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Hum. Ecol. Res Search

CLOSE

Fam. Environ. Res > Volume 53(1); 2015 > Article
고등학생의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nd school life. Three hundred seventy-six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The SPSS ver. 19.0 program was adopted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time management behavio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t school,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 relatively high. Second,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revealed that th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academic achievement. As the levels of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was high. Finally,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findings, that is,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other involved variabl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nd school life, a future study can present specific ways to enha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and school life.

서론

인간에게 주어진 자원 중의 하나인 시간은 삶의 질이나 운명을 바꾸어 놓을 수 있는 정도로 중요하다. 자원은 인간의 욕구충족을 위해 필요한 수단이며, 시간은 우리의 삶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원이 된다[15]. 이러한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며, 늘 새롭게 주어지기 때문에 그 소중함을 인식하지 못하기 쉽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의 질이나 운명을 바꾸어 놓을 정도로 시간의 중요성이나 그것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의식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시간은 매우 소중하고 가치 있는 자원이므로 주어진 모든 시간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거둘 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현대인은 바쁘게 살아가고 있고 시간적으로도 여유가 있지 않다. 또한 시간은 한정되어 있지만 공평하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삶에 큰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낸다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시간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시간관리가 필요한 근본적인 이유는 인간의 욕구는 무한한 데 비하여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시간자원은 유한하다는 사실과 시간은 인간의 모든 활동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는 시간의 희소성이 부각됨에 따라 시간관리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52, 53]. 입시를 위주로 한 교육체제에서 생활하는 고등학교 시기의 학생들에게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효과적인 시간관리를 위해 노력한다면 이는 향후의 삶을 준비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또한 정보화 사회의 흐름에 따라 각종 매체, 스마트폰의 배급으로 많은 시간들을 낭비하고 있다. 아무런 목적 없이 인터넷 서핑이나 채팅, 습관적인 게임으로 학생들은 자신을 통제하지 못하고 순간의 느낌이나 욕구에 따라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를 가기 위해 이동하는 교통수단 속에서의 시간, 친구를 만나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 등 주어지는 시간들이 꽤 많이 있다. 이러한 일상적이고 작은 일들이 아무런 방향성 없이 진행된다면, 구체적인 결과 없이 시간은 소모되는 것이다.
한편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의 문제는 오랫동안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현실적으로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대부분이 중압감을 느끼는 입시 문제도 결국은 학업성취에 관한 것이다[27]. 시간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하는 것은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업에 실패한 학생들의 그 원인을 보면 공부를 하지 않는 것, 목표 설정이 불분명하다는 것, 시간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는 것이었으며[42], 미국에서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에 관한 문제 행동을 조사한 결과 잘못된 학습 습관, 진로에 대한 불확신, 잘못된 시간관리 등이 주된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45, 49]. 이처럼 시간에 대한 관리가 학업성적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시간관리 실천이 학업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4], 공부에 투자하는 시간의 양 뿐 아니라 시간관리 능력이 학업성적에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는 것은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요소의 일부가 되었다.
보통 시간관리를 잘 하는 학생이 학업성취가 더 높고, 친구와 교사와의 관계가 좋으며,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뿐만 아니라 생활만족도가 높다[27]. 즉, 시간관리를 잘 하는 학생들은 학교생활을 계획 있게 보낼 것이며, 그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실제 시간관리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학업성취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청소년의 시간관리행동과 학업성취도[38], 고등학생들의 학교교육만족도[48], 그리고 고등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와의 관계[37] 등이 있다. 이처럼 기존의 연구에서는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의 학생과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관리행동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파악하고, 또한 고등학생들의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고등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 및 제 변수들이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고,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

1. 시간관리행동

1) 시간관리행동의 정의 및 필요성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 시간관리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정의를 내리고 있다. 먼저, Cho [7]는 시간관리란 이용 가능한 시간내의 활동들을 관리함으로써 현재 성취수준이 더 짧은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시간을 분배하는 것이라 하였다. 시간관리에 대한 개념은 접근방식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갖는다. 우선 시간의 효율성을 강조한 시간관리 개념을 살펴보면, Doo [13]는 시간관리란 안정적이면서 느린 시간사용과 효율적이면서 빠른 시간사용을 조화시킴으로써 자신의 인생에 효과를 증대시키며 살아갈 수 있는 방법, 즉 자신의 성공과 행복을 얻기 위한 방향으로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하였고, 자신이 원하는 생활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간자원을 합목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습관화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일정하게 주어지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균형 있게 배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시간관리 행동이 필요하다.
Kim 등[24]은 시간관리는 시간과 자신을 조직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계획된 방향으로 그리고 순서적으로 공부를 실천해 가도록 돕는 전략적 의미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시간관리에 대한 시간을 질적으로 관리한다는 의미임을 강조하면서 진정한 의미의 시간관리는 자아실현과 더불어 인간관계의 유지와 발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시간관리의 핵심은 소중한 것을 먼저 하는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Chae와 Lee [6]는 시간관리를 개인의 가치에 부합하는 삶을 위해서 시간자원을 배분하고 조정하며 시간자원 속에서 삶에 긴장과 이완을 주는 행동을 의식적으로 끊임없이 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Kim [31]은 시간관리가 자신이 원하는 생활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간자원을 합목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습관화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시간을 효율적인 형태로 사용하고, 자신의 인생에 긴장과 이완을 주는 올바른 기술을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으로 계속 실천하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시간관리의 행동적인 면을 강조하였고[43], 또한 시간관리란 좁게는 시간갈등을 해소하며 적정한 휴식과 놀이 시간을 확보해 줄 수 있는 전략적 방법이라 할 수 있고 넓게는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보람되고 가치로운 것으로 채울 수 있도록 삶을 관리, 운영해 나가는 전략적 실천방법으로 정의하였다[44].
한편 시간관리의 목적은 한정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고 노동과 여가·휴식 간의 균형을 이루고, 시간사용에 최대한 만족감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12, 17]. 시간관리가 필요한 근본적인 이유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시간이 유한하다는 사실에 있으며, 특히 시간은 인간의 모든 활동에 꼭 사용되는 자원이라는 면에서 시간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시간관리는 가정자원관리의 한 영역이며 관리 중에서도 자기관리의 한 부분이다. 매일 새로운 시간이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지기 때문에 시간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생활은 크게 차이가 나며, 시간자원을 잘 관리하면 일과 휴식을 조화 있게 하여 바쁜 사람에게는 여유를 주고 한가한 사람에게는 긴장감을 주어 삶을 균형 있게 한다. 또한 가치 있는 일에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함으로써 목표달성을 용이하게 하며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예방하며 건강한 삶을 살게 한다[37].
이렇듯 시간관리를 보는 시각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효율성과 실천이라는 행동을 강조하고 있다. 효과적인 시간관리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관리에 관련하여 강의, 세미나, 워크샵 등과 같은 체계적인 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중요한 경험으로 개인의 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시간관리, 공부기술, 공부전략 등을 포함한 오리엔테이션 코스를 이수하게 한 결과 코스에 참여한 학생이 더 확실한 학문적 목표를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시간관리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 외에 시간 관리에 관한 독서활동도 자율학습을 통해 시간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다.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시간관리에 대한 비교연구에서 관련 독서 경험이 시간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보고하였다[32]. 이처럼 많은 연구자들이 효과적인 시간관리를 다양하게 정의 내리고 있다.

2) 시간관리행동의 구성요소

시간관리행동에서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정보를 탐색하고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조직하고 이를 평가하며, 필요할 때마다 통제를 통하여 조정하고 실행하는 모든 단계가 적절해야 한다. 일반적인 시간관리의 원리를 제공하는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섯 단계로 구성되고 있다. 우선 어떤 일을 할 때 어느 정도 목적의식을 가지고 일을 하는 지를 알아보는 목표설정단계이고, 그 다음은 계획의식에 의하여 일하는 계획단계이다. 또한 일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의사결정단계이며, 어떤 식으로 해 나가는 지에 관한 실행 및 조직화 단계이다. 그리고 일의 진행 과정과 일의 성과를 평가하고 다음의 계획에 반영하는 통제 단계이며, 마지막으로 목적에 따라 구분해서 행동하는 정보와 의사소통단계가 있다[43].
또한 시간관리의 하위영역을 목표설정, 계획, 수행, 평가로 분류하였다. 목표설정은 시간관리에 하나의 표준을 제공해 주며 자신과 가족의 가치를 명료화하고, 그 가치에 근거한 목표를 명확하게 기술하며 목표들 사이에 우선순위를 정하여 활동을 명확히 규명하는 것이다. 어떤 일을 할 때 어떤 목적을 가지고 하며 목표를 세울 때 자신의 상황과 장단점을 고려하고 행동에 옮길 수 있는 구체적 목표를 세우며, 목표달성 예정일 등을 정해 놓는 것이다[41].
그리고 계획은 미래의 활동방향을 정하는 활동이며,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안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합목적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의사결정을 하려는 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목표추구를 위해서 행동을 구상하고 설계하며 수행하기 위한 초점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일을 순서대로 기간을 정해놓고 목록을 작성한다. 이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초적인 중요한 단계이다[31]. 수행은 계획을 현실화하는 것으로 계획을 실천에 옮기고, 실제 활동이 계획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살피며, 그 사이에 편차가 있으면 이를 시정하는 기능을 말한다[31]. 계획을 실제로 행할 때 어려움이 생기더라도 강한 의지력과 투지를 발휘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41]. 평가는 설정한 시간계획이 현실적인 것이었는지, 시간 사용방법이 적절하고 합리적이었는지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31]. 일의 진행과정과 일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다음의 계획에 반영하며,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필요하고 가치 있는 일인지, 우선순위에 따라서 일을 하고 있고, 계획한 시간 내에 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지 수시로 체크하면서 끝내지 못한 원인을 찾고 그 이유를 다음의 계획에 반영시키는 활동이다[41].
시간관리행동이란 결국 목표성취를 위하여 시간낭비를 줄이고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 실천하고 정보를 활용하는 등의 시간의 사용을 관리하는 일련의 통제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관리행동이란 생활관리 또는 인생관리의 넓은 의미로 삶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간관리행동으로 선행연구들[31, 35, 41]을 기초로 하였으며 하위영역을 목표설정, 계획, 수행, 평가로 구성하였다.

2. 교육소비만족도

1) 교육소비만족도의 정의

만족이란 마음의 흡족함 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고, 행복감이라는 용어와 함께 동의어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나 용어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Song과 Cheong [47]에 의하면, 만족이란 일정한 목표나 욕구의 달성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감정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삶의 질은 열망, 기대, 행복, 만족 등과 같은 주관적 삶의 측면과 관련있다. 또한 삶의 지표는 만족 등과 같은 주관적 삶의 측면과 관련이 깊다. 특히 삶의 지표는 만족에 더욱 강조를 두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만족은 행복, 열망, 기대보다 그 준거가 더욱 구체적이며 행복이 나타내지 못하는 기대감 또는 열정의 준거 기준을 내포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만족도는 상황에 대하여 함수관계가 있는 안정적인 하나의 지표 차원에서 측정되며, 개인 삶의 환경에 대한 평가와 과거의 경험 및 관찰에서 비롯되는 내적 기준 간의 산물이라고 주장했다.
Burr [5]는 만족을 두 가지 의미로 정의하였다. 만족이란 ‘개인이 가지는 기대와 그 사람이 실제로 받는 보상 사이의 일치 정도’라는 견해이며, 다른 하나는 만족을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기쁨·슬픔, 행복·불행으로 보는 것이다. 만족과 행복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를 갖고 의미가 파악되고 있으며, 하나의 구성요인으로 행복감을 갖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의 만족은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로 행복감, 사기, 적용, 복지 등의 용어와 함께 명확한 구분 없이 혼용되어 왔다[29]. 일반적으로 만족 이라는 용어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따라서 만족은 개인적인 경험이라고 볼 수 있다[39]. 만족을 평가하는데 있어 보통 사람의 만족을 느끼는 정도로 측정하며, 소비자의 소비의도나 행동에 영향을 준다.
한편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해당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학생들의 교육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을 보는 것을 의미하였다[2]. 또한 교육소비란 학생들은 학교교육을 받기 위하여 학비와 기타 비용 등을 지불하여 교육을 받은 과정으로 정의하며, 교육서비스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소비만족도라는 개념을 많이 사용한다.
교육소비만족도에 대한 정의를 보면, Astin [2]은 교육소비만족도란 학생들의 교육 경험에 대한 경험적·주관적 반응을 살펴보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교육만족도의 변수들은 교사, 교육과정과 수업, 학생들의 학교생활, 학생지원 서비스, 시설교육 여건, 교과목 이수 기회, 교사의 학생에 대한 태도, 학교의 변화 전망, 행정에 대한 믿음, 다양성 추구, 교육자원과 사회적 평판 등 교육의 모든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46]. 이렇게 조사된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는 교육의 질과 서비스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만족도는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로 간주되고 있다[48].
Kim [25]의 연구에서는 소비 만족도를 학생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라는 부분에 적용시켰다. 학교 교육환경에서 제품은 수업이라 할 수 있고, 기업에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위해서 제품의 질이 중요한 것처럼 학교에서 학생의 만족을 위해서 중요한 것이 수업이다. 그러나 기업에서 아무리 좋은 제품을 생산해도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이 나쁘면 제품판매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처럼 학교에서도 훌륭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어도 학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활동이 나쁘다면 학생들은 학교교육에 대하여 만족할 수 없다고 보았다. 이는 학교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소비만족도란 고등학생에게 제공하는 교육의 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이나 감정 또는 태도의 정도라고 정의하고, 고등학교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포괄하여 학생이 만족을 느끼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적절하게 소비함으로써 교육소비만족도를 나타내는 영역을 크게 수업만족도, 학업성취 만족도, 그리고 교육성과 만족도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과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교육소비자만족도의 유형

(1) 수업만족도

수업일반에 대한 학습활동으로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알아보는 요인으로 학습지도에 포함되는 수업의 내용이나 수업방식, 과제물의 분량, 대입을 위한 학습 등이 학생들에게 학업성취도로 나타나므로 이로 인해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이나 불만족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23]. 이러한 요인들이 부정적인 영향으로 불만족감, 지루함, 불공평함, 과중함 등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2)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성취란 교육적 성과를 말하는 것이며, 교육성과란 다름 아닌 교육목적의 달성도이고, 학습을 통해 길러진 능력이라고 하였으며, 교육결과인 학업성취를 학교교육을 통하여 학습한 지식, 지적인 능력, 태도, 가치관 등 학습결과의 총칭이라고 하였다[33]. 단순히 교과목의 성적을 뜻하는 것만이 아닌 학업성취는 학습자가 가진 특성(trait), 교사가 행하는 수업 방법(treatment)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소산이라고 하고 있으며, 학습자에게 있어서 학업성취의 결과는 학업성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학업성취는 학습의 과정에서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즉 가정환경, 학급, 학교환경, 사회문화적 배경 등 환경적 요인과 지능, 성격, 학습동기 등 학습자 요인, 그리고 교수체제와 방법, 평가체제와 방법, 교재의 체제와 방법, 교과의 특성 등 교사와 관련된 변수 등으로 다양하다.

(3) 교육성과 만족도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 또는 불만족은 학교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학교 교육에 있어 만족한 학생들은 호의적 태도와 높은 충성도를 갖는 반면에 불만족한 학생들은 학교에 대해 비호의적 태도와 낮은 충성도를 갖게 된다[51]. 한편 교육만족도의 중요한 교육성과는 정의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정의적 요인에는 인격형성, 가치관, 자아정체성, 학교생활에 대한 정서적 안정을 의미하며, 인지적 요인에는 지식의 성장 및 사고력, 학문적 성취, 진로 개발, 지식의 유용성으로 나타낸다[2].

3) 교육소비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

교육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다. Kim [29]은 경기도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 생활 만족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있다. 인문계열 학생이 실업계열 학생보다, 성적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자아개념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건강이 좋은 학생이 건강이 좋지 않다고 인식하는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hn [46]은 일반학교와 특성화된 대안고등학교에 대한 교육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교사에 대한 만족도, 학교수업에 대한 만족도,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도,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교육전반에 관한 만족도를 설문 작성하여 교육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반학교에 비하여 대안학교의 학생들은 학교의 대화개방성, 상담태도, 인격존중, 교사의 열의와 교사만족도 등에 더 만족한다고 하였다. Lee [36]는 서울·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하는 공교육을 받은 일반 학교학생들과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문항으로는 교육목표, 교사, 수업, 학교생활, 학교시설, 교육성과에 대한 만족도 영역으로 분류하였는데 전반적으로 만족도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im [25]은 경영 마케팅의 측면에서 고등학생들의 학교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학교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학교생활에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업활동,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 활동, 학교 시설 및 학생복지라고 하였다. Noh [40]는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학부모들의 학교교육만족도 조사를 위해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 교과 외 활동, 학교 운영 및 행정의 3개 영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학부모, 학교 급별과 지역교육청 별로 교육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결국은 학생의 교육만족도 수준이 가장 낮았으며, 지역교육청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선행 연구에서 살펴보면, 학교 교육만족도가 교사,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교육 전반에 관한 포괄적인 영역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29, 36]을 기초로 하여,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적절하게 소비함으로써 교육소비만족도를 나타내는 영역을 크게 수업만족, 학업성취, 교육성과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과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학교생활만족도

1) 학교생활만족도의 정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을 크게 셋으로 나누어 가정, 학교, 사회로 볼 때, 그 중 학교에서 학생이 받는 영향을 학교생활이라고 한다. 학교생활은 가정생활, 사회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23]. 학교는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고 학생의 학창시절 및 그 이후의 삶에 기초가 되는 여러 가지 사회적 관계들이 형성되는 곳이고 그러한 관계 형성을 통해 집단의 소속감 및 정서적 안정감을 충족시켜주는 곳이다[34]. 학생들은 교과활동, 체험학습, 특별활동, 체육대회, 소풍, 학생 자치회, 여행 등을 통하여 학교생활을 누릴 수 있다. 학교생활 속에는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학생 상호간의 관계가 있고, 학급 생활, 기숙사 생활 등도 학교생활을 구성한다[27].
학교에서 생활이 만족스러울 때 학교교육의 일차적 목표인 인적 자본 형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학교를 통해서 미래의 삶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자원 및 사회생활의 기반,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학교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단순히 학생의 인지적 발달을 돕는 것을 넘어서 그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제와 밀접하게 닿아있다[22].
한편 적응이란 생활체가 환경에 대해 만족한 관계를 갖는 것을 뜻한다. 적응을 한 개의 과정으로서 생각하면 생활체가 자기 자신과 그 환경 사이에 조화된 관계를 맺게 되도록 자기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든가 환경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다시 말해 학교생활적응이란 학교생활을 하면서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교육적 환경을 자신의 욕구와 맞게 변화시키거나 자신이 학교생활의 모든 상황과 환경을 바람직하게 수용되는 것이라 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한 학생은 학교에 대한 감정이나 태도, 동기가 긍정적이기 때문에 대인관계가 원만하여 학업성적이 향상되고 행동특성이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개인과 사회발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고 하였다[1].
학교생활만족에 대한 정의는 여러 학자마다 다르다. Han [16]은 교육활동을 하는데 충분한가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생들이 학교생활을 어떻게 적응하느냐가 중요하며 이는 학생들이 교과활동, 특별활동, 기타활동 등에서 자기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만족감을 느끼고 조화 있는 관계를 유지하며, 교사 및 학생들과의 관계가 잘 조화되어 만족스러운 상태에 있을 때를 말한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는 학교생활 전반에 대해 개인이 추구하는 목적이나 욕구가 성취되었을 때 얻어지는 주관적 감정이며[10], 학생들이 학교생활 전반에 대하여 견지하고 있는 긍정적인 느낌, 감정, 태도 정도라 하였다[29]. Jang [20]은 학생들이 학교생활 전반에 대하여 갖는 선호 감정으로서, 학교에서 체감되는 외부 경험에 대한 호의적인 혹은 비호의적인 느낌이나 태도 정도로 정의하였고, Kim [26]은 학생들이 생활하는 환경 중에서 학교는 가정에서 사회로 생활 범위가 확대되는 곳이며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가 맺어지는 사회관계의 장소일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라는 목적을 갖고 생활하는 곳이기 때문에 학교에 대한 적응, 대인관계, 시험 및 과제수행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할 소지가 많은 곳이라 정의하였다.
학교는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중요한 곳이기 때문에 학생에게 만족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만족이란 학교라는 환경적 공간에서 학생들이 교사, 또는 집단과 인간관계를 맺으며 교육활동을 하는데 충분함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 학생 상호와의 관계 만족도, 교내 행사 만족도,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2) 학교생활만족도의 유형

(1) 교내행사 만족도

학교의 교내행사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과 외 활동으로 학교의 교육목표와 교육계획이 구현되는 교육활동이다. 대체로 의식, 현장학습, 학예행사, 보건행사, 봉사활동이 이에 해당된다. 학생들이 견학이나 소풍을 통해 즐거움, 해방감을 느끼며, 한편으로는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배우는 것에 대한 지적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23]. 교내행사는 학교에서 이뤄지는 모든 학습활동의 통합이라 볼 수 있다[30]. 따라서 교내행사가 있을 때 어느 정도 참여하고 만족을 느끼는지를 알아보는 것도 학교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23].

(2) 학생 상호와의 관계 만족도

학생 상호와의 관계는 인간발달과정에서 또래들과 가지게 되는 인간관계이다. 친구는 안정감의 제공자이고 자신을 타인과 의미 있게 비교해 볼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하며, 함께 활동에 참여하는 동반자 혹은 안내자로 기능하며 이는 소속감을 형성시킨다. 교사와의 관계와는 달리 권위적인 관계로 맺어진 것이 아니라 대등 관계로 맺어지는데, 학생들은 친구와의 관계를 통해서 대인관계를 학습하고 적대감정, 지배욕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배우며 권위자를 대하는 방식, 타인을 통솔하는 방법을 배운다. 또한 친구와의 관계를 통해서 친구가 자기를 어떻게 보느냐를 알아차리고 자신에 대한 올바른 견해 즉 자아의식을 갖게 된다[8]. 친구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자신의 매력, 능력, 인기 등으로 스스로를 평가하고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자아개념을 형성해 나가게 된다[23]. 이처럼 친구와의 관계는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여주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의 적응력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3)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

학생과 교사와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거나 교사에게 도움을 청하는 정도, 교사에 대한 예절, 교사에 대한 긍정적 감정의 표현, 담임교사에 대한 선호도 등 교사와의 관계에서 만족스럽고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교사는 학교 안에서 학생들에 비해 권위가 있는 사람이며, 지도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다. 학생들은 순정적이거나 굴복적이거나 또는 반항하는 모습 등으로 지도자 혹은 권위 있는 사람을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3].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공식적으로 학습을 위한 관계이지만 사회, 심리적 욕구를 교사가 충족시키지 못하며 학습에 오히려 흥미를 잃게 될 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서도 고립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학교를 좋아하는 이유를 배움 자체를 즐기기 때문이거나 또는 친구들과의 상호관계 때문일 것이라는 보고한 기존의 연구들이 비해, 보다 일반적으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타인으로서 교사와의 관계에 주목하고 친구나 다른 학교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뒤에도 교사의 보살핌(caring), 존중(respecting), 칭찬(praising)을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학생일 경우에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교를 더 좋아하는 경향이 있음을 경험적으로 밝혔다. 학교에서 정서적 지지를 함의하는 친구관계와 달리, 정서적 지지의 관계이면서 동시에 기능적 관계이기도 한 교사-학생 사이의 관계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만족으로 이끄는 또 다른 중요한 관계적 요인일 것이다[22].

(4)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

소속감은 개인이 일반적으로 타인과 호의적인 관계를 맺는 데서 얻는 만족감을 말한다. 학생들은 그가 속한 집단, 즉 교실 내에서의 위치에 대한 만족감을 얻고자 하는 기본적 욕구가 있다[50]. 학교는 학생들이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고 있는 곳으로 학생들의 사회화 과정을 유효하게 담당하는 기능을 제도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특히 태도와 가치관을 건전하게 형성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 곳이다[24]. 학생 개개인이 추구하는 심리적 욕구와 동기들이 학급이나 학교라고 하는 공동체 안에서 더 깊게 이해하고 충족될 때 그들의 학교생활이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다[50]. 학생은 학교생활을 통해서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고 실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학교에 대한 소속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Kim [30]의 연구에서는 학생의 학교생활 참여가 높을 수록 집단에서의 소속감과 연대의식을 키울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Jung 등[21]은 집단에서의 소속감과 연대의식을 통해 전반적인 학교생활만족도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3)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을 높임으로써 학업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14].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수준은 학교교육의 성과와 관련하여 중요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선행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Nam [38]은 높은 학교생활만족도는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완화시켜 주고 학업적 발달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인문계와 실업계 별로 나타난 학교적응에 관한 비교연구에서 인문계가 실업계보다 모든 영역에서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고학년일수록, 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부모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8]. 또한 학교생활 적응수준과 학업성적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고교생의 경우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은 낮은 학생보다 학교생활에서 잘 적응하고 있으며,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은 학교생활 적응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11]. Hwang [18]은 전반적인 학교생활, 학교환경, 학교행사, 수업과 학습, 인간관계, 학급 분위기를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영역으로 분류하고 교사의 지적 특성과 정적 특성을 관련변수로 설정하였다. Im [19]은 학교환경영역, 학업영역, 교사영역, 친구영역을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영역으로 분류하고 성별, 성적, 경제수준, 학급인원, 지역을 관련변수로 설정하였다.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느낌,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느낌, 학교행사 및 특별활동에 대한 느낌, 수업일반에 대한 느낌, 교사에 대한 느낌, 아동간의 인간관계에 대한 느낌을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영역으로 분류하고 느낌쪽지를 활용한 집단 상담을 관련변수로 설정하였다[9].
다시 말해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들[23, 27, 34, 38]에 따르면 그 만족이 학생의 학업성적 및 행동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냄으로써 학생의 학업성적에 집중해왔던 교육 연구들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상의 선행 연구에서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선생님과의 관계, 학생 상호와의 관계, 교내행사, 학교 소속감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과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문제 제시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고등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고등학생들의 교육소비만족도는 어떠한가?
  • 2-1. 교육소비만족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 2-2. 교육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그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어떠한가?
  • 3-1. 학교생활만족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 3-2.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그 영향력은 어떠한가?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추출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8일부터 2013년 4월 22일까지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예비조사를 총 30부를 실시하였으며, 수정·보완한 후 2013년 4월 24일부터 2013년 4월 26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문계고등학교, 실업계고등학교에 각각 200부씩 총 400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모두 376부(94.0%)로 본 연구의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3. 척도구성 및 내용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로 토대로 변수에 대한 문항들을 정리하였다. 시간관리행동, 교육소비지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있어 모두 Likert 5점척도를 이용하였고(Table 1), 또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사회경제적 변수로는 성별, 학교, 학년, 아버지연령, 어머니연령, 아버지교육수준, 어머니교육수준, 아버지직업, 어머니직업, 가계월평균소득, 가정생활수준, 사교육시간, 자습시간, 학업성적 등으로 구성하였다.

4.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1) 시간관리행동

시간관리행동의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2와 같다. 공통된 요인인자를 묶기 위하여 공통성이 .4 이하인 문항 12개를 제거한 후 총 13문항의 시간관리행동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총 5가지 요인으로 분류되며 고유치가 모두 1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누적 설명력은 79.449%였다. 각 요인의 구성 문항의 내용에 의하면 우선순위 정하기, 목표세우기, 계획세우기, 평가하기와 실행하기로 명명하였다. Cronbach’s α 모두 .7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2) 교육소비만족도

교육소비만족도의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3과 같다. 공통된 요인인자를 묶기 위해 총 8문항을 가지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총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며 고유치가 모두 1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누적설명력은 81.861%였다. 각 요인이 모함된 문항의 내용에 의하면 교육성과 만족도,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 만족도로 명명하였다. 또한 세 요인의 Cronbach’s α 계수가 모두 .7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3)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요인

학교생활만족도의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공통된 요인인자를 묶기 위해 총 8문항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총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며 고유치 모두 1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누적적재값이 85.218%로 나타났다. 각 요인이 모함된 문항의 내용에 의하면 교내행사 만족도,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와 학교 소속감에 대한 만족도로 명명하였다. 또한 넷 요인의 Cronbach’s α 계수가 모두 .7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5.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학생 52.9%, 여학생 47.1%로 나타났으며, 학교는 인문계학생 56.9%, 실업계학생 43.1%로 나타났다. 1학년 17.8%, 2학년 38.3%, 3학년 43.9%로 나타났으며, 아버지평균연령은 49세이고, 어머니평균연령은 48세로 나타났다. 아버지교육수준은 대학교졸업이 41.2%로 가장 많았으며 고등학교졸업 40.4%, 중학교 이하 9.7%, 대학원이상 8.6% 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교육수준은 고등학교졸업이 48.0%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교졸업 39.1%, 대학원이상 7.8%, 중학교 이하 5.1% 순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직업은 사무직/행정관리직 38.8%, 자영업 26.1%, 전문직/교육직 19.4%, 생산직/임시직 12.9%, 무직 2.7% 순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직업은 무직 37.2%, 사무직/행정관리직 18.1%, 전문직/교육직 17.5%, 자영업 15.4%, 생산직/임시직 11.9% 순으로 나타났다. 가계월평균소득은 401만원 이상 35.4%, 다음 301-400만원, 300만원 이하의 순으로 나타났고, 가정생활수준은 중, 중상, 중하, 상, 하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1. 시간관리행동의 수준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에 의하여 본 연구의 주요변수들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 수준을 보면 전체적으로는 평균 3.28로 나타나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요인별로 보면 시간관리행동 중 고등학생들은 우선순위 정하기 행동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목표세우기, 평가하기, 실행하기와 계획세우기 행동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2. 교육소비만족도의 수군과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

1) 교육소비만족도의 수준

고등학생들의 교육소비만족도 수준을 보면 전체적으로는 평균 3.32로 나타나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요인별로 보면 교육소비만족도 중 고등학생들은 수업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교육성과 만족도, 학업성취 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2) 교육소비만족도에 대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

고등학생들의 교육소비만족도에 대한 제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교육소비만족도는 수업만족도, 학업성취 만족도, 교육성과 만족도로 구분하여 보았다. 회귀분석에 앞서 다중공선성을 고려하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계수 값이 .5 이상인 두 변수 중 한 변수는 분석에서 제외시켜 즉 아버지연령, 시간관리 교육정도, 시간관리 필요성인식을 제외시켰다. 그리고 성별, 학교, 가계월평균소득, 아버지직업, 어머니직업은 더미변수 처리하였다.
세부요인별로 보면, 먼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560)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β=.144), 어머니직업 자영업(β=.118),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116), 아버지교육수준(β=-.1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어머니 직업이 무직에 비해, 자영업,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수업만족도가 높았고, 반면 아버지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수업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36.2%로 나타났다.
학업성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563)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β=.175), 가계월평균소득 300만원 이하(β=.119), 가정생활수준(β=.117), 어머니직업 사무직/행정관리직(β=-.117)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가계월평균소득이 401만원 이상보다 300만원 이하일 경우, 가정생활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성취 만족도가 더 높고, 어머니직업이 사무직/행정관리직일 경우 학업성취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44.6%로 나타났다.
교육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598)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교 인문계(β=-.137), 자습 시간(β=-.124), 학업성적(β=.122),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110), 가정생활수준(β=.106)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성과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고, 학교가 실업계에 비해 인문계일 경우 교육성과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반면 자습 시간이 낮을수록 교육성과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어머니직업이 무직에 비해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가정생활수준이 높을수록 교육성과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47.0%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육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645)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β=.156), 가정생활수준(β=.106),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099), 학교 인문계(β=-.090), 어머니직업 자영업(β=.086)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가정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직업이 무직에 비해 전문직/교육직, 자영업일 경우 교육소비만족도는 높게 나타났고, 학교가 실업계에 비해 인문계일 경우 교육소비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52.6%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시간관리행동이 고등학생의 교육소비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간관리행동을 개선함으로써 학생의 교육소비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성적이 좋을수록 교육소비만족도가 더 높아지며, 즉 성적이 높은 학생보다 성적이 낮은 학생들의 교육소비만족도 수준이 더 낮으므로 학생의 교육소비만족도를 높이려면 성적에 따라 관리방안이 다르게 수립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의 가정생활수준도 학업성취 만족도, 교육성과 만족도, 그리고 전반적인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가정생활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들에게 학비감면, 또한 장학금 등 방식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이 더 필요함을 보였다.

3. 학교생활만족도의 수준과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

1) 학교생활만족도의 수준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보면 전체적으로는 평균 3.49로 나타나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요인별로 보면 학교생활만족도 중 고등학생들은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와 교내행사 만족도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2)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제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학교생활만족도는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 교내행사 만족도,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로 구분하여 보았다.
회귀분석에 앞서 다중공선성을 고려하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계수 값이 .5 이상인 두 변수 중 한 변수는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따라서 아버지연령과 시간관리 교육정도, 시간관리 필요성인식을 제외시켰으며, 성별, 학교, 가계월평균소득, 아버지직업, 어머니직업은 더미변수 처리하였다.
세부요인별로 보면, 먼저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542)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β=.148), 자습 시간(β=-.135),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122)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어머니직업이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자습 시간이 낮을수록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34.3%로 나타났다.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513)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아버지직업 자영업(β=.397), 아버지직업 사무직/행정관리직(β=.385), 아버지직업 전문직/교육직(β=.303), 아버지직업 생산직/임시직(β=.245), 자습시간(β=-.192), 학교 인문계(β=.159),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118)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아버지의 직업이 자영업, 사무직/행정관리직, 전문직/교육직, 생산직/임시직일 경우,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가 인문계일 경우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습 시간이 낮을수록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25.3%로 나타났다.
교내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543)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교 인문계(β=-.127), 자습 시간(β=-.119), 학업성적(β=.101),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096)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어머니직업이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교내행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교가 인문계일 경우 교내행사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고, 자습 시간이 낮을수록 교내행사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37.2%로 나타났다.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558)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β=.144),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127)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36.6%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β=.631)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자습 시간(β=-.153), 학업성적(β=.136), 어머니직업 전문직/교육직(β=.134) 순으로 나타났다. 즉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자습 시간이 낮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회귀식의 설명력은 44.8%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시간관리행동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간관리행동을 개선함으로써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성적이 좋을수록 교내행사, 선생님과의 관계,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아진다. 즉 성적이 안 좋은 학생은 성적이 좋은 학생에 비해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이 더 낮으므로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즉 학생들이 만족하는 학교생활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성적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학생의 자습 시간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은 학교 밖에서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길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입시시험을 위한 지나친 과외수업과 자습시간으로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를 형성하여 학교생활만족에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고등학교의 교육수준을 높임으로서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입시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교육방안을 실천함으로써 학생들은 이런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도록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요약 및 결론

1. 요약

사람들은 각종 매체와 무분별한 스마트폰의 배급으로 생각보다 많은 시간들을 낭비하고 있다. 시간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이 증가되는 시점에서, 고등학생은 교육의 만족과 학교생활의 만족을 위해 효율적인 시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관리행동이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학교 내 시간관리행동 수준은 평균 3.28로 나타나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고등학생들의 교육소비만족도 수준은 평균 3.32로 나타나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고등학생들은 수업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교육성과 만족도, 학업성취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교육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학업성적, 가정생활수준, 어머니의 직업 전문직/교육직, 어머니의 직업 자영업, 학교 인문계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가정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교육직, 자영업일 경우 교육소비만족도는 높게 나타났고, 학교가 인문계일 경우 교육소비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은 평균 3.49로 나타나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으며, 고등학생들은 학생상호간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 학교 소속감에 대한 만족도, 교내행사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업계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경우 인문계 학교에 다니는 학생보다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직/교육직일 경우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간관리 교육정도, 시간관리 필요성인식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시간관리 특성 시간관리 교육정도, 시간관리 필요성인식이 상인 집단이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업관리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차이를 보인 변수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간관리행동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해 차이를 보인 변수를 살펴본 결과, 시간관리행동이 상인 집단이 학교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시간관리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은 어머니의 직업 사무직/행정관리직, 자습 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직업이 사무직/행정관리직일 경우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습 시간이 낮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2.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고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를 더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생의 시간관리행동은 시간관리에 대한 교육정도를 “TV프로그램, 인터넷사이트, 다른 기관(사회복지관, 도서관)에서 생활계획 또는 시간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는 질문에 평균보다 적게 나타났다. 또한 시간관리필요성인식은 보통을 약간 상회하였다. 이는 시간관리 교육경험이 시간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가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들을 위한 시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학생들에게 시간관리행동에 관한 교육자료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등학생의 교육소비만족도는 수업만족도, 학업성취 만족도, 교육성과 만족도 총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소비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경우,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보다 교육소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생은 인문계 고등학교의 학생보다 대학입시에 대한 부담이 비교적 적고, 학교에서 다루는 교육이 자신의 적성에 맞고 필요로 한 분야를 공부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소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육소비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진학위주의 일방적인 학교교육보다는 학생의 인격과 품성을 중시하여 개인의 개성과 소질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에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선생님과의 관계 만족도,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 교내행사 만족도, 학교소속감에 대한 만족도 총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학교생활만족도 중 학생상호간의 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학생상호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학업성적위주의 교육은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과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교류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따라서 학생들 간의 비슷한 관심사를 토대로 보다 두터운 학생 상호간의 관계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시간관리행동과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시간관리를 잘 하는 학생은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시간관리행동이 교육소비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가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시간관리행동에 관한 체계적인 지도와 효율적인 시간의 활용을 통해 학생들의 교육성과를 높이고 삶의 질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거주지를 서울로 제한하였고, 이를 전체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본다. 더불어 고등학생들의 시간관리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길 바라며, 후속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시간관리행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시간관리행동이 교육소비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뿐만 아니라, 가정생활만족도와 자아성취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 authors declared that they had no conflicts of interests with respect to their authorship or the publication of this article.

Table 1.
Main Variables of Research
Variable Group No. of items Reference
Time management behavior Goal setting 5 [27, 37, 38]
Prioritize 5
Planning 5
Practice 5
Assessment 5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Satisfaction with class 2 [27, 37, 38, 48]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result 2
Satisfac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4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2 [23, 27, 28, 38]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2
Satisfaction with school events 2
Satisfaction with the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2
Table 2.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of Time Management Behavior
Item Factor
h2
Prioritize Goal setting Planning Assessment Practice
×1 .843 .183 .160 .175 .082 .807
×2 .841 .237 .248 .137 .078 .850
×3 .662 .432 .160 .107 .260 .731
×4 .265 .763 .264 .180 .217 .801
×5 .351 .759 .201 .229 .136 .811
×6 .545 .605 .060 .142 .227 .738
×7 .188 .233 .788 .199 .185 .785
×8 .208 .058 .748 .216 .340 .769
×9 .204 .437 .594 .322 .096 .698
×10 .176 .190 .356 .792 .174 .852
×11 .197 .231 .197 .782 .318 .843
×12 .182 .156 .257 .251 .832 .879
×13 .127 .386 .334 .268 .645 .765
Eigen value 2.587 2.312 2.104 1.728 1.598 -
% Variance 19.898 17.786 16.181 13.295 12.289 -
Cumulative % 19.898 37.684 53.865 67.16 79.449 -
Cronbach’s α .859 .856 .812 .802 .785 -
M (SD) 3.61 (.89) 3.50 (.89) 3.02 (.99) 3.23 (.93) 3.03 (.96) -
Total M (SD) 3.28 (.79)
Table 3.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Item Factor
h2
Educational result Class Academic achievement
×1 .837 .292 .249 .849
×2 .830 .219 .189 .773
×3 .815 .269 .292 .822
×4 .724 .258 .433 .779
×5 .265 .898 .163 .903
×6 .354 .659 .433 .748
×7 .362 .225 .850 .904
×8 .290 .553 .618 .772
Eigen value 2.991 1.870 1.688 -
% Variance 37.382 23.376 21.103 -
Cumulative % 37.382 60.758 81.861 -
Cronbach’s α .914 .779 .784 -
M (SD) 3.41 (.58) 3.48 (.59) 3.35 (.55) -
Total M (SD) 3.32 (.88)
Table 4.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tem Factor
h2
School events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1 .820 .172 .287 .219 .832
×2 .765 .376 .172 .219 .804
×3 .232 .893 .159 .126 .893
×4 .206 .799 .246 .296 .830
×5 .425 .161 .816 .122 .887
×6 .136 .400 .708 .405 .844
×7 .286 .337 .204 .812 .898
×8 .595 .116 .325 .597 .830
Eigen value 1.989 1.922 1.512 1.395 -
% Variance 24.860 24.021 18.898 17.439 -
Cumulative % 24.860 48.881 67.779 85.218 -
Cronbach’s α .789 .841 .776 .891 -
M (SD) 3.20 (1.12) 3.82 (.92) 3.48 (.94) 3.45 (1.06) -
Total M (SD) 3.49 (.86)
Table 5.
Relative Influences of All Related Variables 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Variable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onsumption, B (β)
Class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result Total
Gender_Male -.062 (-.034) .019 (.010) .107 (.052) .043 (.024)
School_Academic school .096 (.053) -.171 (-.086) -.283 (-.137)** -.160 (-.090)*
Years of education (yr) -.058 (-.048) -.005 (-.004) -.077 (-.056) -.054 (-.046)
Mother’s age .013 (.060) .004 (.017) .016 (.065) .012 (.058)
Father’s educational level (yr) -.099 (-.111)* -.010 (-.010) -.013 (-.012) -.034 (-.038)
Mother’s educational level (yr) -.048 (-.046) -.013 (-.011) -.040 (-.034) -.035 (-.034)
Father’s occupation
  Self-employed .481 (.238) .255 (.115) .253 (.109) .310 (.156)
  Office/administrative management job .394 (.215) .211 (.106) .159 (.076) .231 (.128)
  Production/temporary job .434 (.161) .208 (.070) .272 (.088) .296 (.112)
  Professional/educational job .517 (.228) .150 (.060) .222 (.085) .278 (.124)
Mother’s occupation
  Self-employed .291 (.118)* .223 (.083) .161 (.057) .209 (.086)*
  Office/administrative management job -.008 (-.003) -.298 (-.117)* .070 (.026) -.042 (-.018)
  Production/temporary job .036 (.013) -.036 (-.012) .111 (.035) .055 (.020)
  Professional/educational job .273 (.116)* .053 (.021) .296 (.110)* .230 (.099)*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KRW)
 ≤3,000,000 .024 (.012) .252 (.119)* .141 (.064) .140 (.073)
 3,010,000-4,000,000 -.013 (-.007) .092 (.044) .071 (.033) .055 (.029)
Family’s economic status .043 (.046) .120 (.117)* .113 (.106)* .097 (.106)*
Private education time (hr) -.001 (-.007) -.006 (-.061) -.000 (-.001) -.002 (-.019)
Self-study time (hr) -.002 (-.006) .009 (.022) -.053 (-.124)** -.025 (-.067)
Academic record .108 (.144)** .143 (.175)*** .104 (.122)** .115 (.156)***
Time management behavior .641 (.560)*** .705 (.563)*** .782 (.598)*** .727 (.645)***
Adjusted R2 .362 .446 .470 .526
F 1.857*** 14.987*** 16.385*** 2.266***

Dummy variable standard: gender (female), school (vocational school),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4,010,000 KRW or more), father’s occupation (unemployed), mother’s occupation (unemployed).

KRW, Korean Won.

* p <.05,

** p <.01,

*** p <.001.

Table 6.
Relative influences of All Related Variables o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Variabl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 (β)
School events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Total
Gender_Male .070 (.038) .131 (.071) .152 (.068) .100 (.047) .113 (.066)
School_Academic school -.166 (-.089) .297 (.159)** -.287 (-.127)* -.034 (-.016) -.047 (-.027)
Years of education (yr) -.036 (-.029) -.012 (-.010) -.103 (-.068) -.113 (-.079) -.066 (-.057)
Mother’s age .002 (.008) .018 (.080) -.001 (-.003) .013 (.053) .008 (.039)
Father’s educational level (yr) -.003 (-.004) .000 (.000) -.009 (-.008) -.037 (-.036) -.013 (-.015)
Mother’s educational level (yr) .056 (.051) -.047 (-.043) .017 (.013) .032 (.026) .015 (.014)
Father’s occupation
  Self-employed .263 (.125) .829 (.397)** .035 (.014) .318 (.134) .361 (.185)
  Office/administrative management job .145 (.077) .727 (.385)* -.032 (-.014) .243 (.113) .271 (.154)
  Production/temporary job .013 (.005) .683 (.245)* -.120 (-.036) .034 (.011) .153 (.059)
  Professional/educational job .058 (.025) .711 (.303)* -.016 (-.006) .172 (.064) .231 (.106)
Mother’s occupation
  Self-employed .100 (.039) .178 (.07) .205 (.067) .170 (.059) .163 (.069)
  Office/administrative management job .222 (.092) .221 (.092) .067 (.023) .060 (.022) .143 (.063)
  Production/temporary job -.017 (-.006) -.019 (-.007) .002 (.001) .044 (.013) .002 (.001)
  Professional/educational job .298 (.122)* .286 (.118)* .282 (.096)* .351 (.127)** .304 (.134)**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KRW)
 ≤3,000,000 .124 (.062) .211 (.106) .226 (.093) .092 (.041) .163 (.088)
 3,010,000-4,000,000 .112 (.057) .124 (.063) .107 (.045) .006 (.003) .087 (.048)
Family’s economic status -.039 (-.041) .047 (.049) .072 (.062) .030 (.027) .028 (.031)
Private education time (hr) .001 (.008) .003 (.034) .009 (.079) .004 (.038) .004 (.048)
Self-study time (hr) -.053 (-.135)** -.075 (-.192)*** -.056 (-.119)* -.038 (-.086) -.055 (-.153)**
Academic record .115 (.148)** .055 (.072) .095 (.101)* .126 (.144)** .098 (.136)**
Time management behavior .643 (.542)*** .606 (.513)*** .776 (.543)*** .752 (.558)*** .694 (.631)***
Adjusted R2 .343 .253 .372 .366 .448
F 10.087*** 6.883*** 11.267*** 11.207*** 15.101***

Dummy variable standard: gender (female), school (vocational school),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4,010,000 KRW or more), father’s occupation (unemployed), mother’s occupation (unemployed).

KRW, Korean Won.

* p <.05,

** p <.01,

*** p <.001.

References

Ahn, Y. B. (1985). The charcteristics of adjustment and behavior and their relative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uk Univerisity, Seoul, Korea.

Astin, A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scico, CA: Jossey-Bass Publishers.

Bang, M. H. (2009).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and sociality through participation of physical programs after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Britton, B. K., & Tesser, A. (1991). Effects of time-management practices on colloge grad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3), 405-410. http://dx.doi.org/10.1037/0022-0663.83.3.405
crossref
Burr, W. R. (1970).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marriage over the life cycle: A random middle class sampl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2(1), 29-37. http://dx.doi.org/10.2307/349968
crossref
Chae, H. Y., & Lee, K. Y. (2005). A typology on time management behaviors of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11), 211-224.

Cho, S. E. (1990). A study on the time management strategies of housew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Choi, E. J.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Choi, E. Y. (1998).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using a private message on the child’s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Choi, K. S. (2003).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Choi, S. B. (1985). A study of high-school student’s I.Q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ir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Deacon, R. E., & Firebaugh, F. M. (1975). Home management: Context and concepts. Boston, MA: Houghton Mifflin.

Doo, K. J. (2002). Effect measurement after time manage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s, (15), 1-14.

Epstein, J. L., & Mcpartland, J. M. (1976).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school lif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3(1), 15-30. http://dx.doi.org/10.3102/00028312013001015
crossref
Gross, I. H., Crandall, E. W., & Knoll, M. M. (1980). Management for modern families (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Han, J. H. (2000). The impact of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Han, K. M. (1991). Time use and time conflict of employed w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Hwang, J. S.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referred factor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e of the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Im, M. S. (1997).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s about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Korea.

Jang, S. G. (2002). A comparative study on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alternative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Jung, Y. H., Choi, Y. H., & Kim, N. Y. (2012).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6-27.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016
crossref
Kim, D. H., & Kim, J. H. (2011). Social relation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5(4), 128-168.

Kim, G. R. (2012). The difference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aspect of participation in weekend spo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in University, Youngin, Korea.

Kim, H. T., Oh, E. S., Kim, W. C., & Kim, D. Y. (1996). Youth academic advising. Seoul: Youth Dialogue Square.

Kim, J. G. (1998).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on school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Kim, J. J. (2005). The effects of life skill-based job performance activities on the physical abilities and vocational behavior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isity, Gyeongsan, Korea.

Kim, K. A. (2004). The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s training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Kim, M. J.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for academic v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Korea.

Kim, M. K. (2001).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ts determin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Kim, M. K. (2004). A study on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perception of children’s own rights for elementary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Kim, O. S. (2003). Comparative study on the time perspectiv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4), 1-10.
crossref
Kim, O. S., & Lee, K. Y. (2002). Family life and management.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Kim, S. Y. (2009). Sociology of education. Paju: Kyoyookbook.

Kim, Y. H. (2000). 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 changes on junior high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Lee, E. S. (2005). Introducing time management strategies with the best instructional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4), 101-121.

Lee, M. S. (2008). A study on alternativ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Lee, W. W.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school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Nam, K. A. (2008). A study on time management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youth: Centering on students for general high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 and acknowledged school for lifelong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Noh, D. J. (2011). The effects of sport club activity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Korea.

Noh, S. M. (2003).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character educa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ark, E.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Korea.

Schmelzer, R. V., Schmelzer, C. D., Figler, R. A., & Brozo, W. G. (1987).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to determine reasons for success and failur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28(3), 261-266.

Seiwert, L. J., Zajac, E. J., & Zajac, L. I. (1989). Time is money: Save it. Homewood, IL: Dow Jones-Irwin.

Seo, C. H. (1997).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Seo, I. J., & Doo, K. J. (2007). The effect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on the satisfaction of time management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121-131.

Sohn, Y. D. (2003). A study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alternativ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Song, B. K., & Cheong, J. W. (1987). An analysis of variable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rural adults in central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19(1), 85-95.

Song, S. N. (2006). Satisfaction on school education among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Thombs, D. L. (1995). Problem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first-semester college freshmen.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6(3), 280-288.

Wang, Y.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olescents’ belongingness and mal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Yang, S. I. (2010). A study on satisfaction from students attending alternativ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Korea.

Yoon, H. R. (1996).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mployed wiv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Yoon, Y. O.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students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Korea.

Editorial Offic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TEL : +82-2-561-6416, +82-2-561-6446    FAX : +82-2-562-2999    
E-mail : khea6416@daum.net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2014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