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5(1); 2017 > Article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Abstract

This study develops an the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e practical problem is ‘what should the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ith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be?’ was addressed through a practical reasoning research method with the stages of valued ends, context, alternatives, consequence, and a final plan. The sequential flow of understanding values and contexts established the setting of three valued ends by organizing issues and categorized areas of individuals, families, society, and cultural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was specifically stated, in the self-formation, independent, inter-subje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enculturation according to subcategories; in addition, the stated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was modifi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Alternatives and consequences were reexamined for the validity of the statement and restated as a comprehensive statement of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that included a restatement of the five areas. An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was made from alternative ideal portraits of the proposed human being and stated as ‘a person who can continually act autonomously in one’s life-world.’

서론

1. 연구배경과 목적

Brown과 Paolucci [8]는 가정생활의 항구적인 문제를 다루는 가정과교육은 개인과 가족의 힘을 길러 개인은 자아형성에 이르게 하고 사회는 사회적 목적과 그 목적을 이루는 방법을 찾아나갈 수 있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공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유로운 인간과 자유로운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정과교육을 바라본다면 오늘날의 사회변화 속에서 ‘오늘의 행동과 태도는 현재와 미래의 행복을 결정한다’는 Queensland Studies Authority [24]의 믿음처럼 사회 변화의 나아갈 방향을 바라는 미래로 실현할 수 있는 능동성을 가진 인간을 위한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 [15]에서도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개인과 가족의 실천적 관심에 초점을 둔 가정과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민주적인 능력은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의 모든 사회계층과 사회 분야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고 행복을 증가시키는 비판적, 변화적, 참여적 행동을 가져온다고 보았다. 가정과육의 사명과 정의에 비추어 보면 궁극적으로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사람은 바라는 사회로의 변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사람이다.
이러한 관점을 반영하여 1990년대부터 가정과 교육과정을 개발해온 미국의 오리건(Oregon)주[23], 오하이오(Ohio)주[22], 위스콘신(Wisconsin)주[25], 메릴랜드(Maryland)주[20] 등 여러 주에서는 가정과교육이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가정과 직장에서 자신과 타인의 안녕을 위하여 행동할 수 있는 과정을 다루는 교과로 변화를 시도하였다. 특히 오리건주 교육과정[23]에서는 가정과교육이 인간행복 증진뿐만 아니라 더 큰 사회적 행복을 가져온다고 믿으며 개인이 자아정체성을 발달시키고 사회화, 문화화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가족, 사회, 문화 속에서 ‘교육받은 자의 특성(educated person)’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교육받은 자의 특성’으로 가정과교육에서 항구적인 관심의 문제를 다루는 내용들은 수동적이고 효율성을 강조하며 가치중립적인 측면을 강조했던 기존의 전통적인 가정과교육에서는 다룰 수 없던 것이다. Brown [2]이 교육과정을 보는 관점과 같이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비판적, 창의적, 도덕적으로 판단하고 이성적 행동이 뒤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비판과학 관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미국 가정과 국가기준[21]도 비판과학 관점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며 개인과 가족이 생애 전 과정에 걸쳐 다양한 세계화된 사회에서 일상생활과 일의 도전을 잘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정과교육의 비전으로 삼고 있다. 무엇이 개인, 가족, 사회에 가장 바람직하며, 동시에 도덕적으로 정당한 행동인가를 찾는 과정에서 1993년 Scottsdale meeting에서 주창한 자율적인 힘(empowerment), 깨어남(enlightenment), 해방(emancipation)이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비판교과의 특성인 개인과 가족의 힘과 능력을 키우는 것, 개인과 가족이 계몽되는 것, 개인과 가족을 억압하는 실체나 내적 요인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의미한 것이다. 사회적,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과정지향 교육과정의 성격을 가지면서 한 축으로는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의 세 행동체계와 다른 한 축으로는 사고과정, 의사소통과정, 리더십과정, 관리과정의 매트릭스(matrix)로 개발된 과정질문을 통하여 어떤 이상적인 상태가 되어야 문제가 해결되는 것인가, 이상적인 상태를 이루기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에 대하여 사고하고 추론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가정과 교육과정의 지향성과 실천의 원리를 함축하고 있다.
가정과교육의 본질이 전문분야로서 실천학문의 성격으로 가정의 안녕을 이루고 가정생활에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음에 비추어 지금까지 가정과교육에서 Brown [3, 5, 7]이 추구하는 자유로운 사회, 이상적인 사회에 이르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며 비판이론에서 언급하고 있는 사회·문화 속에서 사회화되고 자아를 형성해 나가는 개인이 어떠한 인간상으로 나타나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Yoo와 Lee [27]도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지속적으로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제시되어 왔지만 가정과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은 명시되어 있지 않기에 각론에 제시된 성격이나 목표를 통해 유추할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가정과교육을 받은 학습자는 어떤 특성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사회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교육의 실천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제안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가정과교육의 미래 비전을 구축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고 본질적인 숙고를 통하여 가정과교육의 철학적 기초를 다지는 의의를 찾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가 가정과교육 연구자의 인간상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끌어내는 실마리가 될 것을 기대한다.

2. 연구문제와 내용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 추론 과정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상정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온 인간상과 관련한 연구들을 통해 교육받은 인간에 대한 이상적인 상태는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쟁점들을 도출한다. 이에 따라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인간상에 대한 가치를 둔 목표(valued ends)를 설정한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동향의 특징을 분석하고 세계 교육과정의 추세를 파악하여 문제의 맥락을 검토함으로써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제안을 위한 틀의 구성과 주요 내용요소를 도출한다. 문제의 맥락에서 도출된 기본 틀에 설정된 가치를 둔 목표를 고려한 내용요소를 기반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안한다.
셋째, 제안된 인간상이 가정과 교육과정으로 구현되고 현장에 적용될 때 예상되는 파급효과를 추론하고 각 단계에서 상호작용하여 진행되어온 구상과정을 바탕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수정·보완하고 포괄하는 인간상을 최종적으로 진술한다.

이론적 배경

1. 비판과학 관점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은 1930년대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에 의해 정립되고 체계화되었으며 비판이론가들은 인간의 이성과 합리화에 관심을 두어 왔다. 이들은 인간의 이성은 다양한 형태의 지배와 권력관계 내에서 중립적이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중립적이지 않고 지배와 권력 관계 내에서 형성된 인간의 이성을 이들은 도구적 이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7].
비판이론가인 Habermas는 사회와 지식의 상태에 대한 적절한 이해는 비판적 이성을 통해서 나올 수 있으며 도구적 이성이 지배하는 가운데 형성된 지식은 윤리적·정치적 문제를 위한 합리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없다고 보았다[28]. Habermas [11]는 과학과 지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봉이 인간생활에 무분별하게 적용됨으로써 일어나는 병폐들로 인하여 인류는 심각한 사회적인 기능 장애에 이를 수 있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기능장애는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의미 상실, 인류 공동체 의식의 불확실화, 전통의 붕괴, 전통성의 철회, 사회적 무질서, 동기 위축, 교육 및 사상의 위기, 인간소외 등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이 가지는 기본적 관심이 어떤 것인가에 따라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일정한 관점을 형성시키고 이에 따라 대상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접근방법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Habermas [9]는 인간소외 현상과 병리현상을 극복하고 자유와 해방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인식과 관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결합을 제시한다. 또한 인간이 어떻게 지식을 개발하고 알아나가는가에 대하여 인간의 근본적인 인식인 인지적 관심에 따라 세 가지 관심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관심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자연 현상을 예측하고 지배하는 기술적 관심, 인간 공동체의 유지를 위하여 서로의 대화를 유지하고 의견 일치를 이루는 의사소통적 관심, 이성적 행동과 자아성찰을 통하여 인간의 자주성과 이상적 사회조건을 궁극적 목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해방적 관심이다[27].
세 가지 관심을 지식과 관련지어 살펴보면 첫째, 기술적 관심은 과학적 탐구과정을 통하여 원인과 파급결과를 예측하고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이론을 제공해주는데 이러한 지식과 이론은 과학적 탐구과정이 생략되고 탐구결과에 의존하여 매일의 생활에서 수단과 방법을 강구하는 how-to의 처방적 성격의 규칙과 같은 형태로 전환되어 행동의 기초로 제공된다[27]. 이것은 확실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기술적인 생산과 객관화된 과업의 전문적인 지배를 위해 환경을 통제하고, 조정하려는 것이다. Young [28]은 기술적 관심은 그 자체의 이데올로기적 경향이나 가치를 표방하고 있지는 않지만, 인식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실증주의 가정 속에 그 가치가 함의되어 있다고 한다. 즉, 이 입장의 가치는 경험-분석적 규칙에 의해 생성된 지식의 확실성에 두고 있다. 경험 분석과학의 접근방법은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는 실험을 통해서 일반화된 이론을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설명과 예측을 시도한다고 보았다.
둘째, 의사소통적 관심은 기술적 관심과 달리 환경을 조작하고 지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매개로 하고 있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 환경 속에서 경쟁하는 존재가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자유롭고 평등하게 합의를 이루는 과정이 중요시된다. 의미의 이해는 기존 사실들을 인식주체로서의 자기 자신과 상황에 적용해서 받아들이는 것인데 여기에 해석을 적용과 결합시킨다. 상황의 의미를 기초로 특정 상황 속에서 행위를 유발시키는 것에 관심을 가지므로 ‘해석적’ 관심이다. 이 관심의 결과물은 상호작용으로 ‘의미의 이해’는 상호작용의 주체인 환경과 인간이 더불어 이루는 행위로서 ‘합의’를 창출시킨다. 그러므로 이 관심을 교육과정에 적용시킬 때 ‘의미의 이해’와 ‘상호작용’이 핵심개념이 된다. 즉, 의사소통적 관심은 언어를 통하여 서로 간의 의미 이해를 일치시키는 기초 위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환경을 이해하려는 것이다[10]. 이러한 관심에 기초한 역사적-해석학적 과학은 비판과 결부되기도 하지만 같은 것이 아니며 비판은 항상 해석을 추월한다. 그러나 역사적-해석학적 과학은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행동공학의 이용이 인간됨의 전통적 의미, 즉 인간은 타인들에 의해 일차적으로 주체이고, 이차적으로만 대상이 된다는 의미를 변화하는 방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28].
셋째, 해방적 관심은 다른 종류의 지식을 이끌어내지만 기술적 관심과 의사소통적 관심의 본질을 포함한다. 이것은 인간 개인의 해방, 즉 개별적인 자아가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성장해 나가고 스스로 독립하는 것을 지향한다. 그런 의미에서 해방은 개인의 ‘자율성’으로 정의되지만 이는 단순히 개인적 차원의 개념이 아니다. 인간은 상호작용이라는 사회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한 개인의 자유는 다른 사람의 자유와 필연적으로 관계되므로 해방은 집단 지향성의 개념이다. 기술적 관심은 ‘통제’를 통하여, 의사소통적 관심은 ‘상호이해’를 통하여 구체화되는데 비하여 해방적 관심은 ‘자율적인 힘’을 통하여 구체화된다. 각 개인과 집단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책임 있고 윤리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권한을 자신에게 부여하는 것이다. Habermas [9]는 인간을 자기반성으로부터 제기되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하여 모든 억압되고 왜곡된 이해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비판적 반성은 현재의 사회적 관계의 체제가 기술적 능력에 알맞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서 정당화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즉 비판적 반성은 사회적 실재에서 이데올르기를 직면하는 것이다[26]. 이것은 해방적 행동을 통하여 사회적 삶의 근원에 대한 비판적 깨달음, 자아반성, 이성적인 행동과 자기결정을 위해 자유로워지는 것을 이루려고 하는 것이다[27]. 이상에서와 같이 인간의 근본적인 인지적 관심에 따라 경험-분석적 과학, 역사-해석과학, 비판과학이 유도되며 각각에 상응하는 행동의 규칙에 의해 기술적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 해방적 행동이 이끌어진다.

2. 가정과교육에서의 비판과학 관점

비판과학 관점에서 인간을 보는 관점은 자주적, 비판적, 창조적으로 사고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도덕적 책임을 지며, 능동적으로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존재이다. 가정과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Brown [3]은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간과 가족, 사회에 대하여 전제하고 있다.
첫째, 개인은 태어나면서 타인과 자신이 사는 사회와 관련을 맺는다. Brown [3]의 인간에 대한 전제를 보면 인간을 적극적인 정신활동과 행동의 주체로 본다. 인간을 논리와 증거를 통해 관념, 믿음, 기대, 관습, 계획들을 제고할 수 있고 제고된 결과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존재로 전제하고 지금까지 따라왔던 규칙과 습관을 비판적으로 세밀히 검사하여 전통에 대하여 사려 깊게 생각하고 따를 수 있거나 새롭게 나아갈 길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존재로 보는 것이다. 그는 우리가 사회적 자질을 변화시키는 것은 지적 발전과 분리될 수 없으며 개인은 현재 살고 있는 사회의 가치나 규범, 문화의 영향을 받는 행동의 의도와 목표에 의지하게 되는데, 자아를 이해하고 발견하려는 노력을 통하여 개인적으로 자아형성을 하게 되고 사회적으로 성장하게 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가정과교육을 받은 학습자는 스스로의 자아형성 과정을 이해하게 되고, 자신을 둘러싼 사회와의 상호관계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진정한 의미에서 자유로운 인간과 그들이 사는 자유로운 세계를 추구하게 되므로 가정과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자주성 함양을 전제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가족에 대한 전제에서 Brown [3]은 가족은 개인의 육체적, 정신적 안녕을 이루는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개념이 달라질 수 있지만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가족환경의 성격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가족은 개인이 자아형성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변함없는 기반이 되며, 인간의 자연환경을 지배하기 위한 행동,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가치나 믿음을 나누어 의견 일치를 보고자 하는 행동, 자주적인 인간이 되고자 하는 행동들을 정당하고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터전을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가족으로 보았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 개개인은 가정 안에서 진정한 의미의 자유로운 인간으로 키워져야 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이룩하는 기본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가정과교육의 목표는 가정 내에서 가정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조건에 대하여 지각하고 그에 대한 비판적인 힘과 해결책이 배양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는 개인의 행동에 의해서 형성되고 조절되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과 사회는 상호의존적이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정치, 경제, 교육, 행정 등의 사회적 기관들과 연관을 맺으며 살아가게 되고 가정교육에서 다루는 개인과 가정 생활의 문제는 순수하게 개인이나 개별가정이 발생시킨 것이 아니고 사회적 조건이나 체제로부터 발생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가정생활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정치적인 측면이 배제될 수 없다[6]. 대부분의 사회가 정치, 경제, 문화 체제의 위압을 통해서 현재의 체제와 이념을 지지하고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강력한 정치, 경제, 혹은 문화 체제의 위압에서 기인되는 경우가 많다. 사회의 이런 세력이 비대해지면 대중이 체제에 대한 비판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어 결과적으로 대중의 안녕과 복지의 상실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은 가정과교육의 목표와 상반된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사회체제나 이념에 대한 개인의 비판력이며 이에 따라 가정과교육의 목표는 비판과학 관점을 토대로 사회와 개인 간의 상호의존성을 자각하고 개인의 자주성과 안녕, 복지 증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3].
Brown [4]에 따르면 이와 같이 비판과학 관점에서 개인, 가족, 사회를 보는 관점은 이미 Lake Placid Conferences (1898-1909)의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던 관점으로 Lake Placed Conference에서는 Richards, Dewey, Norton을 중심으로 한 그룹과 Chown, Talbot, Andrew를 중심으로 한 두 그룹의 의견이 인간, 가정, 사회, 가정과교육에 대한 생각에 있어 서로 대립되었다. Richards를 중심으로 한 그룹은 ‘기술적 관점’을 지지하고 Chown을 중심으로 한 그룹은 ‘비판적 관점’을 지지하였는데 당시 과학적 합리주의를 주장하는 실용주의, 실증주의의 영향으로 Richards의 기술적 관점이 우세하였다.
인간, 가정, 사회, 가정과교육에 관하여 두 그룹의 상반된 의견을 살펴보면 Richards, Dewey, Norton의 관점은 개인을 사회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즉, 조작될 수 있는 대상으로 보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로 보았다. 가정에서의 효율을 강조하며 사회의 진화는 개선과 진보의 과정이고 개인과 가족은 기존의 사회 발전에 순응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들의 관점으로 보는 인간은 사회변화에 수동적인 존재이다. 이들은 가정과교육의 목적을 효율성 및 경제성을 추구하기 위한 가사의 과학적인 관리에 있다고 하였다[4].
반면, Chown, Talbot, Andrew의 관점은 인간의 생활을 상호 이해와 합의가 가능한 생활로 보고 가정은 가족구성원들의 도덕적, 지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과 관련된 상호의존성과 이성적 자각의 중심역할을 하는 곳으로 보았다. 사회는 개인의 능력과 협조적 참여로 정치적, 도덕적으로 변화되는 하나의 인간조직체로 여기고 개인의 의식을 기름으로써 개인능력이 발달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황도 민주적인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였다. 이들의 관점으로 보는 인간은 능동적인 존재, 복잡한 지적 활동과 도덕적 활동이 가능한 존재이다. 이들은 가정과교육의 목적을 가정생활을 통한 개인의 능력 개발에 두며, 나아가 사회의 지배와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에 두고 있다[4].
인간에 대한 상반된 두 관점을 살펴보면 Richards, Dewey, Norton 등의 관점은 당시의 과학적 사고와 산업화의 영향으로 개인을 수동적이고 효율적인 존재로 보는 것이며, Chown, Talbot, Andrew 등의 관점은 개인을 능동적이고 상호작용하는 즉, 개인 및 사회 환경을 개선하는 의식을 가진 존재로 보는 것이다.
Chown, Talbot, Andrew와 같은 관점으로 Baldwin [1]도 인간은 철학적, 반성적 능력과 비판적 능력을 가지고 있고 스스로 계몽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인간은 무심코 받아들이고 있는 이성적 비판, 규범, 가치, 신념과 실천 등에 지배를 받을 수 있는데 인간의 자주성과 자유의 획득에 제약을 주는 사회적 조건들을 바꾸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가를 이성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19].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ittman과 Brodacki-Thorsbakken [14]의 실천적 추론 모형을 보완하여 Figure 1과 같이 (1) 실천적 문제 설정, (2) 가치를 둔 목표, 맥락, 대안, 파급 효과로 구성되는 실천적 추론 과정, (3) 최종안 도출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실천적 추론 모형은 비판과학의 철학을 바탕으로 가정교과의 관점을 대표하는 모형으로 보편적인 과학적 연구와 달리 단계별로 진행되는 순차적 사고과정이라기보다는 문제와 관련된 요소에 관하여 깊이 있게 사고하여 유동적으로 되풀이 되는 과정적 특징을 가진다. 연구모형에서 보듯이 가치를 둔 목표와 맥락, 대안, 파급효과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호작용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천적 추론을 통해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해야 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숙고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였고 서로 연결되고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연구과정 및 방법

1) 실천적 문제 설정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설정하는 문제는 최선의 인간상을 찾아가는 실천적 문제이며 ‘어떤 지향점’이라는 가치를 다루는 문제이다. ‘다양한 제안 중에 최선의 제안을 숙고하여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 기초하여 어떠한 행동으로 이어져야 하는가와 관련된 문제이다. 또한 모든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보편적인 인간상을 설정하는 것이 아닌 ‘가정교과라는 맥락에 기초한 인간상’을 설정하는 맥락 지향적인 문제이다. Knorr 등[18]은 실천적 추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속적인 관심사에 관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추론적 판단을 하는 것이며, 모든 면의 조건을 고려해야 하며 심사숙고해야 한다고 보았다.
실천적 추론 과정을 통해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된 바탕에는 교육하는 과정에서 가치롭고 의미 있는 경험과 과정으로부터 이루게 되는 사람의 특성 혹은 능력은 무엇인지, 그 특성들은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 가정과교육을 통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어떤 특성을 가져야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심사에서 출발하게 되었으며 이는 곧 인간상에 대한 관심사로 귀결되어 ‘가정과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 좋은 결과는 무엇일까?,’ ‘어떤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까?,’ ‘가정과교육을 받은 사람은 어떤 좋은 상태에 이르게 될까?,’ ‘무엇이 이상적인 인간상일까?,’ ‘어떻게 인간상을 나타낼 수 있을까?’ 등의 추론적인 질문으로 이어졌다. 다시 이러한 질문들은 ‘교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어떠한 인간을 길러내야 하는 것인가’라는 문제로 연결되었다. 이와 같은 사고과정을 바탕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2) 실천적 추론 과정

실천적 문제의 성격에 비추어 추구하는 인간상을 상정해 나가는 데는 바람직한 상황의 문제를 추론하는 가치를 둔 목표, 존재하는 상황적 배경과 조건을 포함하는 맥락, 다양한 관점의 숙고를 바탕으로 한 대안, 파급효과로 이루어지는 실천적 추론 과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관한 실천적 추론 과정은 Figure 1의 연구모형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1) 가치를 둔 목표 설정

실천적 추론 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기 위한 가치를 둔 목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교육적 인간상에 대한 다양한 문헌에 나타난 쟁점을 찾아 분석하였다. 가치를 둔 목표의 설정은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개념화된 목표나 이상상태를 설정하는 단계이므로 방향성을 찾기 위해 연구자와 교과교육 전공교수가 주단위로 교육적 인간상을 다룬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같이 읽고 문헌에 대한 토의를 통해 교육적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학계에서 논의되는 쟁점들을 찾고 그에 대한 연구자의 입장을 세워나가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문헌의 주요 내용과 논의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 논의에서 나타난 사항들을 확인하고 다시 논의를 지속하는 재구성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었다.

(2) 맥락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상과 관련된 배경을 이해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는데, 그 방법으로 국·내외 가정과 교육과정 문헌, 국·내외 국가교육과정 관련 문헌, 가정과교육 철학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가정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들은 우리나라와 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와 가정과교육과정 관련 문헌을, 가정과교육 철학과 관련한 연구들은 Marjorie M. Brown의 문헌과 비판이론 관련한 Jurgen Habermas의 문헌을 고찰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추구하는 인간상과 관련하여 맥락을 살펴보고 비판과학 관점 중심으로 인간상 제안을 위한 틀의 기초를 마련하고 이를 기초로 제안의 하위 범주 및 그에 따른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3) 대안

맥락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안하기 위한 기본 틀에 기초하고 앞서 설정된 가치를 둔 목표(실현가능성, 교과특성, 비판과학 관점)를 반영하여 Figure 2의 방법으로 제안을 개발하였다.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기 위해 2015년 10월 21일부터 10월 27일까지 가정교과교육 박사학위 소지 교사 1인, 석사학위 소지 교사 1인, 교과교육 전공교수 2인, 연구자 총 5명이 2차의 면대면 협의와 이메일을 통하여 개발한 제안의 구성 요소와 진술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사전 협의과정을 진행하였다.
면대면 협의와 이메일을 통하여 교육적 인간상과 교과적 인간상 중 어떤 방향성을 가진 인간상으로 나타낼 것인지, 제안에서 특징적인 내용으로 진술표현이 어떻게 고려되어야할 것인지, 성격에 진술되는 요소를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인지, 예시 범주 수준은 어떻게 할 것인지가 일차적인 검토대상이 되었다. 다음으로 최종적인 중영역 구분과 인간상의 진술을 어느 영역에서 할 것인지 설계안의 큰 틀과 범주에 대한 논의들이 이어졌다. 협의내용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으며 한 가지는 제안의 형식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 및 진술방식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이고, 다른 한 가지는 차후 의뢰할 전문가 협의 요청서의 구체적인 제안 내용 및 제안 방식, 질문형식에 대한 전체적인 검토였다. 소집단 협의에서 나타난 논의들을 바탕으로 제안에서 영역범주와 진술들을 검토하고 교과적 인간상이 더욱 부각되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교과의 철학과 내용이 바탕이 되어야 하므로 교육과정 관점과 교과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범주틀을 바꾸고 가치를 둔 목표를 내용요소에서 찾기로 하였다.
이와 같은 사전 협의의 검토내용에 대해 연구자와 교과교육 전공교수는 면대면 협의로 지속적으로 의견을 나누어 수정·보완 방향을 합의해 나가는 집중검토 과정을 통해 제안을 개발하였다. 재검토에 맞춰 내용의 위치나 요소들을 이동하거나 수정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배합으로 가치를 둔 목표의 내용요소를 부각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어려운 용어들은 가급적 더 풀어서 진술해주어야 한다는 판단으로 진술방법과 구조, 진술 용어사용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소집단 협의에서 이루어진 논의내용과 연구자와 전공교수의 면대면 협의를 통해 재검토 및 수정을 거친 설계안으로 전문가 협의를 의뢰하게 되었다.

(4) 파급효과

대안에서 검토된 제안은 2015년 10월 30일부터 11월 6일까지 교과교육 전공교수 5인, 박사학위를 소지한 가정과 교사 5인 총 10명에게 이메일로 전문가 협의를 의뢰하였으며 평균 경력이 20년인 전문가 집단 중에는 국가 교육과정 개발진 3인, 검토진 1인, 협의진 1인이 포함되어 있었다. 전문가 협의를 통하여 설계안의 진술과 내용요소에 대한 타당성과 포괄성을 검증받고 제안의 파급효과에 대해 협의하였다. 파급효과에서 전문가 협의는 개발된 제안에 대한 기여점과 제한점, 추가요소들에 대한 협의를 포함하였다. 이메일 검토로 수집된 전문가 협의에서 있었던 논의는 가치를 둔 목표에 따른 내용요소에 대한 검토, 영역의 범주에 따른 진술 표현, 제안에서 수렴해야 될 부분 등이었다. 이와 같은 협의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자와 교과교육 전공교수는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제안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협의 내용의 수렴과 반영에 대해 논의하고 가치를 둔 목표에 부합하도록 제안을 수정·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도출하기 위해 파급효과에서 수정·보완된 제안의 인간상에서 진술시제와 요소 등을 검토하여 진술방식을 정하고 진술요소를 도출하였다. 진술된 인간상이 가치를 둔 목표를 포괄하고 있는지, 구체적인 특성과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진술되어 있는지를 재검토하고 제안의 중점과 하위 범주별로 진술된 인간상에서 핵심적인 개념이나 표현에 대해 논의하여 포괄적인 진술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상을 진술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적 추론 모형에 따라 가치를 둔 목표를 설정하고, 맥락을 파악하여 대안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 따라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제안하는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1. 가치를 둔 목표 설정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문제는 가정과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의 문제이고 실천적인 문제로 보았기 때문에 쟁점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가정과교육을 통해 이룰 수 있는 인간상은 어떤 바람직한 상태 혹은 어떤 본질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입장을 세워 가치를 둔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 통하여 가치를 둔 목표는 첫째, 교육의 실천에 있어서 실현가능성이 높아야 하며, 둘째, 교과의 맥락성이 반영되어야 하고 셋째, 가정교과의 특성에 비추어 비판과학 관점이 강조되어야 한다로 설정되었다.

2. 맥락

본 연구에서 제안하게 될 최선의 대안을 구상하기 위하여 미국의 가정과 국가수준과 주요 주수준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육 철학에 나타난 능력과 가치, 강조점 등을 파악하고 이러한 내용을 기초로 제안틀을 개발하기 위한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Habermas [12, 13]의 이론에서 개인은 사회적 존재로서 자아형성을 이루어 나가는 데 이것은 인간발달, 사회화, 문화화와의 상호작용으로 보고 이것이 이루어지는 생활세계의 영역을 개인·사회·문화의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Ju와 Yoo [16]는 자아형성, 상호작용, 생활역량, 사회적 행동으로 개념을 범주화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의 기본적인 사회 구성 요소인 가족을 포함하여 자아형성, 자립, 상호작용, 사회적 참여, 문화화로 범주화하였다. 영역별로 자아형성은 자아인식, 인간발달, 사회화로, 자립은 생애설계, 생활역량으로, 상호작용은 의사소통, 역할수행으로, 사회적 참여는 공동체의식, 옹호로, 문화화는 문화가치관, 문화재생산으로 나눌 수 있었다(Table 1).

3. 대안

대안의 단계에서는 비판과학 관점에서 가정과교육의 목적과 사명에 도달할 수 있는 인간상에 대한 다양한 검토로 제안을 개발하는 단계이다. 특히 대안에서는 가치를 둔 목표와 맥락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반영된 제안을 도출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추세를 반영하여 교과 맥락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개발하게 된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비판과학 관점이 강조된 인간상은 Brown과 Paolucci [8]의 가정학의 사명과 Habermas [12, 13]의 인식론에 기초하고 Ju와 Yoo [16]의 틀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치를 둔 목표를 바탕으로 인간상 예시를 진술한 제안이다. 제안의 진술방식은 생활세계의 영역을 개인, 사회, 문화의 차원으로 논의하고 있는 Habermas의 이론에 기초하였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판과학의 맥락이 요구되므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통해서 ~해 나가는 사람’의 형식으로 자아형성, 자립, 상호작용, 사회적 참여, 문화화 등 다섯 영역의 인간상을 제안하였다. 제안에서는 범주의 하위 영역에서 인간상이 진술되었는데 영역에서의 요소들이 포괄적으로 인간상을 진술하기에는 각 영역이 뚜렷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 범주에서 자아형성 영역의 인간상은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자아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스스로 자아를 형성해 나가는 사람,’ 개인 범주에서 자립 영역의 인간상은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자신의 삶을 설계하고 지속가능한 관리와 생활역량을 통하여 자립적인 삶을 개척해 나가는 사람,’ 가족 범주의 인간상은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가족의 실천적 문제해결을 위해서 의사소통과 가족의 역할 수행을 통하여 가족구성원·지역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유지해 나가는 사람,’ 사회 범주의 인간상은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옹호활동을 통하여 인간·사회·환경의 조건을 개선하는 사회적 행동에 참여해 나가는 사람,’ 문화 범주의 인간상은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생활문화 가치관을 형성하고 반성적 성찰을 통하여 의식주·가족·소비문화를 창출해 나가는 사람’으로 제안하였다.

4. 파급효과

파급효과에서는 대안에서 개발한 제안을 이메일을 통해 전문가에게 협의를 의뢰하였고 전문가 협의진은 연구자의 단순한 관심사에서 출발한 본 연구의 내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진솔한 의견을 보내주었다. 협의내용은 제안에 대하여 진술의 타당성, 기여점과 제한점, 수정 혹은 보완되어야할 요소, 선호도와 논의점에 대한 종합의견을 협의 내용으로 요청하였다. 협의된 의견을 반영하여 제안을 수정·보완하여 수정안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협의 내용과 파급효과에 대한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술의 타당성

(1) 인간상 요소와 연계 내용

제안에서의 인간상 요소와 연계 내용의 타당성에 대한 협의결과에서 전문가들은 인간상 요소와 연계 내용은 전체적으로 진술이 잘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가정교과의 사명에 가장 가까운 인간상의 진술이라 여겨지며, 영역을 중심으로 연결된 측면은 전반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데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반영하는데 다소 미흡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비판과학의 내용요소(특히 옹호와 생애설계 영역)가 더 많이 추가될 부분이라고 지적되었다. 따라서 범주에 따른 인간상의 진술은 전반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지만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반영하는데 다소 미흡한 부분을 반영하여 전체 내용요소가 그에 따라 추가·보완되었다.

(2) 가치를 둔 목표를 바탕으로 한 진술

제안에서의 인간상 요소와 가치를 둔 목표의 타당성에 대한 전문가 협의결과는 대체적으로 타당하게 진술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수정·보완되어야할 측면으로 글로벌 관점에서의 공동체 관련 내용요소에 대한 추가와 인간상에 대한 정교한 서술이 필요하며,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자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스스로 자아를 형성해 나가는 사람’에서 내용요소를 아우를 수 있는 진술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협의진의 의견 중 만약 지속가능한 관리를 인간상에서 진술하고자 한다면 지속가능한 소비관리가 내용요소로 추가될 필요가 있으며, 또 교과특성이 잘 드러나지만 다소 추상적인 부분이 있어 조금 더 쉽게 진술되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와 같이 가치를 둔 목표를 바탕으로 한 진술에 대한 전문가 협의에서는 전반적으로 진술은 타당하다고 나타났으나 비판과학 관점에 초점을 맞춘 진술이기 때문에 교과내용 특성의 반영이 다소 미흡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진술의 범주에 있어서 비판과학 관점에서 가정과교육에서 다루는 문제들이 개인, 가족, 사회, 문화의 맥락에서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진술전제는 5개 모두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로 시작하여 그러한 관점이 부각되도록 하였는데 전문가 협의에서 진술의 전제가 불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비판과학 관점을 드러낼 수 있도록 기존의 원안을 유지하기로 하였다.

2) 기여점과 제한점

제안에서의 기여점과 제한점에 대한 전문가 협의결과는 ‘학교 현장에 가정과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인간상을 명료하게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정교과의 정체성과 학문적 본질에 기초한 가정교과의 인간상 설정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되며, 궁극적으로 가정교과의 철학에 맞게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인간상이 아닌가 한다,’ ‘가정교과의 철학을 느낄 수 있었으며 가정교과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즉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의 의미에 가장 근접하고 있기에 향후 교육과정 개발자들에게 귀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등 가장 명료하게 가정교과의 철학을 드러날 수 있다는 의견들을 나타내고 있었다.
‘교과의 내용 특성을 반영하여 인간상의 진술을 보완한다면 학교현장에서 어떤 수업을 통하여 인간상을 구현할 수 있을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보여 줄 수 있을 것 같다,’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고 발달하며, 시민의식과 새로운 문화를 창출할 수 있음에 기여하고,’ ‘가정학의 사명에 가장 가까운 인간상의 진술이라 여겨지며,’ 이후 교과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으로는 아주 합당하다,’ ‘가정교과의 목적,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 교육평가가 포함된 가정과 교육과정을 타당하고 무엇보다 설득력 있게 진술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개인과 가족을 구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등 전문가들은 제안의 기여와 의의 측면에서 많은 의견들을 주었다.
이와 같이 제안의 기여점을 살펴보면 가정교과가 나아가야할 방향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었으며, 가정교과의 사명에 비추어 가정교과의 학문적 정체성과 교과 철학에 기초한 인간상으로 수업이나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요소들이 작용하고 있었으며 가정교과의 본질에 가장 가까운 인간상이라는 데 의의가 있었다.
그러나 제안의 제한점은 ‘비판과학적 인식이 부족한 교육과정 개발자나 현장 교사들에게는 다소 의미해석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다,’ ‘해설의 문장이나 구체적인 제안을 덧붙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현장 적합성과 교사 수용성의 측면에서는 비판과학 관점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기에 당장 수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등으로 논의되었으며 제한점보다 기여점이 더 많이 작용하는 안으로 나타났다. 비판과학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는 인간상이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이고 교과 본질에 적합하다는 전문가 협의진의 반응이었지만 그러한 관점을 가지지 못한 교사나 현장 관계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의미를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어 의미 있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교육이나 현장교사 연수과정과 연계가 되어야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3) 수정·보완해야 될 내용요소

제안에서의 수정·보완해야 될 내용요소에 대한 전문가 협의 결과는 ‘사회화의 내용이 인간상에 언급되면 좋을 듯하고,’ ‘자주적인 이미지와 행동에 참여하는 적극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단어사용이 필요하다,’ ‘생애설계의 가치를 둔 목표 세 가지의 내용요소와 구성요소는 긴밀한 연계를 위한 보완이 요구된다’ 등의 논의가 있었다. 또 기타 의견으로 ‘자아형성 영역에서 자아인식 영역과 인간발달 영역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어 보이며,’ ‘인간상(예시)의 구조를 살펴보면 비판과학 관점-중영역-대영역으로 수렴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실현가능성/교과특성/비판과학 관점의 내용요소가 진술에 포함되지 못함이 아쉽다’ 등이 있었다. 전문가 협의진과의 논의를 통해 ‘참여하는,’ ‘변혁적인’ 등의 단어는 적절히 보완하고 반영되었으며 가치를 둔 목표는 다시 범주에 따라 수정되고 추가되어 내용요소와 연계될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전문가 협의진은 교과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비판과학 관점에서 강조되었기 때문에 가정교과의 관점과 일치하고 진술내용이 매우 타당하고 의미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것은 가정교과의 본질에 가장 충실한 인간상이기 때문에 교과가 추구하는 방향성에 있어 가장 타당하다고 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인간상의 제시 측면에서 교과의 방향성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었으며 최종 인간상의 강조점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숙고의 배경이 되었다. 이상으로 파급효과를 통해 대안에서의 인간상 제안이 수정·보완하였으며, 하위 범주에 따라 구체적으로 진술된 인간상, 포괄적으로 진술된 인간상이 Table 2와 같이 도출되었다.
파급효과에 대한 협의결과에서 수정된 인간상의 진술을 살펴보면 자아형성 영역에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자아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인성발달 및 사회화를 통해서 스스로 자아를 형성해 나가는 사람’으로, 자립 영역에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자신의 삶을 설계하고 지속가능한 관리와 생활을 통하여 자립적인 삶을 개척해 나가는 사람’으로, 상호작용 영역에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가족의 실천적 문제해결을 위해서 의사소통과 가족의 역할수행을 통하여 가족구성원·지역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유지해 나가는 사람’으로, 사회적 참여 영역에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옹호활동을 통하여 인간·사회·환경의 조건을 변화시키는 사회적 행동에 참여해 나가는 사람’으로, 문화화 영역에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생활문화가치관을 형성하고 반성적 성찰을 통하여 의식주·가족·소비문화를 창출해 나가는 사람’으로 수정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각 영역의 진술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인간상은 ‘생활세계의 장에서 자주적으로 행동해 나가는 사람’으로 진술되었다.
여기서 ‘자주적으로 행동해 나가는 사람’은 간주관적인 사회화 과정을 통해 자율과 책임을 가진 존재이며 가정에서 상호인정의 관계를 통해 가능해진 독립성을 바탕으로 자아를 형성해가는 사람이다. 공존을 모색하고 이성적인 능력을 개발하여 가족과 사회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하는 사람이다. 이성에 대한 가치판단에 근거한 자유로운 참여를 통하여 제도화된 편견과 이데올로기의 지배로부터 계몽과 해방을 추구하며 사회·환경적 조건들을 바꿔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사람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민주시민으로서 지켜나가야 하는 규범을 창출해 낼 수 있으며 자기 주도성과 자기 결정권을 가지고 열린 공동체를 향해 자주성을 키워나가는 사람이다.
이와 같이 비판과학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도출하는 과정에는 교과에 대한 관점과 철학이 바탕이 되었다. 그러한 밑바탕에는 가정과교육을 받은 인간 이해의 측면이 중심이 되었는데 이것은 교과가 추구하는 방향성과 교육의 목표로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가치를 둔 목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바를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치를 둔 목표, 맥락, 대안, 파급효과에 이르는 실천적 추론을 통하여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의 제안과 최종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를 둔 목표설정 단계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교육연구에서의 인간상 논의에서 도출된 쟁점에 따라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대한 바람직한 상태를 설정하게 되었다. 가치를 둔 목표로 설정된 세 가지는 실현가능성 측면, 맥락적인 교과 측면, 교과의 철학이 담긴 비판과학 관점 측면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맥락에서는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간상과 관련된 배경을 이해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는데, 그 방법으로 가정과교육과정 문헌, 가정과교육철학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상 도출을 위한 제안틀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셋째, 대안에서는 맥락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범주화된 틀에 가치를 둔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요소를 고려하는 제안이 개발되었다. 제안에서는 범주의 하위요소인 영역에서 인간상이 진술되었는데 이것은 영역에서의 요소들이 포괄적으로 인간상을 진술하기에는 각 영역마다 뚜렷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넷째, 파급효과에서는 대안에서 개발된 제안에 대하여 진술의 타당성과 기여점과 제한점, 수정·보완되어야 할 요소들에 대한 파급효과를 검토하였다. 파급효과의 협의결과를 수렴하여 인간상의 진술은 다시 수정·보완되었다. 비판과학 관점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가정교과에서 추구해야 하는 이상적이면서 앞으로 교과가 지향해야 할 신념과 가치를 중심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교과의 특징과 비판과학 관점을 많이 반영하고 있었으며, 가정과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궁극적인 인간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기여점이 있다. 또한 Brown과 Habermas는 이상적인 사회를 이야기 하면서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는데 이 제안의 인간상을 통하여 비판과학 관점에서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제안으로부터 포괄적 인간상이 진술되었는데 ‘생활세계의 장에서 자주적으로 행동해 나가는 사람’이 도출되었다. 실천적 문제는 바람직한 최선의 행동에 이르렀을 때 해결된 것으로 본다.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개발하는 실천적 문제는 상정된 인간상이 교육과정과 교육 현장에서 구현되는 장치가 마련되고 가정과교육에서 실행될 때 해결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해야하는 인간상에 대한 제안을 개발하고 파급효과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이끌어 내었다.
첫째, 진술에 있어서 제안의 범주영역에 따라 내용요소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진술방식도 고려하게 되었다. 각 범주마다 첫머리에 진술한 ‘개인·가족·사회·문화의 맥락에서 ~을 통해서 ~해 나가는 사람’의 형식은 연구자의 관점에서 범주와 영역을 맞춘 진술로 구성하였지만 앞으로 추후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둘째, 범주와 진술영역에 있어서 모든 영역이 진술에 포함될 수 없는 부분이 있었다. 모든 요소와 진술을 명시적으로 포함시킬 수 없으므로 이상적인 진술 측면에서 중요한 영역을 고려하여야 했기 때문에 포괄하는 표현으로 진술하였는데 진술방식에서 어느 정도의 구체성이 반영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해야하는 인간상에 대한 결론과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개발하는 실천적 문제는 인간상이 교육과정과 교육 현장에서 구현되는 장치가 마련되고 가정과교육에서 실행될 때 해결되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설정한 인간상이 가치를 둔 목표에 부합하는가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앞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할 만한 가치와 정통성에 대해서도 검토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정과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제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비판과학 관점에 친근하지 않은 전공자들에게는 자신이 평소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최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서 교육 과정 개발배경과 중점들을 파악한다면 이해가 용이해지고 그 필요성도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맥락에서 살펴보았을 때 비판과학 관점이 198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의 경우 2007 개정교육과정 이후 수용된 것이 파악되었다는 사실로부터 세 번째 가치를 둔 목표인 앞으로의 방향에서 비판과학 관점을 취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연구자의 관심사인 비판과학 관점에서 인간상을 도출하였지만 전문가 협의에 참여한 10명의 전문가들은 솔직하게 진솔한 의견을 제공하여 본 연구에서 타당하고 정당한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도출하는데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를 기초로 앞으로 지속적으로 인간상에 대한 관심과 좀 더 넓은 전공자 그룹으로 논의를 확대하여 보편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인간상을 만들어 가는 노력이 뒤따라야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현장에서 구현될 가능성을 더 높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들이 지속적이고 활발한 교육과정 논의에 발판이 될 수 있는 지원체계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Figure 1.
Practical reasoning research model. Modified from Hittman and Brodacki-Thorsbakken [14].
fer-55-1-67f1.gif
Figure 2.
Proposal framework to consider the context and valued ends.
fer-55-1-67f2.gif
Table 1.
Area of Individuals, Families, Society, and Cultural in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Category Area Content element
Individual Self-formation Self-perception Positive self-esteem, cultivation of autonomy, personal beliefs, value and attitude, mature career awareness, independent self, emotional control capacities, self-regulation capacities, self-management, stress management
Human development Moral character, autonomy, responsibility, sexual values, sense of respect for lives, leadership, sense of responsibility, creativity development, challenge of consciousness, occupational choice, occupational role
Socialization Family culture, norm, understand of life, family values, rules of manners, caring, respect, education
Independent Life design Understand of life cycle, health according to the life cycle, marriage, economic, career design, scientific hobby activity, leisure life, career awareness, career exploration
Life skill Autonomous lifestyle, lifestyle, lifestyle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lifestyle management, lifestyle management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life planning and management rules and customs, understanding of the norm, human security and safety and sanitation, environment management, living environment management, ethical consumption life, associated with consumption reflects on ideology, crisis management, energy conservation, community resource, resource management
Family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on Intimate relations, sense of fellowship, communication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conflict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ole performance Family roles and function, family life, children and parents relations, gender equality at work and family, interaction of work and family, fixed idea, changes of norms, cooperation, culture of equality, equal opportunity, improvement of social conditions
Society Social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Realization of a social justi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llenge of consciousness, environmental awareness, volunteer spirit, participation and accountability,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global concern and cosmopolitan, concern in refugee agency relief
Advocacy Voluntary service, donation, policy action to promote the welfare, break down social awareness, connecting with community activities, participation of policy, support activities, volunteer work environment, concern on the environment, life of considering the environment
Culture Enculturation Culture value Modernized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lifestyle and food, clothing and shelter culture, certain preconceptions about culture and prejudice, introspection about the cultural heritage
Culture reproduction Establishment of culture, understanding of creative process creative, food, clothing and shelter, creation of culture
Table 2.
Modified Proposal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Category Area Content element Valued ends (practicality/subject characteristics/critical science perspective) Example of human being for each category
Specific statement Comprehensive statement
Individual Self-formation Self-perception Positive self-esteem, cultivation of autonomy, personal beliefs, value and attitude, mature career awareness, independent self, emotional control capacities, self-regulation capacities, self-management, stress management Identifying personal interests, desires and needs, motivation, self-realization, autonomous identity formation, pattern of behavior affecting the selfformation, self-esteem, self-concept, self-image, Insight, responsible sexual behavior A person who has formed ego for themselves through the personality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with the self-recognition in the context of private·family·society·culture A person who can continually act autonomously in one's life-world
Human development Moral character, autonomy, responsibility, sexual values, sense of respect for lives, leadership, sense of responsibility, creativity development, challenge of consciousness, occupational choice, occupational role Desirable personal growth, responsible sexual behavior, intellectual freedom, moral freedom, formation of values, peer group of values, peer group of cultural, effects of the selfmanagement on development, sexual self-determination, ethical behavior, realization of unethical behaviors and conditions for prevented development, development tasks,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hysical, emotional, mental development, understanding sexual development of content
Socialization Family culture, norm, understand of life, family values, rules of manners, caring, respect, education Reflective judgments, deliberate action, comprehensive capacity, legitimacy, expropriation or respect other people's values, influence on stereotypes, prejudices, preconceived idea against individuals, social and moral, mental and physical and aesthetic conditions, influence on individuals, influence on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family, influence of social conditions on individuals, social and cultural world with interaction with the world, social belonging
Independent Life design Understand life cycle, health according to the life cycle, marriage, economic, career design, scientific hobby activity, leisure life, career awareness, career exploration Technical action, role performance, comprehensive speciality, lifelong learning A person who has designed their lives and has improved independent lives through the sustainable management and life in the context of private·family·society·culture
Life competency Autonomous lifestyle, lifestyle, lifestyle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lifestyle management, life planning and management rules and customs, understanding of the norm, human security and safety and sanitation, environment management, living environment management, ethical consumption life, associated with consumption reflects on ideology, crisis management, energy conservation, community resource, resource managem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 understanding of the sustainable life, media and technology impact on families, economic policy's impact on family, impact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family and consumer policies,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resources, available resources for the reduction
Family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on Intimate relations, sense of fellowship, communication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conflict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textual understanding of permanent family problem, symbolic reproduction, meaningful communication, discussion debate, practical reasoning, effects of faulty reasoning, reasonable agreement, rationalization of the life world, social integration, enlightenment for the equal society and executive power,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participatory solution of conflict A person who has maintained the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family member·community·environment in order to solve a practical problem of the family in the context of private·family·society·culture
Role performance Family roles and function, family life, children and parents relations, gender equality at work and family, interaction of work and family, fixed idea, changes of norms, cooperation, culture of equality, equal opportunity, improvement of social conditions Understanding of norms, ability of role performance, ability of member development, role in the job situation, relationship with friends, social impact affecting the family, role playing for the equal families and society, democratic family relationship,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roles
Society Social participation Sense of community Realization of a social justi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llenge of consciousness, environmental awareness, volunteer spirit, participation and accountability,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global concern and cosmopolitan, concern in refugee agency relief Community lif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way of life, formation of relationships, community identity, social responsibility A person who has participated in the social behavior that changed the conditions of human·society·environment thr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dvocacy in the context of private·family·society·culture
Advocacy Voluntary service, donation, policy action to promote the welfare, break down social awareness, connecting with community activities, participation of policy, support activities, volunteer work environment, concern on the environment, life of considering the environment Equality and fairness, create policies and norms to affect the family, concern for the global environment, universal awareness of needs, improvement of the prevailing political, economic, social structure, reflection and constructive actions, emancipation action, interest in alienated people and opportunity, interest in minorities
Culture Enculturation Culture value Modernized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lifestyle and food, clothing and shelter culture, certain preconceptions about culture and prejudice, introspection about the cultural heritage Normative understanding of social and cultural world, validating of understanding for social and cultural world, cultural diversity, multicultural, educated cultural behavior or interests, background in history and philosophy as well as cultural understanding A person who has formed the living culture value and created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family·consumption culture in the context of private·family·society·culture
Culture reproduction Establishment of culture, understanding of creative process creative, food, clothing and shelter creation of culture

References

Baldwin, E. E. (1984).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 USA.

Brown, M. M. (1978).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Madison, WI: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apolis, MN: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Vocational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Brown, M. M. (1984). Home Economics: Proud past-promising future, 1984 AHEA commemorative lecture. Journal of Home Economics, 76(4), 48-54.
crossref
Brown, M. M. (1985a). Philosophical studies of home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Our practical-intellectual heritage I.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for Vocational Education.

Brown, M. M. (1985b). Philosophical studies of home economics in the United States: Our practical-intellectual heritage II.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for Vocational Education.

Brown, M. M. (1993). Philosophical studies in home economics: Basic ideas by which home economists understand themselves.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Habermas, J. (1971).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Boston, MA: Beacon Press.

Habermas, J. (1979). Communic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Boston, MA: Beacon Press.

Habermas, J. (1982). A reply to my critics. In J. B. Thompson & D. Held (Eds.), Habermas: Critical debates (pp. 219-283). Cambridge, MA: The MIT Press.

Habermas, J. (1984).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1. Reason and the rationalization of society. Boston, MA: Beacon Press.

Habermas, J. (1987).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 2. Life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Boston, MA: Beacon Press.

Hittman, L., & Brodacki-Thorsbakken, P. (1993). The book of questions. Unpublished manuscript.

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 (2008). Home economics in the 21st century position statement. Bonn: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ome Economics.

Ju, S., & Yoo, T. (2015). Integrativ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rough deliber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4), 447-461. https://doi.org/10.6115/fer.2015.036
crossref
Kim, Y. C. (2006). After Tyler: Curriculum theorizing 1970-2000. Seoul: Moonumsa.

Knorr, A. J., Schmalzel, P., & Van de Bogart, E. (1981). Reasoning and acting on practical problems of home and family (project no. 81-904C-03-05). Phoenix, AZ: Arizona Department of Education.

Lee, S. H. (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007). Maryland family and consumer science. Baltimore, MD: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Administrators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2008).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Retrieved January 10, 2017, from http://www.nasafacs.org/national-standards-overview.html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994). Work and family life curriculum guide. Columbus, OH: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Oregon Department of Education. (1996). Family and consumer science studies curriculum for Oregon middle schools. Salem, OR: Oregon Department of Education.

Queensland Studies Authority. (2010). Home economics: Senior syllabus, 2010. Brisbane: Queensland Studies Authority.

Staaland, E., & Strom, S. (1996). Family, food, and society: A teacher’s guide. Milwaukee, WI: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Watters, M. E. (1981). Family and self-formation: A qualitative analysis drawing from the critical theory of Jurgen Haberma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ast Lansing, MI, Michigan State University.

Yoo, T. M., & Lee, S. H. (2010). Practical problem orient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Seoul: Book Korea.

Young, R. E. (2003). A critical theory of education: Habermas and our children’s future (J. H. Lee & J. E. Lee, Trans.). Seoul: Kyoyookbook.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