, 돈을 빌리는 것과 관련하여 책임 있는 신용태도를 갖고, 돈을 불리고 지키는 것과 관련하여 계획성 있는 저축태도를 기르며, 돈을 쓰는 것과 관련하여 정직하고 절제하는 소비태도를 갖고, 돈을 내는 것과 관련하여 준법의 가치를 준수하는 시민의식을 형성하며, 돈을 나누는 것과 관련하여 타인과 나눔의 가치를 공유하는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아동에게 필요한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개인재무관리 가치성향을 증진시켜 주는 프로그램이다.

연구방법

1. 프로그램 개발절차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절차를 구축하기 위한 모형으로서 ADDIE 모형(Analysis(분석), Design(설계), Development(개발), Implementation(실행), Evaluation(평가); Seels & Richery, 1994)을 활용하였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활용되는 모형에는 High-IMPACT 훈련모형, 결과기반 HRD 모형, 경영성과지향 ISD 모형 등이 있는데(Chung, 1998), 그 중에서도 ADDIE 모형은 교수 설계를 체제적, 체계적으로 안내하는 장점(Yoon, 2017) 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장점을 가진 ADDIE 모형 을 가치기반 금융교육의 개발 절차로써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루어진 각 단계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아동금융교육에 반영할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도출하고, 부모대상 집단심층면접을 통해 도출한 가치에 대하여 내용 타당도를 평가한 뒤, 이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쳐, 아동금융교육에 반영할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먼저, 선정된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관련 영역별 가치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체계 및 목표를 설정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선정된 교육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가치기반 아동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활동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집단에 의한 프로그램 내용 적절성 평가를 거쳐 프로그램 시안을 수정한 뒤,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최종적으로 구성된 가치기반 아동금융 교육 프로그램을 현장교육을 통해 실행하였다.
넷째, 평가 단계는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양적 연구방법 (quantitative research)과 질적 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 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실험·통제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자기평가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험집단 아동 부모대상 프로그램 효과평가 응답지를 수집하여 프로그램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단계로 구성된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는 다음 Table 1과 같다.

2.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가치도출 방법

1)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도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도출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도출을 위해,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 아동교육을 목적으로 사용되어 온 한국전통문헌과 옛선조들에 의해 중요하다고 여겨져 왔던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에 대한 내용이 담긴 서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전통문헌 중에서도 특히 아동에게 필요한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에 관한 내용이 수록된 한국전통 문헌으로서, 어린이의 학습을 위해 옛 조상들이 중국 고전의 선현들의 금언(金言) 및 명구(名句)를 편집하여 만든 책이며, 우리나라 조상들이 글자를 이해할 만한 어린 시절부터 필수적으로 배워왔던 책인 「명심보감(明心寶鑑)」과 옛 선조들이 삶을 사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보았던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관이 담겨 있는 한국 전통 야담집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양고전 문헌으로서 자녀교육을 위한 교훈서로서 성인과 아동들에게 널리 읽혀지고 있는 「탈무드」와 「토라」, 국내외 다양한 경제교육과 금융교육, 부모교육, 초등교육 등의 연구 및 문헌 내용으로부터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해당되는 의미단위들을 모두 통합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국내외 경제교육, 또는 소비자교육 등의 연구물에서는 아동에게 필요한 경제개념과 경제의식, 소비자역량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내용으로부터 아동이 갖추어야 할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라고 볼 수 있는 ‘욕구 절제 및 자족’, ‘돈의 소중함’, ‘기부와 봉사’(Lee, 2008), ‘소비생활 반성’(Moon, 2013) 등과 같은 가치들을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의미단위로서 도출하였다.
또한, 국외 문헌 번역서로서 아동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돈에 대한 가치를 함양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침서에서는 돈과 관련하여 준법의 가치를 길러주기 위해 아동에게 교통요금과 세금납부의 중요성을 가르쳐 주어야 하고, 통행료를 내는 것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는 내용이 있었는데(Godfrey, 2000), 이와 같은 내용으로부터 ‘준법(교통요금 및 세금납부의 중요성, 통행료를 내는 것에 대한 가치)’이라는 개념을 돈 내기 영역에서 하나의 의미 단위로서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거쳐 2종의 한국전통 문헌과 2종의 서양고전 문헌, 8종의 국내 연구 및 문헌, 10종의 국외 연구 및 문헌, 총 22종의 선행연구 문헌으로부터 6가지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다.
둘째.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들 중, 개념이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 단위끼리 군집을 구성한 뒤, 유사한 의미단위나 중복되는 의미단위는 대표적 개념의 의미단위로 통합시킨 후, 각 의미 단위들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계획’이라는 의미단위는 ‘계획성’으로, ‘저축’은 ‘저축의 중요성’으로, ‘미래의 필요대비’는‘미래대비’와 같이 의미를 통합시킨 뒤, 각 의미단위들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대표적 개념으로 통합되어 있는 의미단위들을 개념이 서로 유사한 것끼리 함께 묶어 하위범주의 군집을 구성한 뒤, 각 하 위범주 간의 내용을 상호 검토하여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하위 가치항목의 개념을 수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성교육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인성 덕목 중, KEDI 인성검사지(Hyun, 2014)의 제작을 위해 사용된 인성교육 덕목으로서 성실, 배려, 책임, 예의, 자기조절, 정직, 시민성 항목과 Kim (2007)의 연구에서 제시된 인성 덕목 중, 자기통제, 성실, 예의범절, 사랑, 타인배려, 정직, 준법정신, 봉사정신, 책임감 항목을 참고하여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가치 항목들과 가장 흡사한 단어들을 뽑아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로 구성된 각 의미단위들의 내용을 상호 검토한 뒤, 성실, 감사, 책임, 절제, 정직, 준법, 나눔과 같이 7가지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하위범주 가치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넷째, 전문가집단에 의해 전체적인 내용 타당성을 검토한 후, 보완·수정 과정을 거쳐,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도출하였다.

2) 부모대상 내용 타당도 평가

선행연구 분석에서 추출된 가치 항목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고, 학부모가 자녀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대한 교육내용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집단심층면담(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한 집단심층면담의 주요 질문은 첫째, 개인재무관리 영역(돈 벌기/돈 빌리기/돈 불리기와 돈 지키기/돈 쓰기/돈 내기/돈 나누기 영역)에서 부모가 자녀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는 무엇인가? 둘째, 자녀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타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는 무엇인가? 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게시판 및 사회적 연결망을 통한 공고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자녀로 둔 학부모 8명을 면담 대상자로 모집한 뒤,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여 집단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모집된 참여자들의 성별은 모두 여성으로서, 3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의 연령대에 속한 학부모들이었다. 교육수준은 모두 고졸 이상으로서 주로 대졸의 학력을 가진 참여자가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2명의 자녀를 두고 있는 경우가 주를 이루었고, 전체 자녀 중,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는 주로 1명이었으며, 자녀의 학년은 초등학교 1학년과 3학년이 고르게 분포되고 있는 편이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을 자녀로 둔 부모대상 집단심층면접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선행연구 분석결과에 대한 내용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개인재무관리 영역별로 우선순위가 일치하게 나타난 영역은 돈 벌기 영역(성실), 돈 빌리기 영역(책임), 돈 불리기 및 돈 나누기 영역(책임), 돈 쓰기 영역(절제), 돈 내기 영역(준법)이었고, 돈 나누기 영역에서는 감사와 나눔의 가치가 동등하게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볼 때, 우선순위에 있어서 부분적인 내용에 차이가 있었지만, 선행연구 분석에서 도출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1순위 가치와 부모가 중요하다고 보는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1순위 가치가 일치하므로, 선행연구 분석결과에 대한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집단심층면접에서 나타난 부모들의 응답 내용을 반영하여 일부 가치 항목을 개인재무관리 영역별로 적합하게 조정하면, 가치기반 아동 금융교육을 위한 적합한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선정

본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필요한 개인재무관리 영역을 선정하기 위해, 먼저 Lee (2008)의 금융생활 영역 분류와 연구와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2003)의 초·증·고 금융교육 활성화 방안 중간 연구보고서의 금융교육의 범주 분류에 대한 내용을 결합하여 개인재무관리 영역을 크게 돈 벌기, 돈 쓰기,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돈 쓰기, 돈 내기, 돈 나누기의 6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연구에 대한 문헌분석과 부모대상 내용 타당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아동 아동에게 함양해야 할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로서 정직, 감사, 성실, 책임, 계획성, 절제, 준법, 나눔의 가치를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8가지 가치로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가치를 선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로 선행연구에서 가장 제시 빈도가 높은 가치와 집단심층면담 결과 중, 참여자들에게서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가치가 일치할 경우, 이를 해당 영역을 위한 주제 가치로서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한편, 선행연구에서 돈 빌리기 영역과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제시 빈도를 보였던 가치는 책임의 가치로 나타나 일치하였는데, 집단심층면담의 응답에서 돈 빌리기 영역을 위해 가장 필요한 가치로서 언급된 가치가 책임의 가치였던 것을 반영하여 이를 돈 빌리기 영역을 위한 주제 가치로서 할당하였으며, 집단심층면담에서 참여자들은 돈을 불리고 지키는 것과 관련하여 계획성이 중요하다는 언급을 많이 하였는데, 계획성은 선행연구의 가치 분류에서 책임의 가치에 대한 내용 중, 하위 영역에 해당되므로, 이를 돈 빌리기 영역을 위해 할당한 책임의 가치와 구분하여 제시하기 위해, 계획성이라는 개념을 그대로 사용하여 채택하였다. 이 외에도 선행연구에서 기타 영역으로 분류된 가치로서 감사와 정직의 가치가 있었는데, 집단심층면담의 참여자들의 의견에서도 부모가 힘들게 번 돈을 받을 때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과 돈을 받아 쓸 때에 돈 문제에 대해 정직하게 이야기하고 쓰는 것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나타났으므로,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하여 감사의 가치를 돈 벌기 영역에, 정직의 가치를 돈 쓰기 영역에 배정한 뒤,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을 위한 8가지 가치로서 최종 확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과 부모대상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아동에게 필요한 8가지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로서 돈 벌기 영역에서 성실과 감사의 가치, 돈 빌리기 영역에서 책임의 가치,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에서 계획성의 가치, 돈 쓰기 영역에서 정직과 절제의 가치, 돈 내기 영역에서 준법의 가치, 돈 나누기 영역에서 나눔의 가치를 최종적인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로서 선정하였다.

3. 프로그램 시안 구성 방법

1) 구성 근거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가치탐구학습 모형, 즉 가치명료화 모형과 가치갈등 모형, 가치분석 모형을 유아경제교육에 적합한 가치탐구학습 모형으로서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에 적용한 사례로서, 유아들의 경제사고력 증진과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능력 증진, 공동체의식 형성, 합리적인 경제생활 실천을 목표로 하는 Lee(2013)의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에 적용된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가치탐구학습의 대표적인 세 가지 모형인 가치명료화 모형, 가치갈등 모형, 가치분석 모형은 Lee (2013)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모든 모형들이 유아 이상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습모형임이 확인되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학습단계를 크게 도입, 전개, 정리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 중, 도입 단계에서는 학습동기 유발, 전개 단계에서는 상황이입이 이루어진 후, 가치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문제인식, 문제 해결안 모색, 가치판단 및 최선안 선택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활동 진행 및 발표 시간을 가진 뒤, 정리 단계에서는 가치내면화 하기 및 실천다짐 과정을 구성하였다.

2) 프로그램 교육방법

본 연구에서는 금융생활에 적합한 올바른 가치들을 아동들에게 교육하기 위하여 동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학습 방법을 교육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또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주제와 연관된 내용이 담긴 그림 동화책, 동영상 자료, 동화의 내용을 토대로 제작한 PPT 등,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에 참여하는 아동들의 상상력과 흥미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아동들이 스스로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생각을 활발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3) 스토리텔링을 위한 동화 선정

본 연구에서는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동화 선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측면을 고려하였다. 첫째, 전래동화와 이솝우화, 성경이야기,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개인재무관리 관련 특정 가치와 연관된 내용요소가 담긴 심미적인 이야기를 선별하였다(Table 2 참조). 둘째, 이야기를 통해 아동이 적절하게 사고력을 발휘함으로써 더욱 발전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였다. 셋째, 학습하는 아동들의 흥미도와 이해도를 높여주기 위해 동화 속의 이야기가 담긴 PPT 자료화면 및 그림책 등, 시각매체의 이미지를 활용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하였다. 넷째, 아동의 집중력 수준과 교육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량을 가진 이야기만을 선정하였다.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동화 선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 옛날에 살았던 서민들의 생활모습과 가치관이 반영된 것으로서, 옳고 그름의 판단에 대해 직접적인 강요나 제시를 요구하지 않고 이야기를 통해 전달되는 교훈을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갖게 하고(Lim, 2008), 짧은 내용을 통해 아동이 경제적 동기나 의도를 해석하기 용이하므로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의 인지구조에 적합하다고 평가되는(Kim, 2015) 전래 동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문가 평가에서 제안된 부자가 된 머슴, 금덩어리와 바꾼 삼천 냥, 요술 맷돌과 같은 전래동화를 선정하였다.
둘째, 아동의 도덕성을 교육하기 위한 도덕적 가치 주제를 내포하고 있는 이야기로서 초등학교 1∼2학년의 도덕성의 수준에 적합한 자료로서 평가되는 이솝 우화(Kim, 2008) 중, 전문가 평가에서 제안된 ‘욕심 많은 개’,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대한 우화를 채택하였으며, 이 중 ‘욕심 많은 개’에 대한 우화는 수업에서 교사가 의도하는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수월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작(Lee, 2013) 과정을 거쳐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어휘표현 수준과 학습목표에 맞게 적절히 개작하였다.
셋째, 노동과 소득, 부의 축적의 궁극적인 목적 등, 물질관이나 재물관과 같은 경제 문제에 대한 태도나 방법 등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어 현대인을 위한 개인재무관리 교육에서 다루기에 유용한 장점이 있는 성경이야기(Kim, 2009) 중, 돈 불리기 및 돈 지 지키기 영역에서 계획성에 대한 가치를 함양시키기 위해, ‘요셉’과 관련된 이야기의 부분적인 내용을 채택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어휘표현 수준과 학습목표에 부합하도록 개작하였다.
넷째.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 학생들의 상상력과 사고력 등을 자극시켜 지적인 발달을 도모하기에 적합한 동화(Lee et al., 2008)로서, 학생들의 연령 수준에 부합하고(Kim, 2017), 돈 쓰기 영역의 정직의 가치를 함양시켜 주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명작동화로서 ‘피노키오’를 채택하였다.
다섯째. 환상성과 사실성을 중심으로 하는 창작동화로서, 어린이나 어른 등이 등장인물로 나오고, 아동이 주변 사람들과 살아 가면서 생활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 생활 동화 (Baek, 2010)의 특성을 잘 담고 있고, 돈 내기 영역에서 준법의 가치를 길러주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빵집 사장이 달라졌어요’(Jung, 2009)라는 동화(해당 출판사 및 작가로부터 저작권 관련 허가를 받음)를 채택하였다.
여섯째, 전체 동화에 학생들이 경제적 문제 상황에 대해 합리적 사고 판단과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자신의 경제적 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 주고, 사회 구성원과의 이해관계 및 상호의존과 협력을 위한 공감과 감정이입을 가능하게 하는 심미성(Lee, 2013)을 지녔는지 확인하고, 교육시간 확보를 중요한 요인(Kim, 2017)으로 고려하여 전체적인 스토리텔링 시간이 10분을 넘지 않도록 유의하여 동화 내용을 구성하였다.

4) 전문가 평가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중학교 가정과교사 1명과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 4명, 용인시 초등학교 교사 1명을 대상으로 총 6명을 전문가 집단으로 선정하였고, 2020년 2월 11일부터 21일까지 11일간 E-mail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평가 과정 진행 중, 평가 항목에 대한 문의 사항이나 기타 의견 등은 전화통화 및 SNS를 통해 설명하고 보충하였으며, 평가지를 통한 답변을 받은 뒤, 전문가 집단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인 가치기반 아동 금융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4.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구성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정된 8가지 아동대상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기반으로, 8차시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내용체계 및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목표를 선정하였으며(Table 3 참조), 가치탐구 학습과정과 스토리텔링 교육방법을 적용한 뒤, 교육내용과 활동을 채택하여 총 8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돈 벌기 영역에서 성실과 감사의 가치, 돈 빌리기 영역에서 책임의 가치,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에서 계획성의 가치, 돈 쓰기 영역에서 정직과 절제의 가치, 돈 내기 영역에서 준법의 가치, 돈 나누기 영역에서 나눔의 가치에 대한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차시 당 40분의 총 8차시의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Table 4 참조).

5.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방법

실행된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의 효과평가를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에 참여한 아동 중, 분석 자료가 적절하게 수집된 15명의 아동의 결과 자료를 실험집단의 분석 자료로, 실험집단과 유사한 학년 구성을 가진 15명의 아동에 대한 결과 자료를 통제집단의 분석 자료로서 채택한 뒤, 총 30명에 대해 SPSS ver 25.0(IBM co., Armonk, NY) Windows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교육효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인 의미를 확인하였다.

1) 연구참여자의 모집과 프로그램 실행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모집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준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비동등형 통제집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선정시 무선 할당 방법을 따르지 못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집단 참여자는 서울 소재 사립도서관 1곳과 인천 소재 사립도서관 3곳이 위치한 해당 지역의 초등학교를 다니는 1학년부터 3학년 사이의 아동으로 한정시켜 총 27명의 아동들을 모집하였다. 실험집단의 크기는 코로나 19 상황 하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고려하여, 교육 집단의 크기를 4명에서 10명 이내로 제한하고자 하는 사립도서관장 재량의 방침들을 준수했다. 그 후,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육에 1회 이상 결석하거나 사후검사에서 부적절한 응답을 한 아동, 학생 및 부모평가 자료가 수집되지 않은 아동을 제외함으로써 15명의 아동의 결과 자료를 실험집단의 결과자료를 분석하였다.
통제집단 참여자는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부모를 중심으로 동의를 받아, 수도권 29명, 강원권 5명으로 구성된 총 3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서면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설문지 내용에 부실하게 응답하거나 설문조사 기간 내에 응답지를 제출하지 않은 아동들을 제외함으로써 총 31개의 응답 결과를 수거하였고, 실험집단 아동의 학년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 15명의 아동에 대한 결과 자료를 채택하여 통제집단의 자료로써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운영

본 연구를 위한 실험집단 교육은 코로나 19 상황에 의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비교적 완화되었던 시기인 8월 10일부터 11월 20일 사이의 기간에 인천과 서울 소재 4곳의 사립도서관에서 코로나 19 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 및 손소독, 발열체크, 방역일지 작성, 학생 간 거리두기 등의 방역 수칙에 따라 이루어졌다. 교육이 실시된 이후, 각 도서관의 교육 일정은 코로나 19 확진자 증가 추이에 따라 도서관장 재량의 방침에 의해 변동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도 도서관 휴관 및 프로그램 일정에 따라 연기되거나 재개되었다. 실험집단을 위한 교육 시간은 40분 동안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하루당 2회 분의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4일의 교육일 동안 총 8차시의 교육을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되었고, 하루 2회 분의 프로그램 진행 사이에는 약 5분간의 휴식시간을 두었다. 본 연구의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는 실험집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각 집단의 교육이 시작되는 시점과 마무리되는 시점에 이루어졌으며,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도 4곳의 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램 실행이 시작되고 마무리되는 시점에 맞추어 4그룹을 구성하여 각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 간 학년 분포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된 연구대상은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은 인천광역시 소재 H, K, G사립도서관과 서울시 소재 Y사립도서관에서 가치기반 아동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교육 받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 사이의 아동 15명(남아 4명, 여아 11명)이며, 통제집단은 서울시와 경기도, 강원도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가치기반 아동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교육 받지 않은 아동 15명(남아 8명, 여아 7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들이 재학하고 있는 초등학교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분석해 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아동들은 지역적 특성이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준실험설계-비동등형 통제집단설계’ 연구방법을 따르는 본연구의 한계점으로서, 인간 대상의 연구를 위해 무선할당 방법을 따르는 것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의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구성하는 측면에 어려움이 있었음을 반영한다. 2020년도 3월을 기준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학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 학년은 2.2 학년 (S.D=.86)이고, 통제집단의 평균 학년은 2.07 학년(SD=.88)으로서, 두 집단의 평균 학년에 대해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t=.42로 두 집단 간 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동일한 집단으로 나타났다(p>.05).

2) 효과평가 도구 및 분석방법

(1) 양적평가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 점수 간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단일표본 사전·사후검사 결과 값을 통해 교육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통제집단은 실험집단 아동들의 교육기간과 부합하게 온라인 설문조사 및 서면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전·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교육 받은 15명의 실험집단의 아동들과 교육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인식에 대한 변화를 통계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 역량을 통합적으로 형성시켜 주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인 근거와 사례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개념을 활용하여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대한 지적 측면의 이해를 목표로 하는 인지적 차원의 목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대한 결정 능력을 계발하거나 선택의 상황에서 적절한 판단을 내리도록 하는 능력과 자세를 갖추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의적 차원의 목표, 자신이 알고 있거나 결정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행동으로 옮기는 데에 목표를 두는 심동적 차원의 목표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목표가 학습을 통해 어떠한 수준으로 성취되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검사 문항을 통해 아동이 개인재무관리 영역에서 갖추어야 할 긍정적인 가치성향, 즉 성실, 감사, 책임, 계획성, 정직, 절제, 준법, 나눔에 대한 가치성향을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의 금융관련 가치성향과 돈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교육 효과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아동이 스스로 응답할 수 있는 내용의 질문이 포함된 사전·사후 효과 평가 검사지 문항을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검사지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과 전문가 검토에 의해 선정된 아동금융교육 주제별 가치 항목을 사용하고, Hwang (2016)이 인성 교육 프로그램 시행의 성과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에서 제시한 설문지 제작의 단계와, Hyun (2014)이 개발한 초·중·고 공용의 KEDI 인성검사 실시요강과 Lee (2008)의 경제윤리의식 측정을 위한 문항 내용을 참고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의 수준에 적합한 가치 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검사 문항을 고안하였다.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검사 문항을 통해서는 아동이 개인재무관리 영역에서 갖추어야 할 긍정적인 가치성향을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 측정하였다. 한편, 검사지 내용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의 자문 및 사전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검사지의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전문가 집단을 통해 문항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신뢰도를 검증한 뒤, 최종적인 프로그램 효과 평가를 위한 검사지를 완성하였으며, 이를 본 연구의 양적평가를 위한 측정도구로써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립한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목표가 학습을 통해 어떠한 수준으로 성취되었는가를 파악하였다.
또한, 아동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매우 그렇다’에 5점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까지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인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결과가 높을수록 아동의 금융생활 관련 가치 성향과 태도 및 행동의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서 해석하였다.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 문항은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측정 가치영역은 6개이며, 각 영역별 문항들은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들의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성향이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 어떠한 수준으로 성취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각 영역별 학습목표의 내용을 반영하여 연구자가 선정하여 구성한 것이다.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6가지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문항 신뢰도(Cronbach's Alpha)는 .713에서 .794의 분포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평가도구로서의 양호함이 검증되었다(Table 5 참조).
한편,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 살펴본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대한 신뢰도(Cronbach's Alpha)도 .695부터 .833까지의 분포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평가도구로서의 양호함이 검증되었다(Table 5 참조).

(2) 질적평가

본 연구의 질적평가를 위해, 학습을 받은 실험집단 아동의 부모에 대하여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통해 심도 있는 교육 후 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8차시의 교육 실시 이후, 아동에게 나타나는 긍정적인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성향을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립한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목표가 학습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성취되었는가를 파악하였다.
이에, 프로그램을 교육 받은 아동에게 나타나는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대한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 성향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질문과 프로그램 만족도 및 프로그램 관련 의견을 수집하기 위한 질문을 제시하였다.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결과

1.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효과평가 결과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난 뒤에 나타나는 아동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성향 변화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조정된 사후 점수 평균 및 표준오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대한 점수는 최저 1점부터 최고 5점의 범위를 나타내며, 점수가 높을수록 아동이 더 높은 가치 수준을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아동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평가 결과, 실험집단의 전체적인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의 조정된 사후점수 평균은 4.89점(SD=.09)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전체적인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의 조정된 사후점수 평균은 3.87점(SD=.09)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의 점수 증가가 집단 간에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전체적인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에 대한 주효과는 F=67.83, p=.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을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전체를 구성하는, 8개 하위 가치에 대한 검증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검사의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개인 재무관리 영역별 8가지 가치 성향과 관련하여 돈 벌기 영역에서의 성실의 가치에 대한 주효과는 F=5.10, p=.03으로, 감사의 가치에 대한 주효과는 F=5.54, p=.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돈 빌리기 영역에서의 책임의 가치에 대한 주효과는 F=7.52, p=.01로,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에서의 계획성의 가치에 대한 주효과는 F=39.22, p=.00으로, 돈 쓰기 영역에서의 정직의 가치 대한 주효과는 F=10.09, p=.00으로, 절제의 가치의 가치에 대한 주효과는 F=24.04, p=.00으로, 돈 내기 영역에서의 준법의 가치에 대한 주효과는 F=72.63, p=.00으로, 돈 쓰기 영역에서의 나눔의 가치에 대한 주효과는 F=45.92, p=.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 아동들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8가지 가치 성향이 통제집단 아동들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본 프로그램이 아동에게 필요한 8가지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성향 증진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참조).

2. 인지·정의·심동적 차원의 효과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 효과평가 검사 문항을 통해, 아동이 개인재무관리 영역에서 갖추어야 할 긍정적인 가치성향을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 측정하였다. 아동의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조정된 사후 점수 평균 및 표준오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위 가치 차원에 대한 점수는 최저 1점부터 최고 5점의 범위를 나타내고, 점수가 높을수록 가치 수준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첫째, 인지적 차원에서 살펴본 실험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 평균은 4.89점(SD=.10), 통제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 평균은 3.86점(SD=.10)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의적 차원에서 살펴본 실험 집단 조정된 사후점수 평균은 4.86점(SD=.10), 통제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 평균은 4.01점(SD=.10)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동적 차원에서 살펴본 조정된 실험집단 사후점수 평균은 4.89점(SD=.12), 통제집단의 조정된 사후점수 평균은 3.72점(SD=.12)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가치별 평균점수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아동들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더 많이 향상되었다.
한편,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가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사전검사의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적 차원에서 살펴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가치 수준변화에 대한 주효과는 F=48.22, p=.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의적 차원의 가치 수준 변화에 대한 주효과는 F=32.32, p=.00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심동적 차원의 가치 수준 변화에 대한 주 효과는 F=45.91, p=.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가치 수준을 높여주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Table 7 참조).

3.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부모 평가 결과

질적평가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인지적 차원에서 살펴볼 때, 돈의 개념과 쓰임을 인지하게 됨으로써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중, 돈 벌기 영역에서 성실의 가치 함양을 위해 수립된 학습목표에 성취를, 돈은 노동을 통한 수고한 대가임을 알게 됨으로써 돈 벌기 영역에서 감사의 가치를 길러주기 위한 학습목표에 성취를, 은행 이자에 대한 이해와 계획성 있는 금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함으로써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에서 계획성에 대한 가치를 기르기 위한 학습목표의 성취를, 필요에 따라 소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함으로써 돈 쓰기 영역에서 절제의 가치를 함양하기 위한 학습목표의 성취를 보였고, 이 외에도 세금에 대한 개념 이해를 통해 돈 내기 영역에서 준법에 대한 가치를 형성하기 위한 학습목표의 일부 성취를, 금전 차용시 지켜야 할 유의점을 인지하게 됨으로써 돈 빌리기 영역에서 책임의 가치 형성을 위해 필요한 신용을 지키는 방법을 인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차원에서 실험집단의 아동은 금전 차용시 신용을 지키려는 마음자세가 형성됨으로써 돈 빌리기 영역에서 책임의 가치 함양을 위해 수립된 학습목표의 성취를, 계획성 있는 금전관리 태도와 저축 생활 실천자세의 형성으로 인해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에서 아동의 계획성의 가치를 기르기 위한 학습목표의 성취를, 모방소비 및 충동소비 조절을 통해 구매의 필요성에 따르는 소비태도가 형성되고, 물자 절약을 실천하고자 하는 자세가 형성됨으로써 돈 쓰기 영역에서 절제의 가치를 함양시키기 위한 학습 목표의 성취를, 타인을 위한 소비 및 기부 실천자세가 형성됨으로 써 돈 나누기 영역에서 나눔의 가치를 기르기 위해 수립한 학습목표의 성취를 보였고, 이 외에도 돈 벌기 영역과 관련하여 돈은 노동을 통한 수고의 대가이므로 소중하고 감사하게 여겨야 한다는 마음가짐의 변화가 나타났다.
심동적 차원에서 실험집단의 아동에게 돈을 받을 때에 부모에게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는 모습이 나타나 돈 벌기 영역에서 감사의 가치를 함양하기 위한 학습목표의 성취를 확인할 수 있었고, 구매 욕구 조절을 통한 소비절제와 금전 절약을 실천하는 행동 변화가 나타나 돈 쓰기 영역에서 절제의 가치를 기르기 위한 학습목표의 성취가 나타났으며, 저축 생활 실천함으로써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에서 계획성의 가치를 기르기 위한 학습목표가 성취되었다. 또한, 기부 및 기부를 위한 저축 실천을 하고자 하는 행동이 나타나 돈 나누기 영역에서 나눔의 가치를 함양하기 위한 학습목표가 긍정적인 방법을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 외에도 돈 불리기 및 돈 지키기 영역과 돈 벌기 영역과 관련하여서도 긍정적인 행동이 나타났으며, 경제 분야 및 금융 분야와 관련된 서적 대하여 관심이 증가하였고, 독서 실천 행동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형성에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 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8 참조).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은 본 프로그램을 접하기 이전에 별도로 금융교육이나 경제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었지만, 교육을 받은 이후 8가지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수준에 긍정적인 교육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아동의 어린 시절에 이루어져야 할 가치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금융교육과 관련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을 통해, 아동에게 필요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에 대한 성향이 정서적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지식을 비롯하여 행동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부모대상 질적평가 결과, 아동들에게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와 관련하여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도 다양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양적평가 결과에서 실험집단 아동에게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에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가 증진된 결과를 뒷받침하고 확증해 주며, 이를 통해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이 인지, 정의, 심동적 차원의 통합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함양시켜 주는 데에 유용한 역할을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자녀들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가 긍정적으로 증진될 수 있었던 요인으로서, 부모들은 각 차시 주제별로 제시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내용과 재미있는 이야기 소재, 흥미로운 활동 등을 꼽았다. 이와 같은 요소들은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발달 수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재무 관리 영역별 가치 증진을 목표로 하는 금융교육에 있어서도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적용할 때, 교육의 효과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을 교육받은 이후, 자녀들에게 나타난 긍정적인 측면의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변화로 인해, 참여집단 아동들의 부모들은 만족과 함께 자녀들에게 지속적인 교 육효과가 나타나길 기대했고, 자녀가 계속적인 금융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길 희망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선행 연구에 언급된 아동기의 발달적 특성과 함께 아동이 경험하게 되는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볼 때, 자신의 습관 개선뿐만이 아니라, 자아중심성을 벗어나 타인에 대한 관점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아동에게 필요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형성시켜 주는 금융교육은 어린 시절부터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융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장려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계속되는 성장과정에서 지속적인 금융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이 돈을 버는 것과 관련하여 성실한 근로태도를 형성하고, 돈을 버는 수고에 대해 감사하며, 돈을 빌리는 것과 관련하여 책임 있는 신용태도를 갖고, 돈을 불리고 지키는 것과 관련하여 계획성 있는 저축태도를 기르며, 돈을 쓰는 것과 관련하여 정직하고 절제하는 소비태도를 갖고, 돈을 내는 것과 관련하여 준법의 가치를 준수하는 시민의식을 형성하며, 돈을 나누는 것과 관련하여 타인과 나눔의 가치를 공유하는 공동체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교육적 장점을 가지는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가정과 학교 내외의 다양한 금융교육 현장에 보급하여 활성화 시키면, 아동기부터 돈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및 바람직한 금융행동을 형성시켜 주는 금융교육 문화가 조성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프로그램은 어린 시절에 아동이 함양해야 할 가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인성 교육적인 차원에서도 도움을 주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향후 활용 방안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를 통한 가정교육 내용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실과 수업 및 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으로, 각 지역 시·도·구청별 국공립 및 사립 도서관에서 어린이를 위한 교양 프로그램으로, 지역 아동복지센터의 방과 후 및 방학 프로그램으로, 전국 각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상시운영 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 평생학습센터의 아동대상 프로그램으로, 지역 주민 자치센터의 아동대상 문화강좌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아동이 성장과정에서 자신과 가정, 사회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개인재무관리 관련 가치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 학교 밖 지역 사회의 다양한 국공립 및 사립 기관 및 정부차원의 다양한 지역 센터들이 서로 협조하여 금융교육 연계 체계를 더 확장함으로써, 아동이 금융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도록 조력해야 한다.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교육자와 학습자들과 함께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면서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 판단 및 선택에 대한 사고력을 증진시켜 주는 금융교육을 받은 아동들은 이를 통해 공감과 참여, 시민의식을 기반으로 균형 있고 긍정적인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가치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가치기반 아동금융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본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담은 지도안, 또는 지침교재의 광범위한 보급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학교나 학교 밖의 지역사회 교육 현장을 통해 부모와 교육자를 연결하는 인터넷 교류 사이트나 카페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금융교육과 관련된 정보에 손쉽게 접근하고,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교육현장을 통해 금융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였으나, 앞으로 이루어질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어린 연령층인 유아와 함께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가치기반 금융교육 내용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아동기의 각 연령층을 고려하여 교육내용 간에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차원의 금융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다섯째,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금융교육에 초점을 둔다고 할지라도, 금융교육에서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지식개념의 이해와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내용도 정확한 정보 전달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자의 실제 생활에서 일어나는 개인재무관리 영역별 다양한 상황을 소재한 교육내용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다양한 삶의 현장과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는 필요성을 고려하여, 심도 있고 광범위한 차원에서 금융교육 내용 소재를 발굴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 authorship or publication of this article.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2021 research grant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Table 1.
Development Process of the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nalysis · Derivation of values for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to be reflected in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 Value deduction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 Content validity evaluation of values for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for parents
· Final value selection for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to be reflected in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Design and development · Program content system and goal setting
- Value basis for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for children
· Application of education method
- Selection of educational methods through consideration of prior research
·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program final draft
-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of value-based child finance education program
-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 content for the expert group and revision of the draft
Implementation · Program implementation: field training
Evaluation · Evalu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 Pre/post self-evaluation for children
- Evalu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for parents
Table 2.
Contents and elements of fairy tales selected for storytelling of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Area Value Item Fairy Tale title Classification Elements Used
Money Earning Faithfulness A servant who became rich Traditional stories Consequences of a faithful working attitude
Gratitude A dog with silver in its mouth. (Greedy dog) Aesop's Fables Dissatisfaction with money
Borrowing Money Responsibility Three thousand nyang exchanged for gold Traditional stories Wrong money transaction
Money-saving & keeping Planning Joseph who saved many people Bible story Planning for the future
Money spending Honesty Pinocchio Famous fairy tale Lies about money
Moderation Goose that lays golden eggs Aesop's Fables Consequences of no moderation
Money paying Law-abiding The bakery owner has changed. (Jung, 2009), Korean Montessori. Creative fairy tale Why you should pay utility fees and taxes
Money sharing Sharing Magic millstone (Salt millstone) Traditional stories Helping people in difficult circumstances
Table 3.
Objectives for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of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Area Value Item Goals of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Program
Money earning Faithfulness · Understand that you have to work to make money.
· Value sincerity when working.
· Try to cultivate a diligent lifestyle.
Gratitude · Understand that someone has worked hard to make money.
· Be satisfied with what you have.
· Express gratitude when receiving money.
Borrowing money Responsibility · Know the importance of making promises to borrow and repay others.
· Value people's things as well as your own.
· Think carefully when borrowing.
Money-saving & keeping Planning · Understand the need for money to be spent later.
· Modifying thoughts anchored in current money use.
· Practice saving.
Money spending Honesty · Be wary of lies about money matters.
· Have an honest attitude.
· Practice spending money honestly.
Moderation · Break away from the perception that you need to consume immediately.
· Control consumption needs.
· Practice limiting consumption in your daily life.
Money paying Law-abiding · Know what utility charges and taxes are.
· Value the use of utility bills and taxes.
· Learn specific ways to pay utility bills and taxes according to set rules.
Money sharing Sharing · Break away from thinking that only you are important.
· Unselfishly give for the happiness of others.
· Spend some of your money or do volunteer work where help is needed.
Table 4.
Contents and Activities of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Program
Step Learning Process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rea Subject Value Activities
Introduction Learning Motivation Money earning Faithfulness · Checking my lifestyle
Gratitude ·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pocket money
Borrowing money Responsibility · Thinking through experience
Money-saving & keeping Planning · Listen to your friends
Money spending Honesty · Talk about honest experiences
Moderation · Talk about the experience of limiting consumption
Money paying Law-abiding · Take an interest in the photos (Photos of various fare/tax bills, receipts and transportation cards, etc.)
Money sharing Sharing · Talk about sharing experiences
Development Empathy for the situation Whole area Common Contents · Tell a fairy tale
Problem recognition - Tell the story while showing the fairy tale screen
Seek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 Recognizing value issues in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 Searching for solutions to value problems in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 Recognizing the value of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Value judgment and choosing the best option · Value judgment and best choice for resolving value problems in each area of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ctivity Money earning Faithfulness · Make a change in my appearance action table
Gratitude · Create thank-you coupons and introduction coupons (Write the target/purpose)
Borrowing money Responsibility · Make an appointment with your teacher
Money-saving & keeping Planning · Create a My Action Table for Your Money Spending Plan
Money spending Honesty · Put the fruit of your promise on the tree of honesty
Moderation · Bingo game to erase consumption needs
Money Paying Law-abiding · Transportation and tax payment role play
Money sharing Sharing · Decorating the donation piggy bank, introducing the piggy bank
Arrangement Internalizing values Whole area Common Contents · Have a mindset to put into practice the values you choose
Commitment to practice · Sharing your commitment to practice
Table 5.
Test Questions for Evaluat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Value-Based Children's Financial Education Program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rea Value item No. Question Cronbach's α
Money earning Faithfulness 1 I know that you can use any method as long as you want to make a lot of money. 0.713
2 I think you have to be diligent to make money.
3 To make money, I work hard at what I can.
Gratitude 4 I know that the pocket money I get is money earned by someone else's work.
5 I value small money, not big money.
6 I am polite by saying thank you if my parents or adults give me money.
Borrowing money Responsibility 7 I know that money borrowed from credit or friends must be paid back within a set period. 0.794
8 I think other people's money is just as valuable as mine.
9 I don't borrow other people's money easily.
Money-saving & keeping Planning 10 I know that when you have money, you have to make a plan and use it. 0.732
11 I'm thinking of saving up some money for later.
12 I save money for later use.
Money spending Honesty 13 I know you shouldn't touch other people's money. 0.726
14 Even if we get scolded, I think we should be honest about money.
15 When I need money, I honestly tell adults to only give me what I need.
Moderation 16 I know you have to think hard about whether you really need an item before you buy it.
17 I can control my urge to buy things right now.
18 Whenever there is something I want to buy, I don't beg for it.
Money paying Law-abiding 19 I know the meaning of the fare(bus or subway fare) and tax. 0.756
20 I think about the exact fare before I take a bus.
21 When I get on a bus or train, I always pay the transportation fee.
Money sharing Sharing 22 I know what a donation or charity means. 0.734
23 I want to help people who are sick or in need.
24 For the happiness of others, I spend some of my money or do volunteer work.
Category Number of Questions No. Cronbach's α
Cognitive dimension 8 questions each 1, 4, 7, 10, 13, 16, 19, 22 0.833
Affective dimension 2, 5, 8, 11, 14, 17, 20, 23 0.695
Psycho-dynamic dimension 3, 6, 9, 12, 15, 18, 21, 24 0.788
Table 6.
Results of covariate analysis between groups by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value
Dispersion Source Sum of Squares (SS) Degrees of Freedom (df) Mean Square (MS) F p
Faithfulness Covariance 0.78 1 0.78 3.41 0.08
group 1.16 1 1.16 5.10 0.03*
error 6.14 27 0.23
sum 7.64 29
Gratitude Covariance 2.45 1 2.45 6.30 0.02
group 2.16 1 2.16 5.54 0.03*
error 10.50 27 0.39
sum 14.91 29
Responsibility Covariance 1.65 1 1.65 3.43 0.07
group 3.61 1 3.61 7.52 0.01*
error 12.96 27 0.48
sum 16.92 29
Planning Covariance 3.38 1 3.38 20.30 0.00
group 6.52 1 6.52 39.22 0.00**
error 4.49 27 0.17
sum 15.37 29
Honesty Covariance 0.23 1 0.23 1.24 0.27
group 1.90 1 1.90 10.09 0.00**
error 5.07 27 0.19
sum 7.10 29
Moderation Covariance 0.30 1 0.30 0.82 0.37
group 8.65 1 8.65 24.04 0.00**
error 9.72 27 0.36
sum 19.27 29
Law-abiding Covariance 7.42 1 7.42 15.09 0.00
group 35.68 1 35.68 72.63 0.00**
error 13.27 27 0.49
sum 60.74 29
Sharing Covariance 2.54 1 2.54 9.67 0.00
group 12.06 1 12.06 45.92 0.00**
error 7.09 27 0.26
sum 22.09 29

* p<.05,

** p<.01

Table 7.
Results of covariate analysis between groups on change in value level by dimension
Dimension Dispersion Source Sum of Squares (SS) Degrees of Freedom (df) Mean Square (MS) F p
Cognitive dimension Covariance 1.03 1 1.03 6.38 0.02
group 7.75 1 7.75 48.22 0.00**
error 4.34 27 0.16
sum 12.38 29
Affective dimension Covariance 0.77 1 0.77 4.87 0.04
group 5.12 1 5.12 32.32 0.00**
error 4.28 27 0.16
sum 9.55 29
Psycho-dynamic dimension Covariance 1.16 1 1.16 5.38 0.03
group 9.94 1 9.94 45.91 0.00**
error 5.85 27 0.22
sum 16.09 19

* p<.05,

** p<.01

Table 8.
Parent evaluation results by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rea
Category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area Effect evaluation details
Cognitive dimension Money earning · Building an understanding of money
Borrowing money · Awareness of caution when dealing with money
Money-saving & keeping · Forming an understanding of money
· Changing perspectives on money Management
Money spending · Changing perspectives on money use
Money paying · Building an understanding of money
Affective dimension Money earning · Realizing the importance of money
· Awareness of difficulties in work
· Gratitude for money
Borrowing money · Focus on credit when dealing with money
Money-saving & keeping · Formation of a planned money management attitude
· Formation of will to practice saving
Money spending · Negative consumption attitude alert
· Formation of material saving practices
· Formation of consumption attitude due to the necessity of purchase
Sharing · Formation of the will to consume and donate for others (Example: Donation, use for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grandmother, grandfather's birthday, etc.))
Psycho-dynamic dimension Money earning · Expression of gratitude
· Actions to raise pocket money
Money-saving & keeping · Practice of writing pocket money entry form
· Practice of saving money.
· Practice money use plan
· Money management behavior
Money spending · Consumption moderation
· Saving money
Sharing · Practice for donations
Etc. · Growing interest in economic and financial books

References

Baek, M. K. (2010). A method of teaching Korean language reading using creative fairy tale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Cheon, K. S., & Kim, S. (2016).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financial comprehension index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nancial Education Research, 1, 83-115.

Cho, Y. S., & Park, S. C. (2010). Current trends of financial edu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2), 1185-1203.

Choi, E. J., & Choe, H. C. (2005). Contents analysis of personal finance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cusing on the area of educa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6(3), 109-132.

Choe, H. J. (2010). Review of research in personal finance: Based on journal papers between 2000-2009.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1(2), 41-64.

Chung, J. S. (1998). Discussion on program development models and their implications to program evalu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2), 80-97.

Estess, P., & Barocas, I. (2001). Children, money and value (H. S. Lee, S. H. Sohn, & H. Ja. Choi, Trans.). Seoul: Sigma. (Original work published 1994).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 Research report on standard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inancial education. Seoul: Financial Education Planning Team,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Godfrey, N. S. (2000). Teach how to spend money before making money (H. S. Yoo, Trans.). Seoul: Haseo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Hahn, J. A. (2018). Analysis of 2015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an alternative. Journal of Financial Regulation and Supervision, 5(1), 39-65.

Hyeon, J. (2014). KEDI Personality Test Implementation Guide. Jinche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Hwang, S. K. (2016). Instrument developing study for the result evaluation after practing personality program.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50, 85-111. https://doi.org/10.18338/kojmee.2016..50.85
crossref
Jung, E. M. (2009). The bakery owner has changed. Seoul: Montessori Korea.

Jeong, O. B. (2019).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Kang, J. H.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mulation games to foster financial literacy for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Kang, J. Y., & Cheon, H. J. (2010). The effects of children's value of money and financial knowledge on their allowance consumption behavior.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6(4), 51-71.

Kang, M. S. (2014).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narrative storytell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5(1), 1-26. https://doi.org/10.15753/aje.2014.15.1.001
crossref
Kim, H. Y. (2007). A study of human nature cultivation methods using storytel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Korea.

Kim, H. K. (2014). The constructing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value inquiry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Kim, J. H. (2017). A study on util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folk tales for consumer economic education related to consumer and personal financial manager.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3(3), 171-186. https://doi.org/10.15790/cope.2017.13.3.171
crossref
Kim, J. S. (2014). The effects of empathy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through storytelling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Kim, K. (2008). Classical literature: The concept of storytelling. Korean Literature, 41, 249-276.

Kim, S. S. (2009). A study on the economic education contents of biblical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Faith & Scholarship, 14(1), 9-54. https://doi.org/10.30806/fs.14.1.200904.9
crossref
Kim, S. W., & Roh, Y. R. (2013). Personal finance related classes in universities: Current situations and needs among consumer related departments. Financial Planning Review, 6(2), 1-34.

Kim, Y. J. (2015). The study on the basic materials for children’s economic education: Content analysis of the economic concepts on Korean fairy tale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9(2), 79-101.

Kirchenbaum, H. (2006). 100 ways to educate morals and values (B. W. Choo, H. G. Kim, & C. W. Jung, Trans.). Seoul: Book Publishing Ulryok. (Original work published 1995)..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3). A plan to vitaliz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inancial education. Seoul: Korea Curriculum and Evaluation Institute.

Lee, E. S. (2007). The actual condition and a promotion strategy of financial consum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Lee, J. H. (201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conomic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value inquiry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Lee, J. S., Jeong, J. H., & Baek, K. M. (2008).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using story books for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and narrative competenc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1(2), 333-356.

Lee, J. R. (2008). A study for developing ethics-based financi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dong Global University, Pohang, Korea.

Lee, K. C., & Kim, J. U. (2012). Theory and practice of consumer education. Gyomunsa. Paju.

Lee, K. W. (2013). A study on the economy class in elementary schools with the utilization of children’s story.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0(4), 81-96.

Lim, J. S. (2008). Effect that reconstitution activity of traditional fairy tale has on the emotion intellect of children and the action to be intimate to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Practical (technical, home) curriculum (Notice No. 2011-361, Supplementary Volume 10).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Social Studies Curriculum (Notice No. 2012-14, Supplementary Volume 7).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Education. (2015a). Social studies curriculum (Notice No. 2015-74, Supplementary Volume 7).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5b). Practical (Technical/Home)/Information Department Curriculum (Notice No. 2015-74, Supplementary Volume 10).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Moon, G. O.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onsumer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Namgung, D. H. (1997). Value education theory. Seoul: Muneumsa. Park, C. (2007). Financial education that changes the future of children. Seoul: Random House Korea Co., Ltd.

Park, S. E. (2002).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hildren's stories for economic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 kwang University, Iksan, Korea.

Pyun, S. A.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al level and rational consumption habits on financial comprehension: Comparison between Gwangju and Jeonn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University, Mokpo, Korea.

Park, S. H. (2015). A study on financial education as lifelong learn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of U.S., U.K. and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Korea.

Seels, B., & Richey, R. C. (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Bloomington, IN.

Seo, J. H. (1999). Consumer socialization process of future customers and children. Marketing, 5(64), 27-31.

Seong, Y. A., Sohn, S. H., Yang, S. J., Yoon, J. H., Lee, H. S., & Choi, H. J. (2001). Money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9(1), 111-129.

Sohn, S. H., Park, J. O., Seo, W. Y., & Yoon, J. Y. (2017). The effect of childhood memories about money on adult dysfunctional money belief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8(4), 1-24. https://doi.org/10.35736/jcs.28.4.1
crossref
Song, G. Y., Jang, Y. K., Lee, J. Y., & Jeong, Y. K. (2008).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Sigma Press.

Yoon, J. H., Kim, K. J., Sung, Y. A., Yang, S. J., Sohn, S. H., Lee, H. S., et al. (2001). Research directions of planning, counseling, and education of personal finance for practical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2(3), 89-108.

Yoon, O. H. (2017). A study of th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for STEAM education: Focus on design thinking.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1), 443-474.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